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KYD 디데이
중국 피플

속보

더보기

[중국 핫!이슈] 대만커피 차이잉원땜에 곤욕, 텐센트주가 폭락, 명동난투극 어글리 차이니즈

기사입력 : 2018년08월17일 17:57

최종수정 : 2018년08월17일 17:59

[서울=뉴스핌] 이동현 이미래 기자 = 바이두, 소후닷컴 등 중국 대형 인터넷 포탈과 웨이보, 위챗 등 주요 SNS에 등장한 인기 검색어 및 신조어를 통해 이번 한 주(8월 13일~8월 17일) 동안 14억 명 중국인들 사이에 화제를 불러일으킨 이슈들을 짚어본다.

◆ 차이잉원이 방문한 85℃, 중국과 대만 네티즌 불매 운동에 곤욕, 1356억 원 증발

미국을 방문한 차이잉원(蔡英文) 대만 총통이 마신 커피 한 잔 때문에 대만계 커피 체인점이 중국 본토와 대만 양쪽 네티즌으로부터 거센 비난을 받고 있다.

지난 13일(현지시각) 차이 총통은 중남미 순방을 위해 미국 LA를 경유했다. 당시 그는 대만계 커피 체인점인 ‘85℃’에 들러 동행한 국회의원들과 커피를 마시며 매장 직원들과 대화를 나눴다. 일부 직원은 가게 브랜드가 새겨진 빵 모양의 쿠션에 총통의 사인을 받는 등 들뜬 모습을 보였다.

문제는 해당 사진이 소셜미디어를 통해 확산되면서 발생했다.

미국을 방문한 차이잉원(蔡英文) 대만 총통이 마신 커피 한 잔 때문에 대만계 커피 체인점이 중국 본토와 대만 양쪽 네티즌으로부터 거센 비난을 받고 있다 <사진 = 바이두>

해당 사진을 접한 중국 누리꾼들은 “85℃는 타이두(臺獨, 대만 독립 지지)기업”이라며 “보이콧(불매)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환구시보(環球時報) 등 중국 현지 매체도 “85℃가 돈은 중국에서 벌면서 대만 독립을 지지한다”며 비난했다.

비난은 곧바로 85℃에 실질적인 타격을 줬다.

중국 푸젠성(福建省)의 한 85℃ 매장에 단속반이 들이닥쳐 이것저것 트집을 잡았고, 중국 대표 배달 앱 메이퇀(美團) 다중뎬핑(大眾點評) 어러마(餓了嗎) 등은 85℃를 주문 가능 목록에서 삭제했다.

85℃는 곧바로 ‘하나의 중국 원칙을 지지한다”고 발표했다. 이러한 성명은 오히려 대만 네티즌의 반감을 촉발시켰다. 대만 누리꾼은 “하나의 중국 원칙을 지지하는 85℃의 커피를 거부한다”고 비난했다.

뿐만 아니라 대만 총통부 대변인이 “민간기업의 활동에 이념의 잣대를 들이대는 것을 잘못된 것”이라며 “중국 누리꾼의 압력은 언론의 자유를 침해하고 시장 질서를 어긋나게 한다”고 정면 비난하면서 중국 누리꾼의 분노도 더 거세졌다.

중국 본토와 대만 네티즌의 맹비난과 불매운동으로 85℃의 모회사인 메이스(美食)-KY의 주가는 전 거래일보다 7.5% 급락, 시총 1억2000만 달러(약 1356억원)가 증발했다.

중국 'IT 대장주' 텐센트 주가 바닥 모를 추락, 2분기 '어닝쇼크'에 대폭락

아시아 시총 1위로 세계 증시를 주름잡았던 중국의 ‘IT 대장주’ 텐센트의 주가가 2분기 실적 및 미래 수익구조 불확실성 등으로 인해 바닥 모를 추락세를 지속하고 있다.

15일 발표된 텐센트의 2분기 실적보고서에 따르면, 텐센트의 올 2분기 순이익은 전년동기 대비 2% 감소한 178억 6700만위안으로 집계됐다. 또 매출은 전년비 30% 증가한 736억 8000만위안에 달했다. 그동안 텐센트는 매분기 평균 약 60%의 매출 성장율을 기록한데 비해 올 2분기 매출 증가율은 반토막이 난 것. 이 수치는 2015년 이후 최저치인것으로 집계됐다.

