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조용준 기자 = 올해로 16회를 맞은 '2021 공예 트렌드 페어(CRAFT TREND FAIR)'에 참신한 창의력과 뛰어난 실력으로 무장한 신진 도예가들이 대거 참여해 한국 도예계의 앞날을 밝히고 있다. 매년 공예 트렌드 페어를 개최하는 주 목적은 공예의 가치를 발견하고 미래 지향적 발전을 통해 한국 공예 문화의 대중화, 산업화와 더불어 아시아 공예 문화를 선도하기 위함이다.
그러나 이같은 개최 배경에도 불구하고 그동안의 페어에서 적어도 도예 부문에서는 미래 지향적인 가치의 신진 도예가들을 보기 힘들었다. 해마다 많은 도예작품들이 출품됐지만, 우수한 기량의 기반 위에 자신만의 고유한 창의성을 뽐내는 작품들을 만나기는 손에 꼽을 정도였다.
그런데 이번 페어에서는 마치 숨어 있던 초야의 고수들이 한꺼번에 무림에 출현한듯, 앞으로의 발전이 기대되는 신진작가들이 상당수 나타났다.
도야공방의 김세현 작가는 '오래된 미래'라는 분청사기의 특질을 현대적 감각으로 가장 잘 살리고 있다. 원래 분청사기는 청자를 굽는 투박한 질(태토) 위에 분장토를 입혀 색을 나타내는 것인데, 그는 투박한 청자의 질 대신 백자 위에 자신만의 분장토를 계속 덧입히는 형태로 어디서도 볼 수 없는 새로운 감각의 분청 작품을 형상화하고 있다.이런 작업의 결과로 나온 작품들은 아름다운 조형물 위에 마치 눈가루가 흩뿌려진듯 독특한 미학으로 표출된다. 그는 이런 작업에 'Snowy Flower'라고 이름붙였다.
이 시리즈의 작품들은 2014년에 이미 대한민국 우수공예품으로 선정되었고, 문체부의 우수문화상품으로도 2015년과 2017년에 선정되었다. 2020년에는 김해분청사기 공모전 특선을 수상했고, 2021년에는 군포문화예술회관 공예정원의 조형에도 참가했다.
|
[서울=뉴스핌] 조용준 논설위원 = 김세현 도자기. 2021.11.21 digibobos@newspim.com |
|
[서울=뉴스핌] 조용준 논설위원 = 김세현 도자기. 2021.11.21 digibobos@newspim.com |
|
[서울=뉴스핌] 조용준 논설위원 = 김세현 도자기. 2021.11.21 digibobos@newspim.com |
|
[서울=뉴스핌] 조용준 논설위원 = 김세현 작가. 2021.11.21 digibobos@newspim.com |
개인전은 5회 가졌지만, 올해 공예 페어에 처음으로 참가한 '도가명륜(陶家明倫)'의 김귀연은 그야말로 신예다. 국립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도예학과를 나와 일본 문부과학성 국비장학생으로 교토세이카이대학에서 박사 과정을 밟았다. 2016년 일본 효고현 아타미 국제 크라프트전 입선, 2017년 도쿄의 제56회 일본 크라프트전 입선의 성적을 거뒀다. 현재 서울과기대에 출강하고 있다.
김귀연의 작품은 우리 고유의 무속신앙이라 할 수 있는 '돌탑쌓기'를 세라믹으로 형상화하고 있다. 코발트블루와 백색의 조화로만 이루어진 그녀의 세라믹탑은 사람들의 기원과 기도를 자신만의 개성으로 담아냈다.
동글동글한 개울가의 자갈들이 벽에 붙어 있는 작품은 그 옛날 초등학교 시절 여름에 물놀이하러 놀러갔던 강가의 조약돌, 햇빛에 달궈져 미지근한 물 속의 그 차가운 감촉을 떠올리게 해주듯, 보는 사람마다 자신만의 추억을 되살리게 해준다. 그녀의 도판 작업 역시 물놀이하던 개구장이들이 다 떠난 적요의 강가처럼, 쓸쓸하면서도 평안한 감성이 드러난다.
|
[서울=뉴스핌] 조용준 논설위원 = 김귀연 세라믹. 2021.11.21 digibobos@newspim.com |
|
[서울=뉴스핌] 조용준 논설위원 = 김귀연 도판. 2021.11.21 digibobos@newspim.com |
|
[서울=뉴스핌] 조용준 논설위원 = 김귀연 작가. 2021.11.21 digibobos@newspim.com |
이화여대와 영국 웨일즈에서 공부한 박지원 작가 역시 공예페어 참가가 이번이 처음인 신예다. 그녀의 작품은 토르소(torso)에서 출발한 찰나의 조형성을 잘 표출하고 있다.
