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분기 적자 22조원…연말엔 30조원 돌파 예고
추가 한전채 발행…자금 경색 해결 '급선무'
[세종=뉴스핌] 이경태 기자 = 에너지 수입가격이 급등하면서 당장 한전에 영업 적자 폭탄이 떨어졌다. 현재 추세로 간다면 연말에 30조원 수준의 적자가 예상된다.
전기요금 인상을 비롯해 한전채 발행, 자산 매각 등에 나섰으나 적자를 해소하기에는 역부족이다. 연말 전기요금 추가 인상이 예고되는 이유다.
◆ 3분기 적자 22조원…연말엔 30조원 돌파 예고
한국전력은 지난 11일 올해 3분기 결산 결과를 공시했다. 3분기 누적 매출액은 51조7651억원, 영업비용 73조5993억원으로 모두 21조8342억원에 달하는 영업손실을 기록했다.
전기판매수익은 전년 동기 대비 5조4386억원 늘었다. 제조업 평균 가동률이 74%에서 76.4%로 증가했기 때문이다. 요금조정 영향에 판매단가가 다소 상승한 이유이기도 하다.
영업손실 원인으로는 연료비 상승탓이다. 자회사 연료비와 민간발전사 전력구입비가 10조8103억원, 15조729억원 늘었다. LNG·석탄 등 연료가격이 급등했을 뿐더러 전력시장가격(SMP) 역시 두배 가량 올랐다. 기타 영업 비용 등도 늘었다.
문제는 이같은 적자 추세가 연말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데 있다.
이번 결산 결과에서 한전은 3분기에 7조5000억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하면서 4분기 역시 비슷한 수준이면 올해 30조원 적자를 기록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되는 상황이다. 금융·증권가에서는 4분기 적자를 8~9조원까지 내다본다. 현재까지 6개 분기 연속 적자 행진을 이어나갔는데 4분기 적자도 이미 예고됐다.
탈원전 정책과 에너지수입단가 급등 사이에서 한전의 적자 원인을 두고 논란이 불거지고 있지만 단기적으로 적자를 해소할 방안 찾기가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산업통상자원부와 한전은 추가 전기요금 인상이 불가피하다는 입장이다. 실제 산업부는 내년 전기요금 인상을 염두에 두고 기준연료비를 우선적으로 인상하는 방안을 살펴보는 것으로 알려졌다.
글로벌 에너지 가격 상승세와 한전의 적자 상황를 고려해야 한다는 게 산업부의 시각이다.
우선적으로 기본요금·전력량요금(기준연료비)·기후환경요금·연료비 조정 요금 등으로 구성된 전기요금에서 기준연료비 인상이 유력한 분위기다.
지난해 말 kWh(킬로와트시)당 9.8원 인상된 기준연료비는 올들어 4·10월에 4.9원씩 반영됐다. 올해 LNG 가격은 전년 대비 두배 넘게 올랐으며 유연탄 역시 세배 가깝게 상승했다. 이렇다보니 내년 기준연료비가 대폭 상승할 수 있다는 얘기다. 여기에 연료비 조정단가도 다음달 말께 오를 것으로 보인다.
산업부 한 고위 관계자는 "동절기를 맞아 안정적인 전력 수급 뿐만 아니라 한전 등 적자 극복을 위해 다방면으로 방안을 살필 필요가 있다"며 전기요금 인상에 무게를 뒀다.
◆ 브레이크 없는 한전채 발행…한전 자금 경색 해결 '급선무'
한전 입장에서는 전기요금만 인상한다고 해서 적자를 해결하기 어렵다는 입장이다. 자금이 모자란 상황에서 어쩔 수 없이 채권 발행을 강행하고 있는 상황이다.
14일 한전에 따르면, 지난 10일 기준 2022년 장기채 신규 발행액은 모두 25조4500억원에 달한다. 지난 1월 2.71% 수준이었던 장기채 평균금리는 3월 들어 3%로 올라섰다. 6월 4.09%, 9월 5.03%, 11월 5.95% 등으로 금리가 2배 이상 올랐다.
2022년 한국전력 장기채 신규 발행액 [자료=한국전력] 2022.11.14 biggerthanseoul@newspim.com |
한전채는 신용등급 AAA급으로 최우량등급에 속한다. 그만큼 투자자들에게는 평균금리가 치솟는 만큼 기대치가 높아진다.
반면 나머지 기업 채권에 대한 관심은 줄어든다. 최근 레고랜드발 채권시장 경색 국면 속에서 자금이 돌지 못하는 만큼 정부 역시 한전채 추가 발행에 대해서는 우려스럽다는 반응이다.
하지만 한전 역시도 채권 발행을 줄일 수 없는 입장이다. 최근까지 장기채를 비롯해 단기채, 해외채권 등을 합한 한전의 회사채 발행 누적액은 65조8000억원에 달한다. 한전이 발행할 수 있는 회사채 발행 한도는 자본금에 적립금을 더한 값에 2를 곱한 수준으로 91조8000억원 수준이다.
아직은 추가로 발행할 수 있는 채권 규모는 26조원에 달한다. 국회에는 기존 2배 수준의 채권 발행규모에서 10배로 늘리는 한전법 개정안이 계류된 상태다. 일부 개정안 상정에 대한 부분도 상임위에서 논의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진다.
금융업계 한 관계자는 "한전 역시 에너지 대란 속에서 적자를 해결해야 하는 만큼 채권 발행이 다급한 것은 사실"이라면서 "현재 채권시장의 자금 경색 등을 두루 살피는 지혜가 필요할 것"이라고 말했다.
biggerthanseoul@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