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최현민 기자 = 국토교통부는 지난해 국내 항공사 등 항공업계 안전 투자 규모가 총 5조8453억원으로 전년 대비 1조6155억원(38.2%)이 증가했다고 4일 밝혔다.
이는 항공안전 투자 공시제도에 따라 항공운송사업자 및 공항운영자 등 18개 항공교통사업자들이 공시한 2023년도 안전투자 실적과 향후 투자계획을 집계한 결과다.
아시아나항공 A350 항공기. [사진=아시아나] |
국토부와 항공안전기술원에서 지난해 투자 내역을 검증한 결과 대부분 항공사의 투자 실적은 2022년 대비 증가했다. 항목별 투자규모는정비 비용, 경년항공기(20년 이상된 항공기) 교체비용, 엔진·부품 구매비 등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정비 비용은 2조9400억원이다. 예방 정비 차원의 사전 정비 비용(2조5300억원, 86.1%)이 운항 중 발생한 고장 등에 대한 사후 정비비용(4100억원, 13.9%)보다 높게 집계돼 항공사들이 사전 정비체계 강화를 위해 노력을 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경년 항공기도 14대(평균 기령 22.6년)를 신규기(평균 기령 2.9년)로 교체(1조1900억원 투자)해 보유 비중이 감소했다. 평균기령(12.2년)도 전년 수준(12.0년)으로 유지된 것으로 확인됐다.
고장 시 장시간 지연으로 이어질 수 있는 엔진 고장에 대비해서도 1조3200억원을 투자해 예비 엔진을 추가로 확보하는 등 항공 수요 증가에 대비했다.
국토부는 2020년부터 3년간 항공안전 투자 공시제도를 시범운영하고 2023년부터 운영하고 있다.
올해 2월에는 항공사의 자발적 안전투자와 안전관리 노력 증진을 위해 안전투자 실적을 운수권 배분 평가에 반영하도록 제도도 개선했다.
유경수 국토부 항공안전정책관은 "항공안전투자 공시제도 운영 이후, 항공안전 투자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면서 "항공안전은 항공사 경영의 최우선 과제이며 핵심 경쟁력"이라고 말했다.
이어 "항공안전에 대한 투자를 비용으로 인식하지 않고 회사 규모에 맞는 적절한 안전 투자로 안전도와 신뢰도를 높여 나가는 것이야말로 항공 수요를 견인하고 건실한 항공산업 성장을 이끄는 길"이라고 덧붙였다.
min72@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