원래 토르소는 인체의 구간(軀幹), 몸체를 뜻하는 이탈리아어에서 연유했다. 토르소의 미를 순수화하기 위하여 현대 조각에서 목이나 팔·다리를 생략하고 인체미의 상징적인 효과를 얻으려고 하듯, 박지원의 작품들은 인체의 한 부분을 과장되고도 일부러 뒤틀은 듯 하지만, 억압과 규범으로 일그러진 현대인의 일상의 고통을 잘 나타내고 있다. 어떤 사람에게 그녀의 작품은 위선과 체면 유지로 인해 평소 내기 힘들었던 내면의 목소리가 어떻게 일그러져 있는지 보여주는 것으로도 읽힐 수 있다.
|
[서울=뉴스핌] 조용준 논설위원 = 박지원 세라믹. 2021.11.21 digibobos@newspim.com |
|
[서울=뉴스핌] 조용준 논설위원 = 박지원 세라믹. 2021.11.21 digibobos@newspim.com |
|
[서울=뉴스핌] 조용준 논설위원 = 박지원 작가. 2021.11.21 digibobos@newspim.com |
유충식 작가는 사람의 몸과 동물의 결합으로 현대의 억압성을 상징화하고 있다. 작가는 자신을 드러내고자 하는 인간의 욕망과 현실적인 괴리를 표현하고자 했다고 한다. 그의 작품들은 순간순간 영감이 떠오를 때마다 낙서하듯 그린 낙서장의 그림들을 세라믹 작품으로 만들어낸 것이다.
인간과 동물의 결합이라는 키메라(Chimera)는 사실 그리스 신화에서도 자주 등장하는 예술에서 오래된 주제이지만, 유충식의 키메라는 마치 이중섭의 '소'와도 같은 매우 동양적인 감성의 키메라를 상징하는 세라믹 작업을 신세대의 느낌으로 잘 표현해냈다.
|
[서울=뉴스핌] 조용준 논설위원 = 유충식 세라믹. 2021.11.21 digibobos@newspim.com |
|
[서울=뉴스핌] 조용준 논설위원 = 유충식 세라믹. 2021.11.21 digibobos@newspim.com |
|
[서울=뉴스핌] 조용준 논설위원 = 유충식 작가. 2021.11.21 digibobos@newspim.com |
이밖에도 경희대와 일본 교토시립대학에서 도예를 공부한 이상호 작가의 흙 작업과, 국민대학교에서 도예를 공부하고 졸업한지 30여년만에 다시 도자기를 만들기 시작, 이제 6개월 밖에 되지 않은 늦깎기 작가 설진아의 반려견 작품들 역시 주목할 만하다.
이상호 작가는 한국과 미국, 일본의 흙을 레이어 올리듯 층층이 쌓아 올리면서 투박하게 손자국을 남기는 작업을 통해 흙의 원초적 감각을 드러내고자 한다. 설진아는 오래 함께 한 반려견이 세상을 떠나던 날 꿈에 찾아온 일을 잊지 못해 오로지 반려견만을 작업한다. 그녀의 반려견에 얹혀져 있는 나비는 그녀의 꿈에 반려견과 함께 나타난 나비에 대한 추억이다.
|
[서울=뉴스핌] 조용준 논설위원 = 이상호 도자기. 2021.11.21 digibobos@newspim.com |
|
[서울=뉴스핌] 조용준 논설위원 = 이상호 작가. 2021.11.21 digibobos@newspim.com |
|
[서울=뉴스핌] 조용준 논설위원 = 설진아 도자기 2021.11.21 digibobos@newspim.com |
|
[서울=뉴스핌] 조용준 논설위원 = 설진아 작가. 2021.11.21 digibobos@newspim.com |
digibobos@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