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월 31일까지 국제갤러리
[서울=뉴스핌] 이현경 기자 = "과거를 보지 말고 지금을 그리자."
2005년 베니스비엔날레 한국관 전시에 최연소 작가로 참여하며 미술계의 주목을 받은 문성식(39) 작가가 개인전 '아름다움. 기묘함. 더러움'을 여는 마음가짐이다. 문 작가는 자신이 가진 것에 비해 미술계에서 빨리 인정받아 힘든시간을 보냈다고 털어놨다. 그는 내실을 다지는 시간이 필요했고 그러면서 '늘 낮은자세로 경험하고, 나름대로 세상을 이해한 만큼 그리자'는 생각으로 캔버스 앞에 섰다.
[서울=뉴스핌] 이현경 기자 = '그냥 삶' 시리즈 앞에서 문성식 작가 2019.11.28 89hklee@newspim.com |
문성식 작가는 4년 만에 두 번째 개인전 '아름다움. 기묘함. 더러움(Beautiful. Strange. Dirty)'을 28일부터 12월 31일까지 국제갤러리에서 갖는다. 이번 전시는 자전적인 경험을 바탕으로 한 초기 회화에서 벗어나 드로잉 매체에서 새롭게 접근, 전통과 현재, 동양과 서양을 잇는 고유한 정체성을 추구하고자 시도하는 신작들로 구성된다.
작가는 심각한 메시지가 아니면 현대미술로 인정하지 않은 미술계의 분위기를 버리고 무심히 지나치는 보편적인 풍경에 개인적 감각을 부여했다. 자신이 살았다는 증거를 명쾌하게 남기고 싶었다. 28일 국제갤러리에서 만난 문 작가는 "데이비드 호크니 작품을 보고 '무엇이냐'고 묻지 않는다. 있는 그대로 보고 느끼는 것"이라며 "심각하지 않으면 현대미술이 아닌 것 같은 느낌이 있는데, 저 역시 이를 버리기까지 시간이 걸렸다"고 말했다.
문성식의 작업을 관통하는 주제 중 하나는 '끌림'이다. 태생적으로 인간사와 주변 만물을 연민의 시선으로 들여다보는 작가는 과슈, 유화물감, 젯소, 연필 등 다양한 매체를 활용한 드로잉 연작을 통해 근원적인 끌림에 대해 이야기한다.
[서울=뉴스핌] 이현경 기자 = '인간적인 너무나 인간적인' 작품 앞에서 문성식 작가 2019.11.28 89hklee@newspim.com |
본 전시는 직접 고안해낸 스크래치 기법을 처음 선보이는 '그냥 삶'(2017-2019) 회화 연작, '장미와 나'(2017), '만남'(2018), '물의 조각'(2019), '인간적인 너무나 인간적인'(2019), '끌림'(2019) 연작들을 포함하는 채색 드로잉, 그리고 유화 바탕을 연필로 긁어 그린 '그저 그런 풍경'(2017-2019) 연작으로 구성된 유화 드로잉의 세 작품군을 다채롭게 소개한다.
10여점으로 구성된 '끌림' 연작은 작가가 매스컴을 통해 접한 이산가족들의 이별 장면 중 손에서 영감을 받아 제작했다. 예정된 이별을 앞둔 절박함과 나약한 생명에 내재한 강한 끌림을 표현하고 있다. 24점으로 구성된 과슈 드로잉 연작 '인간적인 너무나 인간적인'은 '본능적 끌림'에 의해 뒤엉킨 남녀의 신체를 묘사했다. 마찬가지로 24점의 과슈 드로잉 연작 '물의 조각'은 목련의 실루엣을 형상화해 물을 머금은 식물이 자아내는 다양한 형태와 이를 통해 생명의 신비로움을 보여준다.
60여점으로 구성된 '그저 그런 풍경'은 미색의 유화를 연필로 긁어낸 드로잉 작품으로 오늘날 한국의 지극히 평범한 일상적 풍경과 이를 구성하는 연약한 생명의 미동을 읽을 수 있다. 문성식 작가는 "한국이 잘 살게 됐지만 과도기적 풍경, 굉장히 특히한 지점이 있다"며 "가령 부동산을 보는 부부, 고등학생이 연애하는 모습도 보인다"고 설명했다.
[서울=뉴스핌] 이현경 기자 = '그저 그런 풍경' 시리즈 앞에서 문성식 작가 2019.11.28 89hklee@newspim.com |
뭣보다 이번 전시를 준비하면서 작가는 작업 방식에 변화를 줘 '드로잉'과 '페인팅'이 결합된 방법을 택했다. '선'에 집중했다는 그는 "조형적 에센스가 뭘까 생각했다. 답은 연필드로잉에서 찾았다. 예전에 그렸던 것을 재현하려해도 잘 안됐다. 선이라는 요소가 에센스이고 선을 회화 혹은 페인팅에 복귀시킨 것"이라고 언급했다.
전시 제목인 '아름다움. 기묘함. 더러움'의 출발점이 된 장미 연작 '그냥 삶'은 사람이나 곤충이 꽃에 끌리는 근원적 '당김'에 관심을 갖고 시작한 작품이다. '자연의 섭리에 대한 명상'인 이 연작은 동양화의 구도를 차용하는 동시에 벽화의 질감을 표현하는 현대적 재료를 사용해 현대와 전통을 오가는 화법을 구사한다.
문성식 작가의 '그냥 삶'에 장미꽃과 나비가 많이 등장하는데 이는 인간의 유희로 꽃을 심는 행위를 관찰하면서 비롯됐다. 그는 장미의 상징적 아름다움뿐 아니라 복잡미묘함과 추함을 함께 드러냄으로써 '아름다움, 기묘함, 더러움'의 세 층위로 이뤄진 인간사 혹은 현실을 바라보는 우리의 관점에 대한 '원형'으로서의 장미를 보여준다.
[서울=뉴스핌] 이현경 기자 = 문성식 작가 2019.11.28 89hklee@newspim.com |
작가는 "2년 전부터 꽃에 매혹돼 종로 5가에서 장미를 사 3년간 키웠다. 그러면서 1년간 장미를 관찰했다. 꺾어다 집에다 걸어놓기도 했다. 그러면서 내가 왜 꽃에 꽂혔고 장미를 들여다보고 있는 동기가 무엇인지 의문이 들었다"고 말했다.
이어 "장미꽃에 벌레나 나비가 꼬이고, 또 이들을 뒤쫓는 새를 목격했는데 세계의 축소판 같았다. 또 하나는 꽃은 식물의 성기라는 거다. 꽃은 번식하기 위해 성질을 버리고 나비를 기다린다. 아름답다, 추하다의 의미는 무엇이고 자기 욕망대로 살고 있다는 의미는 무엇인지 생각했다"고 덧붙였다.
89hklee@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