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이력 부족한 2030세대 틈새 겨냥
고객 취향 저격한 맞춤형 금융상품 기획도
[서울=뉴스핌] 최유리 기자 = 시중은행들이 통신사, 유통사의 비금융데이터를 활용해 대출심사의 틀을 바꾸고 있다. 금융거래 이력이 부족해 은행 대출을 받지 못했던 '씬 파일러(Thin filer)'들을 틈새고객으로 확보하고, 맞춤형 금융상품을 제공하기 위해서다.
17일 금융권에 따르면 신한은행은 지난달 말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 등 통신3사 정보를 반영한 신용평가시스템을 구축했다. 금융거래 이력이 부족해 대출심사에서 탈락한 고객들을 재심사하는데 활용한다.
통상 은행의 대출심사는 신용정보회사(CB사)들이 고객의 금융거래 내역 등을 수집해 매긴 신용등급이나 점수를 기반으로 이뤄진다. 카드결제 이력, 대출 이력 등 금융 데이터에 따라 대출 가능 여부와 한도, 금리가 결정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씬 파일러들은 대출 심사에서 탈락할 가능성이 높다.
이들을 재심사할 때는 통신사를 통해 휴대전화 기기 정보, 이용 요금제, 요금납부 이력, 인터넷·IPTV 등 결합 현황, 소액결제 이력 등의 정보가 기반이 된다. 통신사 정보로 CB사가 산정한 신용등급을 통해 대출이 이뤄지는 방식이다.
신한은행 관계자는 "전체 신용대출에서 금융데이터가 부족해 탈락하는 경우는 연간 1만~1만5000건 가량"이라며 "비중이 크지는 않지만 다른 데이터를 활용하면 이들을 고객으로 끌어올 수 있다"고 설명했다.
우리은행은 통신사 데이터를 활용한 전용 대출상품을 내놨다. 소득정보나 직장정보 없이 통신사 이용 정보만으로 대출이 가능한 게 특징이다.
대출한도는 최대 300만원이며, 통신사 신용등급에 따라 연 0.30~0.50%p의 금리혜택을 준다. 1~10등급으로 나뉘는 통신사 신용등급이 5등급일 경우 3%대 후반~4%대 초반 금리로 대출을 받을 수 있다.
우리은행 디지털마케팅부 관계자는 "대출이용 고객들의 70~80%는 금리우대를 받고 있다"며 "전반적으로 금융이력이 부족한 2030세대들이 많이 이용하는 추세"라고 전했다.
통신사 데이터를 활용하는 이유는 활용 범주가 넓기 때문이다. 금융 소비자 대부분이 통신사를 이용하는 데다, 충성고객이 잘 이탈하지 않는 공통점이 있다. CB사가 제공하는 신용평가시스템이 있어 신뢰도가 높다는 것도 장점이다.
은행들은 여기서 더 나아가 유통사에도 러브콜을 보내고 있다. 통신사 데이터처럼 커버리가 넓지는 않지만 결제 이력을 바탕으로 고객의 취향을 반영한 금융상품 구성이 가능하다는 설명이다.
최근 KB국민은행은 GS리테일과 데이터 활용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각 사에서 보유한 금융·유통 데이터를 분석해 상품 개발과 타켓 마케팅에 활용하기 위해서다.
KB국민은행 데이터기획부 관계자는 "GS리테일을 통해 하루에 500만건의 데이터가 오고 간다"며 "어떤 특성의 고객이 어떤 물건을 구입하는지 내역을 통해 맞춤형 혜택을 부여한 적금 상품이나 카드 상품 기획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우리은행은 온라인 쇼핑몰 11번가, SK텔레콤과 손을 잡았다. 이를 통해 11번가에 입점한 중소 판매자를 대상으로 SK텔레콤의 비금융데이터에 기반한 저금리 신용대출 상품을 출시할 예정이다. 판매자들의 업력, 판매 실적, 반품률 등을 토대로 SK텔레콤이 산정한 셀러 등급과 판매자들의 통신정보를 활용한다. 11번가 이용자들의 구매이력 등을 분석해 소액대출을 제공하는 상품도 계획하고 있다.
은행권 관계자는 "아직은 어느 정도 검증되고, 활용가능한 데이터가 통신사나 유통사 정보 정도지만 제도 개선 등에 따라 활용 범위가 더 넓어질 것"이라며 "다양한 외부업체와 제휴를 논의하고 있다"고 말했다.
yrchoi@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