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뉴스핌] 남효선 기자 = 설날인 22일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이자, 영남의 대표적 전통마을인 경북 안동 하회마을 주민들이 '풍산 류씨' 문중의 가장 큰 집인 양진당의 사당에서 의복을 갖추고 설 차례를 지내고 있다.
풍산 류씨 종손들은 설 차례상을 간소하게 차리고 조상들의 음덕을 기리며 큰 절을 올렸다.
조상에게 올리는 차례상이 매우 간결하다. 유교사회를 지배한 예법 지침서인 '주자가례'가 제시한 것처럼 하회마을의 '차례상'도 주(酒).과(果).포(脯).혜(醯)로 단촐하게 차린 것이 눈에 띤다.
우리나라 대표 명절인 추석이나 설을 앞두고 불거지는 이른바 '명절노동' 논란의 대표격인 '전'은 보이질 않는다.
특히 세간에 제사상 진설을 놓고 의견이 분분한 이른바 '홍동백서(紅東白西)'나 '조율이시(棗栗梨枾)'의 위치나 순서없이 대추와 감, 밤, 호두, 땅콩 등을 하나의 찬합에 구분해 담아 진설했다.
'주자가례'는 '차례상' 규범으로 '술 한잔, 차 한잔, 과일 한 쟁반을 차리고 술도 한 번만 올리고 축문도 읽지 않는 것'으로 기록하고 있다.
각양각색의 음식을 푸짐하게 차리는 '기제사상'과는 확연하게 구분된다.
한국국학진흥원 김미영 수석연구위원은 "차례는 조상에게 예(禮)를 올리는 간단한 의식이고, 제사는 기일을 맞은 조상의 영혼을 기리고 달래는 추모의례"로 정의한다.
김 연구위원은 또 "전통 격식을 지키는 종가에서는 술, 떡국, 전 한 접시, 과일 한 쟁반 등 주자가례의 원칙을 크게 벗어나지 않은 차례상을 마련한다"고 말한다.
그러면서 김 연구위원은 "원래 간결했던 차례음식이 경제적 여유가 생겨나고 유통구조가 발달하면서 점차 늘어났다. 그러다 보니 우리사회에서 차례상은 사라지고 제사상만 남게 되었다"고 지적했다.
설날인 22일 사당에서 설차례를 지낸 풍산 류씨 종손들이 양진당의 대청에 둘러 앉아 조상에게 올린 차례상으로 음복과 함께 새해 덕담을 주고 받으며 계묘년 새해 문중의 평안과 후손들의 다복을 기원하고 있다.[사진=안동시] 2023.01.23 nulcheon@newspim.com |
사당에서 차례를 지낸 풍산 류씨 종손들은 양진당의 대청에 둘러 앉아 조상에게 올린 차례상으로 음복과 함께 새해 덕담을 주고 받으며 계묘년 새해 문중의 평안과 후손들의 다복을 기원했다.
양진당은 조선 선조 문신인 서애 류성룡의 형인 류운룡의 종택이다.
류운룡의 아버지인 류중영의 호를 따서 입암고택으로 부른다. 정면4칸 측면3칸에 겹처마 팔작지붕의 웅장한 규모를 가진 가옥으로 보물 제306호로 지정된 국가지정문화재이다.
nulcheon@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