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1차 식품안전정책위원회 개최
[세종=뉴스핌] 이동훈 기자 = 국이나 음식이 가득담긴 냄비에 모든 사람이 숟가락을 넣어 떠 먹는 식습관 대신 각자 앞접시에 국자로 음식을 떠먹는 식문화가 본격 도입된다.
또 우리나라와 중국, 일본의 식품 안전기준이 통일된다. 아울러 조개류와 우유 원유에 대한 품질 기준이 강화된다.
9일 국무총리비서실에 따르면 이날 오후 정부서울청사에서 정세균 국무총리 주재 아래 열린 제21차 식품안전정책위원회에서는 코로나19의 확산으로 제기된 우리 '식사문화 개선 추진 방안'을 비롯해 총 5건의 안건을 논의했다.
식품안전정책위원회는 '식품안전기본법' 제7조에 따라 식품 등의 안전에 관한 주요 정책을 논의하기 위해 국무총리 소속으로 설치된 위원회다. 그간 '식품안전개선 종합대책'(2017.12), '건강 취약계층 급식 관리 강화 방안'(2018.12) 등을 논의했다.
먼저 코로나19를 계기로 감염병 확산에 취약한 우리 식사문화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이 수립됐다. 이를 위해 ▲음식 덜어먹기 ▲위생적 수저관리 ▲종사자 마스크 쓰기를 3대 개선과제로 정했다.
정부는 식문화 개선을 널리 알리기 위해 현장의 우수사례를 발굴하고 가이드라인을 배포할 계획이다. 또 외식업체가 활용할 수 있는 맞춤형 외식 기자재도 발굴해 보급할 방침이다.
아울러 일부 지방자치단체가 선도적으로 추진 중인 가칭 '안심식당 지정제'를 전국으로 확대하고 물품지원, 홍보, 컨설팅 등으로 외식업체의 참여를 유도할 계획이다.
또한 종사자 마스크 쓰기, 손 소독제 비치 및 음식점 위생등급 지정 기준에 생활방역 지침을 포함하는 것과 같이 외식업체 실천을 위한 제도개선을 추진할 예정이다. 또 방송·신문을 비롯한 각종 매체로 메세지를 적극 전파하고 유명인이 참여하는 릴레이 실천 캠페인도 전개한다. 또한 소비자, 청소년 등에게도 올바른 식생활 수칙을 안내할 방침이다.
외식 기자재 개발 및 상품화를 촉진하고 비대면 서비스 기술을 비롯해 푸드테크의 외식분야 활용 지원 등을 통해 연관산업도 함께 활성화할 계획이다.
다음으로 한·중·일 3국의 식품안전기준 통일을 위한 'One-Asia 식품안전 프로젝트'를 추진한다.
한국과 중국, 일본 3국은 식습관과 생산환경이 유사하고 식품 시장규모가 세계 시장의 28%를 차지해 아시아와 세계시장에 영향력을 미칠 가능성이 큰 대규모 시장이다. 하지만 식품안전기준이 서로 달라 나라별로 수출제품에 대한 부적합 사례가 발생해 식품업계가 어려움을 겪어 왔다.
'One-Asia 식품안전 프로젝트'를 추진해 3국간 식품의 비관세장벽을 해소하고 식품안전을 강화해 식품산업의 동반성장을 도모할 계획입니다.
이를 위해 정부는 올해 내 한·중·일 '식품안전관리 협의체'를 구성하고, 2021년에는 '식품안전관리기준 통합 계획' 수립해 2022년부터는 '식품안전관리통합기준' 개발에 착수할 계획이다.
조개의 위생을 강화하기 위해 패류 생산해역에 대한 위생 및 안전관리가 강화된다. 이를 위해 패류 생산해역 주변 하수처리시설 및 오염물질 해양 유입 차단시설을 확충하는 것을 비롯해 오염원 관리를 강화하고 패류 생산해역에 대한 위생관리 기준을 설정하고 위생 조사 항목을 확대(42개→63개)키로 했다.
우유를 비롯한 유제품의 원료인 원유(原乳)에 대한 항생물질, 농약과 잔류물질 포함 여부에 대해 국가에서 추가로 검사하는 '국가 잔류물질검사 프로그램'을 올해 7월부터 도입한다. 지금은 민간 업체에서만 잔류물질을 조사하고 있다. 정부는 71개 물질에 대한 조사를 실시해 우리 유제품에 대한 국민의 신뢰도를 높이고 해외 수출 증대를 도모할 방침이다.
정세균 총리는 "식품 안전과 관련해 앞으로도 각계의 의견을 경청하고, 국민 모두가 안심할 때까지 필요한 정책 개선 노력을 지속해 나가겠다"고 강조하며 "무더운 여름 동안 식중독을 비롯한 식품 관련 질병 예방을 위해 복지부, 식약처 등 관계기관이 철저히 대비할 것"을 지시했다.
donglee@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