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R코드 사용법 배워도 업데이트되면 `말짱 도루묵`
자녀, 이웃 등 주변 도움 없이는 스마트 기기 사용 어려워
"디지털 소외계층 발생하지 않게 세심한 방역지침 필요"
[서울=뉴스핌] 강주희 지혜진 기자 = 식당, 카페를 비롯해 대형마트 등까지 방역패스(접종증명·음성확인제) 적용이 확대되는 가운데, QR코드 등 스마트 기기 조작에 어려움을 겪는 고령층이 차별받을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가 2년째 지속되고 있지만 고령층은 여전히 주변의 젊은 사람에게 도움을 받지 않으면 QR코드 인증을 어려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일 오전 서울 영등포구 신길3동주민센터를 찾은 노의제(73) 씨는 "QR코드를 업데이트할 줄 몰라 접종완료 스티커를 발급받으러 왔다"고 하소연했다.
노 씨는 "눈이 안 좋아서 수기 명부 적기도 어렵고, 그나마 안심콜로 출입인증을 해왔다"며 "QR코드 사용하는 방법을 한 종업원이 알려줬는데, 매일 쓰는 게 아니라 그런지 계속 새로 뭘 하라고 해서 그냥 스티커를 받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서울=뉴스핌] 강주희 기자=박정란(64) 씨가 백신접종 QR코드 인증을 사용하고 있다. 2022.01.04 |
노 씨와 같은 혼란을 겪는 고령층은 더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정부가 오는 10일부터 대형마트, 백화점 등 3000㎡ 이상 대규모 점포에도 방역패스를 확대 적용한다고 발표했기 때문이다.
신길3동주민센터 관계자는 "주로 스마트기기 사용이 낯선 어르신들이 많이 찾는다"며 "정확한 수치는 집계하지 않아서 모르지만 꾸준히 많은 사람이 방문해 예방접종스티커를 받아 가고 있다"고 전했다.
이처럼 스마트 기기 사용이 낯선 고령층은 주민센터를 직접 찾아 예방접종스티커를 신분증 뒤에 붙이거나 백신접종증명서 발급받아 보여주면 QR코드를 대신할 수 있다. 문제는 직접 방문해야 해서 번거롭다는 점과 스티커를 발급받을 수 있다는 사실을 모르는 사람들도 있다는 점이다.
신길동에 거주하는 이모(63) 씨는 "자식들이 어찌어찌 알려줘서 그동안은 QR코드로 인증을 하다가 3차 접종을 하면서 새로 인증받으라고 해서 고역이었다"며 "어제 마침 TV에서 QR코드를 대체할 수 있는 스티커가 있다고 해서 주민센터를 방문했다. 남편에게도 발급받으라고 해야겠다"고 말했다.
코로나19 사태가 2년째 지속되고 있음에도 고령층은 여전히 자녀나 주변의 도움 없이는 QR코드 인증을 어려워했다.
박정란(64) 씨는 "스마트폰을 사용한 지 10년이 넘었지만 앱을 깔고 업데이트하는 것은 어려워서 딸한테 물어보거나 안 하는 편"이라며 "초창기에는 수기로 출입인증을 하다가 개인정보 유출 문제가 있다고 들어서 딸에게 QR코드 사용법을 배웠다"고 했다.
며느리에게 QR코드 사용법을 배웠다는 문금옥(67) 씨는 "지난해에 사용법을 배웠는데 아직까지도 사람들 많은 데서 QR코드를 찍을 때 떨린다"며 "특히 젊은 사람이 많을 때 행여 내가 실수해서 사람들이 빨리 못 들어가는 건 아닐지 눈치가 보인다"고 토로했다.
문 씨는 "아직 예방접종스티커를 붙이고 다닐 정도로 늙지 않았다고 생각한다"면서도 "앞으로 나라에서 QR인증을 확대한다는 거 같은데 큰일이다. 스마트폰을 써도 그냥 전화만 받는데 QR코드니 뭐니 하면 머리가 새하얘질 것 같다"고 덧붙였다.
노인센터 등에서 스마트 기기 사용법을 가르치는 사회복지사 김경숙(36) 씨는 "어르신들은 스마트폰, 스마트티비 이런 최신 기기에 두려움을 갖고 있다"며 "긴장을 많이 하시고 잘못 하는 것에 대한 두려움, 심리적 공포가 큰 것 같다"고 했다.
전문가는 디지털 소외계층이 발생하지 않기 위해서는 공식적인 창구를 통해 스마트 기기 사용법을 안내하거나 전담 인력을 배치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한다.
박은하 용인대 사회복지학과 교수는 "QR코드 인증을 하지 않으면 음식점, 대형마트 등의 시설을 이용할 수 없는 상황은 디지털과 친숙하지 않은 어르신들에게 2차적 고통이 될 수 있다"며 "국가에서 하는 노인맞춤 돌봄서비스 등을 통해 디지털과 관련한 교육을 공식적으로 제공하는 방안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이어 "IT(정보통신) 강국이라고 해서 손쉽게 인건비를 쓰지 않는 방향으로 정책을 만들어서는 안 된다. 연령을 비롯해 학력 수준 등 사람마다 차이가 있다는 점을 고려하지 않으면 소외되는 계층이 상당히 많아질 것"이라며 "다양한 국민의 다층적 욕구를 반영하지 못했다는 측면에서 방역패스 등의 방역지침은 세심하지 못했다"고 꼬집었다.
정부가 방역패스 적용시설에 대규모 상점을 포함하면서 오는 10일부터는 ▲유흥시설 등(유흥주점, 단란주점, 클럽, 헌팅포차, 감성주점, 콜라텍·무도장) ▲노래(코인)연습장 ▲실내체육시설 ▲목욕장업 ▲경륜·경정·경마, 카지노(내국인) ▲식당·카페 ▲학원 등 ▲영화관·공연장 ▲독서실·스터디카페 ▲멀티방 ▲PC방 ▲스포츠경기(관람)장(실내) ▲박물관·미술관·과학관 ▲파티룸 ▲도서관 ▲마사지업소·안마소 ▲3000㎡ 이상 대규모 상점·마트·백화점 등을 입장할 때 QR코드 인증 등이 필요하다.
heyjin@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