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이은혜 기자=금융투자협회는 31일 서울 여의도 불스홀에서 '한·미 금리 역전이 금융시장에 미치는 영향 및 대응방안'을 주제로 채권포럼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 |
[CI=금융투자협회] |
이날 포럼에서 윤여삼 메리츠증권 연구위원은 "급등한 물가의 안정을 위한 미국 연방준비위원회(Fed)의 공격적 금리인상으로 올해 3분기 중 한·미 금리역전은 불가피하다"며 "일부 외국인의 자금유출과 금융시장 변동성 확대가 우려된다"고 밝혔다.
그는 "현재 경기와 물가수준으로 볼 때 미국이 국내보다 기준금리가 높아질 수 밖에 없는 상황이지만 과거 한·미 기준금리 역전이 발생한 3차례의 경험에서는 채권시장을 중심으로 외국인 자금이 이탈하는 충격은 없었으며, 오히려 유입된 경우가 많았다"고 말했다.
이어 "한·미 금리역전 시 원화 약세 우려도 함께 커지지만 금리차와 환율의 상관관계는 금리역전 구간에서 약세가 심화되지 않았다"며 "이번 금리역전 구간에서도 한국이 이전같이 높은 경상수지 흑자를 기반으로 한 재정건전성을 유지한다면 금리역전시에도 금융시장 불안은 제한적일 것"이라고 예측했다.
윤창용 신한금융투자 리서치센터장은 "코로나19가 전세계적으로 확산되면서 세계 경제 질서는 자국우선주의 아래 수요를 중시하는 성향으로 재편되고 있다"며 "코로나19 충격은 글로벌 가치사슬 변화를 촉발한 가운데 지정학적 갈등을 부채질하고 있다"고 짚었다.
그는 "지정학적 갈등과 공급망 충격은 ▲교역량 위축에 따른 성장 둔화 ▲경기 주기 및 진폭 확대 ▲고물가 및 고금리 ▲정책 불확실성 확대 및 신흥국 위험 고조 ▲강달러 압력 심화 ▲주식 및 채권시장 변동성 확대 등 다양한 비용을 초래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어 "이러한 시기에는 전반적으로 투자자산의 기대수익률이 저하되고 지역 및 국가 간 차별화가 심화될 것"이라며 "성장을 담보하는 하는 금융자산보다 인플레이션 위험을 피할 수 있는 실물자산, 즉 달러 자산 투자 비중을 늘리고 에너지 등 전략 자원에 대한 투자를 확대하는 것이 좋다"고 강조했다.
chesed71@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