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김승동 기자 = 저축은행 및 대부업 등 서민금융시장에 풀린 일본계 자금이 17조원이며, 일본이 일시에 이 자금을 회수하는 등의 경제보복을 하면 약점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지적에 대해 금융감독원은 "문제 없다"는 분석을 내놨다.
![]() |
금감원은 29일 "일본계 저축은행과 대부업계의 경우 영업자금 대부분을 국내에서 조달하고 있고 일본 자금의 직접 차입규모가 크지 않은 점을 감안하면 경제 보복에 따른 급격한 영업 축소 가능성은 제한적”이라고 밝혔다.
총 79개 저축은행 중 4개사가 일본계다. 저축은행 총여신 59조6000억원 중 18.5%인 11조원(3월말 기준)이 일본계 저축은행의 여수신이다. 또 8310개 대부업자 중 19개사가 일본계이며 총 대부자산 17조3000억원 중 38.5%인 6조7000억원(18년 말 기준)을 일본계가 차지하고 있다.
금감원은 일본계 저축은행 및 대부업계의 경우 영업자금 대부분을 국내에서 조달하고 있고 일본 자금의 직접 차입규모가 크지 않아 경제보복에 따른 급격한 영업축소 가능성은 제한적이라고 분석했다.
또 일본계 저축은행·대부업체가 대출을 중단하거나 회수해도 국내 저축은행·대부업체로 충분히 대체 가능하다고 금감원은 밝혔다.
0I087094891@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