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디데이
정치 국회·정당

속보

더보기

한강의 첫 국내 노벨문학상 수상, 여야 정당 대표 한 목소리로 "축하"

기사입력 : 2024년10월11일 07:13

최종수정 : 2024년10월11일 09:31

이재명 "기쁨의 전율이 온 몸을 감싸는 소식"
한동훈 "EBS 오디오북 진행자로 만나, 아직도 가끔 듣는다"
조국 "5·18이 두 개의 노벨상 안겨, 망발 일삼은 자들 여전히 활보"

[서울=뉴스핌] 채송무 기자 = 한강 작가의 노벨문학상 수상 소식에 여야 정당 대표들이 한 목소리로 축하의 메시지를 전했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지난 10일 자신의 SNS에 올린 글을 통해 "기쁨의 전율이 온 몸을 감싸는 소식"이라며 "한국 문학의 쾌거, 굴곡진 현대사를 문학으로 치유한 한강 작가님의 노벨문학상 수상을 국민과 함께 축하한다"고 환영했다.

소설가 한강. [사진=로이터 뉴스핌]

이 대표는 "한강 작가는 폭력과 증오의 시대 속에서 처절하게 인간의 존엄성을 갈구했다"며 "'우리 안에 무엇으로도 죽일 수 없고 파괴할 수 없는 것이 있다는 걸 믿고 싶었다'라는 그의 말을 마음에 담는다"고 말했다.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는 "한강 작가님의 노벨문학상 수상을 축하한다"며 "저는 한강 작가님을 그분의 책이 아니라 오래전 EBS 오디오북의 진행자로서 처음 접했었다. 조용하면서도 꾹꾹 눌러 말하는 목소리가 참 좋아서 아직도 가끔 듣는다"고 말했다.

한 대표는 "오늘 기분 좋게 한강 작가님이 진행하는 EBS 오디오북 파일을 들어야겠다"며 이런 날도 오는군요"라고 반색했다.

조국 조국혁신당 대표 역시 한국인으로 노벨상을 탄 두 사람은 김대중 대통령과 한강 작가"라며 "DJ와 5.18의 관련성은 두 말 할 필요가 없다. 한강 작가는 5.18을 다룬 '소년이 온다'로 노벨문학상을 수상했다"고 강조했다.

조 대표는 "5.18이 우리에게 두 개의 노벨상을 안겨준 것"이라며 "5.18을 폄훼한 자들, 김대중을 '빨갱이'로 몰았던 자들, 한강을 문화예술 블랙리스트에 올렸던 자들은 부끄러워하고 있을까. 이러한 망발을 일삼은 자들은 반성 없이 여전히 활보하고 있다"고 일갈했다.

개혁신당 허은아 대표는 입장을 밝히지 않았다. 다만 개혁신당은 김성열 수석대변인의 논평을 통해 "한강 작가의 이번 수상은 대한민국 문학사에 영원히 기록될 쾌거이자 영광"이라며 이번 수상은 K-pop 뿐 아니라 K-문학의 우수성을 세계에 널리 알리는 기회가 될 것"이라고 환영했다.

김 대변인은 "진흙탕 싸움을 거듭하고 있는 정치권이 국민에게 절망만 안기는 가운데, 가뭄에 단비 같은 희소식을 내려준 한강 작가에게 감사의 인사를 드린다"며 "우리는 이제 '한강' 보유국으로 자랑스럽게 이야기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dedanhi@newspim.com

CES 2025 참관단 모집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달러/원 환율 1,450원 돌파...15년래 최고 [서울=뉴스핌] 고인원 기자= 19일 달러/원 환율이 1450원도 돌파하며 15년 6개월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올해 마지막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 회의에서 미국 연방준비제도(Fed)가 예상대로 기준 금리를 0.25%포인트 인하했으나 내년 기준 금리 인하 속도를 줄일 가능성을 시사한 여파다. 연준은 18일(현지 시각) 이틀간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정례 회의를 마치고 기준 금리를 4.25~4.50%로 0.25%포인트(%p) 인하한다고 밝혔다. 이로써 연준은 9월과 11월에 이어 이달까지 세 번의 회의에서 연속으로 기준 금리를 내렸다. 연준은 별도로 공개한 경제 전망 요약(SEP)에서 내년 말까지 금리 인하 폭을 0.50%p로 제시했다. 이는 9월 1.00%p를 기대한 것에서 크게 축소된 수치다. 이 같은 예상대로면 연준은 내년 0.25%p씩 총 두 차례 금리를 낮추게 된다. 매파적인 연준의 내년 금리 전망에 이날 미 달러화는 2년 만에 최고 수준으로 올라섰고, 달러/원 환율은 한국 시간 19일 오전 6시 50분 기준 1453원으로 1450원도 넘어섰다. 이는 지난 2009년 3월 이후 약 15년 만에 최고치다. 지난 2017년 도널드 트럼프 당시 대통령이 제롬 파월 당시 연방준비제도(Fed) 이사를 차기 의장으로 지명했다. [사진=블룸버그] koinwon@newspim.com 2024-12-19 06:58
사진
미국 절반 지역, 향후 10년간 전력난 우려 [서울=뉴스핌]박공식 기자 = 향후 10년간 미국의 절반 지역이 전력 부족으로 인해 잦은 정전과 절전 대책을 시행해야 할 것이라고 비영리공익법인인 북미전력신뢰성공사(North American Electric Realiability Corporation: NERC)가 17일(현지시간) 진단했다. 이 기구는 미국의 전력 소비량은 AI 데이터 센터, 빌딩과 교통기관의 전기화로 급증하는 데 반해, 신규 발전량이 석탄 등 화석연료 사용 발전소 폐쇄 공백을 메꾸지 못해 전력난이 심화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존 모우라 NERC 신뢰성평가 및 실적분석국장은 "수십 년 동안 유례가 없던 전력 수요 급증이 예상된다"고 말하고 그 원인으로 "전력 인프라 건설이 전력 수요 증가를 따라잡지 못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NERC는 미국 15개 주 전력망을 운영하는 미드콘티넨트 인디펜던트 시스템 오퍼레이터가 일상적 피크 수요 기간에도 전력 부족 위험이 매우 크다고 지적했다. 이외에 폭염이나 한파시 전력난이 심각할 것으로 예상되는 전력 회사는 PJM 인터커넥션, ISO 뉴잉글랜드, 텍사스 및 캘리포니아의 전력 회사들이 꼽혔다. 다만 북서부, 북동부, 남동부 및 중서부는 장기적으로 전력 사정은 비교적 양호할 것으로 예상했다. NERC는 폐쇄된 발전소의 발전 총량이 78기가와트(GW)이고 이에 더해 2034년까지 추가로 39GW의 전력 공급이 중단될 것으로 전망했다. 1GW는 100만 가구가 쓸 수 있는 전기 양이다. NERC는 전력 산업 표준, 전력망의 신뢰, 안정성에 기초한 평가, 전망을 하는 비영리단체다.  미 캘리포니아 칼스바드 지역 송전선 [사진=로이터 뉴스핌] kongsikpark@newspim.com 2024-12-18 13:46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