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일부터 내년 4월 30일까지 서울 신사동 코리아나 화장박물관 6층
떡살과 다식판, 능화판, 금박판 등 조선 문양판과 관련 유물 50여 점
금박판 제작, 능화문 새기기 시연과 무료 체험도
[서울=뉴스핌] 조용준 기자 = 코리아나 화장박물관(관장 유상옥·유승희)이 28회 소장품 테마전으로 행복, 건강, 부귀, 자손 번창 등 길상적인 의미를 새긴 다채로운 문양판과 관련 소장 유물을 볼 수 있는 '소망을 새기다' 전시를 11월 23일부터 2022년 4월 30일까지 개최한다.
[서울=뉴스핌] 조용준 기자 = '소망을 새기다'전은 조선 시대의 2021.11.22 digibobos@newspim.com |
코리아나 화장박물관은 한국의 화장 문화를 보존하고 널리 알리고자 설립한 국내 유일의 화장 전문 박물관으로 ㈜코리아나화장품의 창업자인 유상옥 회장이 수집한 컬렉션을 기반으로 설립되었다. 상설 전시에는 삼국시대부터 근대까지 남녀 화장도구, 화장용기, 장신구 등 화장 관련 유물을 선보이고 있으며 이를 통해 화장의 역사와 재료 및 제조기술 등 화장 문화를 소개하고 있다.
'소망을 새기다' 전시에는 일상의 행복과 건강 등 길상적인 의미를 새긴 떡살과 다식판, 능화판, 금박판 등 조선시대 문양판과 관련 유물 50여 점을 선보인다. 전시를 통해 여러 가지 바람을 정성껏 새기고 찍으며 생활의 멋을 더해 즐기던 선조들의 마음이 담긴 문양판의 섬세함과 아름다움을 살펴볼 수 있도록 구성했다. 모든 일상이 빠르게 변하고 있는 요즘, 코리아나 화장박물관에서 기획한 문양판 전시를 통해 전통 문양 속에 담긴 소망을 하나하나 찾아보는 즐거움과 여유로움을 느낄 수 있는 시간이 될 것으로 박물관은 설명했다.
이번 전시에는 5대째 가업을 이어가고 있는 국가무형문화재 김기호 금박장이 제작한 문양판과 도구를 통해 금박판 제작 과정을 살펴볼 수 있다. 또한 국가무형문화재 이맹호 각자장 이수자가 제작한 연화문능화판으로 능화문 새기기 체험도 무료로 진행한다. 자세한 사항은 코리아나 화장박물관 홈페이지(www.spacec.co.kr)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관람은 화요일부터 금요일까지만 온라인 사전예약제로 운영된다. 관람 시간은 11시, 오후 2시와 3시 3차례만 진행된다.
문양(文樣)은 인류가 문자를 사용하기 이전부터 지금까지 의사소통과 표현의 수단으로뿐 아니라 장식을 목적으로 다양한 종류, 재료, 기법, 형태로 만들어 삶의 공간을 아름답게 꾸미는 용도로 사용해왔다. 특히 선조들은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식물, 동물, 기하, 문자 중에서 건강과 부귀, 자손 번창, 행복 등 특별한 의미를 지닌 문양으로 신분이나 지위를 표현하거나 의식주 생활 전반에 다채롭게 사용하며 즐겨왔다. 특히 나무판이나 흙을 빚어 문양을 섬세하게 새기고 찍어서 표현할 수 있게 만든 문양판은 용도에 따라 구분해서 사용했으며, 같은 종류의 문양이라도 구성을 달리해서 변화를 주었다.
[서울=뉴스핌] 조용준 기자 = 백자 떡살 문양. [사진=코리아나 화장박물관] 2021.11.22 digibobos@newspim.com |
능화판(菱花板)은 옛 책의 표지에 마름꽃 무늬 등 여러 가지 문양을 장식할 때 사용하는 나무판이다. 인쇄술의 발달과 함께 책을 소중하게 다루었던 선조들은 좋은 내용을 담고 있는 책의 내지를 보호하고 아름답게 장식할 수 있는 능화판으로 책 표지를 장식했다. 만(卍)자, 귀갑, 연꽃, 모란, 박쥐, 수복(壽福) 등을 음각과 양각으로 새긴 능화판에 밀랍을 바르고 종이를 올려 밀돌로 문질러서 문양을 표현했다.
이때 사용하는 밀랍에 의해 표지 문양은 선명하게 나타나고, 이물질에 의한 오염과 습기를 막아주어 책의 보호와 함께 장식적인 기능을 더했다. 궁중의 전적(典籍)에서부터 일반 서민의 책 표지까지 폭넓게 사용되었으며, 궁중에서는 방의 도배지나 창호지로도 다채롭게 사용했다.
금박(金箔)은 문양을 새긴 나무판에 민어 부레로 만든 풀을 바르고 직물에 찍은 후 얇게 편 금박지金箔紙를 올려 두드려서 문양을 표현하는 방법이다. 금을 이용한 장식기법은 삼국시대부터 다양한 공예품에서 살펴볼 수 있는데, 특히 의복의 전체나 일부분에 자유롭게 문양을 배열하고 구성할 수 있는 금박은 조선시대까지 꾸준히 사용되었다.
[서울=뉴스핌] 조용준 기자 = 도투락 댕기 금박 문양. [사진=코리아나 화장박물관] 2021.11.22 digibobos@newspim.com |
금은 오랜 시간 변하지 않는 값진 보석으로 예로부터 권력과 위엄을 상징해서 주로 왕실의 의례용 예복인 적의, 원삼, 당의 등을 금박으로 장식했다. 이후 반가에서도 의복과 댕기, 복건, 풍차 등 쓰개류에 금박을 찍어 장식했는데, 신분에 따라 문양의 종류를 달리해서 사용하기도 했다. 금박은 왕실 의례복에서부터 작은 댕기에 이르기까지 폭넓게 사용되어 의복에 화려함과 품위를 더해 주었다.
조선시대 떡과 다식은 제례나 혼례 등 의례상에 놓는 필수 음식으로 가정마다 떡과 다식을 만들고 장식하기 위한 떡살과 다식판을 준비해두고 대를 이어서 사용하며 소중하게 다루었다. 잔치 준비를 위해 많은 사람이 모여 음식을 만들었는데, 다른 사람의 것과 구별하기 위해 떡살과 다식판에 제작일, 이름, 여러 가지 글귀 등을 새겨 넣기도 했다. 백일에는 물고기나 파초, 혼례에는 나비와 박쥐, 회갑에는 잉어나 거북 등의 문양을 사용해서 입신양명과 행복, 부귀, 장수를 상징하는 문양을 담았다.
digibobos@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