文, 화상으로 진행된 제2차 한·메콩 정상회의 참석
"한·메콩 협력기금 및 공적개발원조 계속 늘릴 것"
[서울=뉴스핌] 노민호 기자 = 문재인 대통령은 13일 화상으로 진행된 '제2차 한·메콩 정상회의'에 참석해 한국과 메콩 지역 국가 간 협력관계를 '전략적 동반자 관계'로 격상시키자고 제안하며 "한국은 메콩과 진정한 친구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문 대통령은 이날 한·메콩 정상회의 모두발언에서 "나는 오늘 1차 정상회의에서 세운 이정표를 따라 전략적 동반자 관계로 한 걸음 더 나아갈 것을 제안한다"면서 "신뢰와 연대, 포용과 상생의 힘으로 코로나를 극복하고,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메콩과 한국이 함께 열기를 기대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날 문 대통령의 제안은 메콩 5개국 정상들의 지지 아래 채택됐다. 관계 격상에 따라 경제, 문화, 안보, 정치 등 분야에서의 긴밀한 협력을 모색할 수 있게 됐다는 관측이다.
![]() |
[서울=뉴스핌] 문재인 대통령이 13일 오전 청와대에서 화상으로 진행된 한·메콩 정상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한편 이날 한·메콩 간 협력관계는 '전략적 동반자 관계'로 격상됐다. 문 대통령이 먼저 제안했고 메콩 5개국 정상들의 지지 아래 채택됐다.[사진=청와대] 20.11.13 noh@newspim.com |
메콩 지역은 풍부한 노동인구, 수자원을 바탕으로 높은 경제성장률을 가진 세계 경제의 새로운 성장동력원으로 여겨진다. 특히 문 대통령이 전날 한·아세안 정상회의에서 발표한 '신남방정책 플러스' 전략의 핵심 축으로 평가되고 있다.
한·메콩 간 협력이 시작된 2011년 이후 양측 교역은 2.5배, 상호 방문은 3.3배 증가했다. 코로나에 따른 세계적인 경기 침체에도 불구하고, 올해 1~9월 교역액은 601억5000만달러(약 67조1334억)로 지난해 같은 기간 94.5% 수준으로 나타났다.
이와 관련 문 대통령은 "올해 코로나에 함께 대응하며 우리의 우정과 신뢰를 다시 확인하고 있다"며 "특히 고무적인 것은 코로나에 따른 경기 침체에도 불구하고 한·메콩 교역이 이미 작년 수준에 이르렀다"고 말했다.
![]() |
문재인 대통령과 분냥 보라치트 라오스 대통령이 지난해 9월 5일 비엔티안시 메콩강 사업현장에서 기념표지석을 보고 있다. [사진=뉴스핌 DB] |
정부는 지난해 한·메콩 협력의 정상급 격상, 올해 전략적 동반자 관계 수립에 이어 내년에는 '한·메콩 협력 10주년'임을 감안해, 양측 간 기념비적인 교류의 해로 이어지게 하기 위한 협력의 기반을 다져나갈 계획이다.
한국 외에 일본은 지난 2018년 일·메콩 간 전략적 동반자 관계 수립했고, 중국은 메콩 5개국과 양자 차원에서 각각 '포괄적 전략적 협력 동반자 관계'를 구축했다. 일본과 중국은 메콩 5개국과 정례적으로 정상회의도 개최하고 있다.
아울러 문 대통령은 한·메콩 협력의 내실화와 확대를 계속 추진해 나가기 위해 '한·메콩 협력기금' 증액을 발표하기도 했다. 정부는 올해 협력기금으로 300만달러를 기여했으며 내년에는 400만달러로 증액을 추진 중이다.
문 대통령은 "한국은 '위대한 어머니 강' 메콩의 생태환경을 보존하고 수자원 관리와 자연재해 예방 사업을 양자 차원은 물론 유엔 등 국제기구와 공동 추진하겠다"며 "이 과정에서 한·메콩 협력기금과 공적개발원조도 계속 늘려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이번 정상회의에서는 지난해 '한강·메콩강 선언'에서 합의한 ▲문화‧관광 ▲인적자원개발 ▲농업‧농촌 개발 ▲인프라 ▲ICT ▲환경 ▲비전통안보 등 '7대 우선협력 분야'를 중심으로 양측 간 협력을 내실화하기 위한 다양한 방안이 논의됐으며 결과문서로 공동성명이 채택되기도 했다.
noh@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