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차추경 통해 560억 규모 추가 지원
[서울=뉴스핌] 김지나 기자 =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중소·벤처기업의 인공지능 기술 도입을 지원하는 '인공지능 바우처' 사업의 지원 대상 기업 공모에 기업들이 몰려 22: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과기정통부는 이런 산업계 수요를 감안해 3차 추경을 통해 560억원 규모(추경 정부안 기준)의 추가 지원을 추진하고 있다고 11일 밝혔다. 해당 사업은 335개의 기업이 신청했다.
![]() |
'인공지능 바우처' 지원 사업은 의료, 제조, 교육, 금융은 물론 축산업, 어업 등 다양한 분야의 기업들이 신청하여 반도체 결함 자동 검사, 패션 가상 피팅, 하수관로 진단, 차량 외관 관리 등을 위해 인공지능을 도입하는 15개의 기업이 선정됐다.
이 사업은 인공지능 솔루션 등을 제공하는 기업(공급기업)과 자사의 제품이나 서비스에 인공지능 기술을 적용하고자 하는 기업(수요기업) 간 매칭을 통해 지원하는 방식으로 추진된다.
과기정통부는 폭발적인 시장 수요에 부응하는 한편, 중소·벤처기업의 경쟁력을 한 단계 끌어올릴 수 있도록 560억원 규모의 추경을 추진하고 있다.
추경 확정 후 신속한 기업지원을 위해 인공지능 솔루션이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자격을 갖춘 중소기업 중 참여를 희망하는 기업 대상으로 공급기업 추가 모집을 6월 22일부터 실시한다.
공급기업으로 등록을 희망하는 기업은 정보통신산업진흥원 홈페이지를 통해 자세한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바우처를 이용하는 기업인 수요기업 선정은 3차 추경이 확정된 후 구체적인 내용을 공고할 예정이다.
과기정통부는 "작년 12월 '인공지능 국가 전략' 발표 이후 전 산업에 인공지능이 빠르게 확산하고 있다"며 "이번 '인공지능 바우처' 사업은 각 분야의 중소·벤처기업들이 인공지능을 도입하여 기업 경쟁력을 높여나가는 동시에, 인공지능 솔루션이나 서비스를 판매하는 기업에게는 새로운 시장 창출의 기회를 제공하게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abc123@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