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거 3차 북미정상 회잠 용의 등 주요 메시지 나와
[서울=뉴스핌] 차상근 기자 =북한의 헌법상 최고 주권 기관이자 대한민국의 국회에 해당하는 최고인민회의가 6일 평양에서 열린다. 지난해 12월 열린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 전원회의는 제 14기 제 6차 회의 소집을 이날로 결정했다.
김정은 노동당 총비서 겸 국무위원장은 구성원인 대의원(국회의원 격)은 아니어서 참석여부는 지켜봐야 한다. 다만 그동안 최고인민회의 시정연설을 통해 대외 입장을 수시로 표명한 바 있어 그가 어떤 메시지를 내놓을지에 북한 안팎의 이목이 쏠린다.
김 위원장은 2019년 4월 14기 1차 회의 때는 미국에 3차 북·미 정상회담 용의가 있다고 밝혔고, 지난해 9월 5차 회의에선 당시 끊겨있던 남북 통신연락선 복원 의사를 표명했다. 2019년 8월 14기 2차 회의, 2020년 4월 3차 회의, 지난해 1월 4차 회의엔 불참했다.
김 위원장이 연말 당 전원회의에서 사실상 대외메시지를 생략했다는 점에서 이번 최고인민회의에서 대미· 대남 메시지를 내놓을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특히 북한은 새해 들어 잇따라 탄도미사일을 발사하고 핵실험·대륙간탄도미사일(ICBM) 유예(모라토리엄) 철회 검토를 천명하는 등 한반도 긴장을 크게 고조시키고 있는 시점이어서 관심을 더 끌고 있다.
북한 노동신문은 지난 11일 평양 만수대의사당에서 최고인민회의 제13기 제6차회의가 열렸다고 12일 보도했다. <사진=노동신문> |
또한 올해 태양절(김일성 주석 생일) 110주년·광명성절(김정일 국방위원장 생일) 80주년과 4월 김정은 위원장의 공식집권 10년을 계기로 내부 결속을 다지고 경제 건설을 촉구하는 취지의 메시지가 나올 가능성도 있다.
북한은 김정은 집권 이후 주요 국정현안을 노동당 회의에서 결정한 뒤 이어 열리는 최고인민회의에서 추인하고 내각이 집행하는 시스템을 가져가고 있다. 최고인민회의 정기회의는 주로 4월에 열렸지만 2019년부터 당 전원회의가 연말에 열림에 따라 2월로 앞당겨지는 추세다.
이번 회의에서도 공식 의제인 내각의 2021년 사업 정형(실태)과 예산 결산, 2022년 과업과 예산, 육아법 및 해외동포권익옹호법 채택 등 대내적 현안이 두루 논의될 것으로 보인다. 내각과 국무위원회 등 주요 국가기구의 인사도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통일부 당국자는 지난 3일 "과거 김정은 위원장이 최고인민회의에서 시정연설을 통해 대내외 정책 방향을 전반적으로 밝힌 사례가 있기 때문에 김 위원장이 참석할 경우 전반적 정책 방향을 밝힐 가능성도 있다고 보고 관련 동향을 주목하고 있다"고 말했다.
skc8472@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