이처럼 텐센트의 실적이 예상을 하회하면서 15일 홍콩 항셍지수는 1.55% 하락하는 등 약세를 보였다. 올해 들어 텐센트홀딩스(騰訊控股, 00700.HK)의 주가는 지난 1월 29일 고점(471.60홍콩달러)를 기록한 이후 계속 하락세를 보이며 지지부진한 양상을 보이고 있다.

홍콩 매체 SCMP에 따르면, 올해 들어 텐센트의 주가 하락폭은 17%에 달하면서 홍콩 항셍지수 전체 하락분(8.7%)의 두 배를 기록했다. 또 시총 규모는 올해 고점 대비 1조 3400만 홍콩달러가 증발한 것으로 집계됐다. 15일 텐센트의 주가는 전 거래일 대비 3.61% 빠진 336 홍콩달러를 기록했다. 16일에도 급락세가 이어지면서 텐센트 주가 오전 9시 47분 현재 전 거래일 대비 2.98% 떨어진 326 홍콩달러에 머물러 있다.

홍콩의 한 기관투자가는 “터키를 비롯한 신흥국 불안요소와 G2 미중무역전쟁 등 외부악재로 인해 중국 투자자들이 관망세를 보이고 있다”며 “ 다만 홍콩 증시내 중국 투자자들의 자금은 4% 미만으로, 텐센트와 같은 우량주의 경우 증시가 안정화되면 다시 매수세로 전환되면서 회복세를 보일 것”으로 관측했다. 

홍콩 푸창(富昌)증권은 텐센트 실적과 관련, “중국 당국의 온라인 콘텐츠에 대한 규제 강화로 텐센트를 비롯한 중국 게임업계 전반에 걸쳐 실적 악화가 우려된다”고 밝혔다.

◆ ‘서로 화장품 사겠다며’ 명동 면세점에서 중국인 난투극, 중국 네티즌 “나라 망신”

17일 웨이보(微博) 등 SNS를 통해 중국 네티즌들사이에 서울 명동에 위치한 롯데 면세점에서 중국인이 난투극을 벌이는 영상이 확산됐다. 지난 15일 촬영된 것으로 추정되는 영상에는 남성 1명과 여성 2명 총 3명이 몸싸움을 벌이고 있다.

펑황왕(鳳凰網) 등 현지 매체에 따르면 화장품 코너에서 난투극을 벌인 이들 3명은 중국의 화장품 대리 구입상이다. 서로 화장품을 먼저 구매하겠다고 다툼을 벌이는 중 감정이 악화돼 몸싸움까지 이어진 것이다.

17일 웨이보(微博) 등 중국 SNS를 중심으로 명동에 위치한 롯데 면세점에서 중국인이 난투극을 벌이는 영상이 확산됐다 <사진 = 웨이보>

특히 옆에 있던 남성이 넘어진 여성의 머리를 다리로 수차례 걷어차 충격을 더했다. 해당 남성은 흰 상의를 입은 여성의 남편으로 알려졌다.

이에 중국 누리꾼은 “다른 곳도 아니고 한국에서 이러다니” “나라 망신” ”지켜보던 한국인이 뭐라고 생각했겠냐” ”부끄럽다” ”삶의 무게가 중국인을 돈의 노예로 만들었다” 등 비난의 목소리를 이어갔다.

중국 누리꾼은 “다른 곳도 아니고 한국에서 이러다니” “나라 망신” ”지켜보던 한국인이 뭐라고 생각했겠냐” 등 반응을 보였다 <사진 = 웨이보>

해외여행 혹은 출장 중인 중국인의 난투극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과거 태국 푸켓에서 중국으로 돌아오는 비행기 안에서 좌석을 뒤로 젖히는 문제로 다툼을 벌이던 중국인 남성 1명과 여성 1명이 육박전을 벌였다. 일행까지 가세해 큰 싸움으로 번졌고 총 30명이 태국 경찰에게 연행됐다. 이날 이 사건으로 비행기 출발은 한 시간 넘게 지연됐다.

프랑스 프로방스의 유명 라벤더밭에서 두 쌍의 중국인 여행객이 사진 촬영 위치를 두고 다투다가 주먹다짐을 한 사건도 있었다. 웨딩 촬영을 위해 입은 드레스가 찢어진 건 물론 라벤더밭도 엉망이 된 것으로 전해졌다.

중국인 해외 여행객의 비상식적 행동이 계속 회자되자 시진핑(習近平) 국가주석은 “국제화 마인드가 필요하다”며 품위 유지를 당부했다. 신화사(新華社) 등 중국 언론도 ‘어글리 차이니즈’의 형태를 집중 보도하며 개선을 촉구했다.

