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 특색 반영한 산업기반·정주여건·사회기반시설 정비 제시
한국은행 포항본부, '울진·울릉·영덕군 인구감소 배경과 시사점' 조사연구보고서
[울진·영덕·울릉=뉴스핌] 남효선 기자 = 경북 동해안 연안인 울진과 영덕.·울릉지역의 인구가 29년간 5만5000여명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20~30대 인구유출 현상이 두드러져 인구감소 해소위한 일자리 창출 등 산업기반과 정주여건 개선이 필요하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한국은행 포항본부가 최근 이같은 내용을 담은 '경북 울진·울릉·영덕군 인구감소 배경과 시사점' 조사연구보고서를 내놓았다.
![]() |
경북 울진군이 인구소멸위기 대응과 미래 먹거리 창출위해 야심차게 추진하고 있는 원자력발전소를 활용한 대규모 수소생산 수출실증단지 조감도.[사진=울진군]2022.04.21 nulcheon@newspim.com |
21일 해당 조사보고서에 따르면 1992년 14만7000명이던 이들 3곳 지역 인구는 29년이 지난 2021년에 9만2000명으로 5만5000명(37.4%)이 줄었다.
연령별로는 50대를 제외한 대부분 연령층에서 순유출이 발생했으며 특히 20∼30대 연령층에서 감소 경향이 두드러졌다.
다른 지역으로 거주지를 옮긴 이유는 △직업(취업·사업·직장이전 등) 문제가 40.4%로 가장 높았으며 △가족(29.5%) △주택(13.4%) 순으로 조사됐다.
이들 지역의 주요 전출지역은 포항 16%, 대구 13.7%, 경기 10.8%, 서울 10% 순으로 나타났다.
이들 3개 군(郡)의 산업구조도 전기.가스.행정 등 공공부문에 편중된 것으로 나타났다.
2018년 기준, 3개 군의 지역내총생산에서 제조업 비중은 2.5%에 불과하고 전기·가스는 25.0%, 행정은 15.5%로 집계됐다.
공공부문이 전체의 40.5%를 차지해 월등하게 높았다.
특히 울진의 경우 원자력발전이 포함되는 전기·가스 비중이 36.8%로 나타나 '원전 의존도'가 매우 높은 산업구조를 보였다.
보고서는 인구감소 문제 해결을 위한 전략으로 지역 특색을 반영한 산업기반 확충, 정주여건 개선, 사회기반시설 정비를 과제로 제시했다.
그러면서 보고서는 △원전·풍력발전, 그린수소, 이산화탄소 포집·저장 등 신에너지산업 투자 강화 △풍부한 청정자원을 활용한 해양레저 및 치유관광 기반 구축 △자동화와 선진화를 통한 어업 경쟁력 강화 △귀농·귀어·귀촌 장려 등을 해법으로 내놓았다.
또 △도로·철도·항공 기반시설 확충을 통한 접근성 향상 △교육·문화·보건·복지시설 등 생활밀착형 사회기반시설 구축 △도시재생 및 뉴딜사업 추진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nulcheon@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