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숙혜의 월가 이야기
[뉴욕=뉴스핌] 황숙혜 특파원 = 미국 초단기 자금시장의 금리가 가파르게 상승, 통화 당국이 유동성을 공급하는 상황이 벌어졌다.
은행간 하루짜리 대출 금리가 큰폭으로 치솟으며 시장 혼란이 확산되자 뉴욕연방준비은행이 환매조건부채권(Repo) 거래를 통해 532억달러에 달하는 단기 자금을 쏟아낸 것.
월가 [사진=로이터 뉴스핌] |
미 통화당국이 레포시장에 유동성을 공급한 것은 금융위기 이후 약 11년만에 처음. 시장 ‘발작’이 진화됐지만 금융권은 경계감을 늦추지 못하는 표정이다.
17일(현지시각) 시장조사 업체 리피니티브에 따르면 오버나이트 자금 시장에서 금리가 장중 한 때 최고 10%까지 치솟았다.
지난주까지 2.1% 선에서 안정적인 흐름을 유지했던 레포 금리는 전날 연방기금 금리인 2.00~2.25%의 상단에 해당하는 2.25%까지 상승하며 시장의 시선을 끌었고, 이날 장 초반 5% 선을 뚫고 올랐다.
시장 혼란이 확산되자 뉴욕연은이 금융위기 이후 처음으로 레포 거래를 통한 유동성 공급에 나섰고, 10%까지 뛰었던 금리는 안정을 되찾았다.
뉴욕연은은 이날 공식 성명을 내고 “연방기금 금리를 목표 수준인 2.00~2.25%에서 유지하기 위해 레포 거래를 단행했다”고 밝혔다.
레포 시장은 금융권 단기 자금 거래의 심장부에 해당한다. 금융권은 이를 통해 미 국채를 포함한 유가증권을 담보로 자금을 조달한다.
금리가 단기에 큰 폭으로 상승할 경우 유동성 경색과 디폴트를 포함한 심각한 결과로 이어질 수 있어 시장 전문가들이 바짝 긴장했다.
골드만 삭스 애셋 매니지먼트의 애쉬시 샤 최고투자책임자는 파이낸셜타임스(FT)와 인터뷰에서 “레포 금리 급상승은 매우 심각한 문제”라며 “자금시장 전반의 리스크를 높이는 한편 채권시장을 패닉으로 몰고 갈 수 있다”고 강조했다.
제프리스의 토마스 사이먼스 이코노미스트는 블룸버그와 인터뷰에서 “금리 상승은 금융회사의 숨통을 조이는 요인”이라며 “다만 이날 상황이 금융 시스템 측면의 리스크라고 보기는 어렵다”고 말했다.
이날 레포 시장의 혼란은 분기 말이라는 시기적인 특성과 법인세 납부를 위한 기업들 자금 수요가 몰리면서 발생했다는 진단이다.
아울러 트럼프 행정부가 재정 확대에 나서면서 대규모 국채를 발행, 시중 유동성을 흡수한 것도 배경으로 자리잡고 있다.
일부 시장 전문가들은 연준이 단기 금리의 통제력을 상실하고 있다는 사실을 드러내는 단면이라는 의견을 제시했다.
TD증권의 제너디 골드버그 채권 전략가는 월스트리트저널(WSJ)과 인터뷰에서 “금리가 안정을 되찾을 때까지 연준이 유동성 공급을 추가로 단행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higrace@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