 

leemr@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단독] 日 여행객 'K-쌀' 사간다 [세종=뉴스핌] 이정아 기자 = 일본 여행객이 한국을 방문, 한국 쌀을 직접 구매해 들고 나가는 사례가 급증하고 있다. 일본 내 쌀값이 고공행진을 이어가는 가운데 '밥맛 좋은 한국 쌀'이 대체제로 급부상하면서 벌어지는 현상이다. 3일 <뉴스핌>이 입수한 자료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6월까지 상반기 동안 일본 여행객이 한국에서 직접 구매해 일본으로 들고 간 국산 쌀은 3만3694kg로 집계됐다. 일본은 지난 2018년부터 휴대식물 반출 시 수출국 검역증을 의무화한 나라로, 병해충과 기생식물 등 식물위생 문제에 매우 엄격하다. 특히 쌀처럼 가공되지 않은 곡류는 검역 과정이 매우 까다롭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본 여행객들의 한국산 쌀 열풍은 지속됐다. 지난해 한 해 동안 일본 여행객이 반출한 국산 쌀은 1310kg에 불과했지만, 올해는 상반기에만 무려 25배 이상 급증했다. 같은 기간(2024년 1~6월)으로 비교하면 작년 106kg에서 올해 3만3694kg로 약 318배 증가한 셈이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일본 여행객들의 '쌀 쇼핑'이 열풍을 불면서 관련 문의가 급증했다"며 "한국쌀이 일본쌀에 비해 맛과 품질이 뒤떨어지지 않는다는 인식이 생기면서 반출되는 양도 많아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쌀을 화물로 탁송하는 사례도 동반 상승했다. 올해 상반기 기준 화물검역을 통해 일본으로 수출된 국산 쌀은 43만1020kg에 달한다. 지난해 화물 검역 실적이 1.2kg에 그쳤던 것과 비교하면 폭증 상태다. 업계에서는 이번 흐름이 국산 쌀에 대한 일시적 특수로 끝나지 않고 국내에서 정체된 쌀 소비의 새로운 돌파구가 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임정빈 서울대 농경제학과 교수는 "일본에서 쌀 가격이 두 배 이상 올랐으니 한국에 와서라도 쌀을 구매하는 여행객이 늘어난 것"이라고 짚었다. 이어 "다만 일본의 쌀 관세율이 매우 높기 때문에 한국 쌀의 가격만 보지는 않았을 것"이라며 "국산 쌀의 품질이 높기 때문에 이 부분에서도 합격점이 있을 것"이라고 평가했다. [영종도=뉴스핌] 윤창빈 기자 = 11일 오전 인천국제공항 제1터미널에 중국발 여행객들이 입국하고 있다. 2023.03.11 pangbin@newspim.com 정부 역시 이같은 수요에 대응해 일본 관광객을 대상으로 검역제도 안내·홍보에 나서기로 했다. 현재는 농림축산검역본부를 통한 사전신청, 수출검역, 식물검역증 발급, 일본 통관까지 최소 3단계 이상이 요구된다. 다만 한국 쌀을 일본으로 반출할 때 한국에서 식물검역증을 발급받아야 한다는 사실을 모르는 일본 관광객이 일본에 돌아가 쌀을 폐기하는 일이 생기면서 홍보의 필요성이 대두됐다. 농식품부 고위 관계자는 "지난달 오사카 엑스포 현장 방문을 계기로 일본 농림수산성과 예방할 기회가 주어졌는데 그 자리에서 쌀 검역 문제가 논의됐다"며 "한국 정부는 일본 여행객이 애써 한국 쌀을 구매한 뒤 일본으로 돌아가 폐기하는 일이 없도록 제도 홍보에 만전을 기하겠다"고 전했다. plum@newspim.com 2025-07-03 11:10
사진
내란특검, 尹재판 증인 72명 신청 [서울=뉴스핌] 김신영 기자 = 12·3 비상계엄 관련 내란 사건을 수사 중인 조은석 특별검사팀이 윤석열 전 대통령의 내란 우두머리 혐의 재판에서 증인 72명을 추가 신청했다. 서울중앙지법 형사합의25부(재판장 지귀연)는 3일 내란우두머리·직권남용권리행사방해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윤 전 대통령의 9차 공판기일을 열었다. 조은석 내란 특별검사. [사진=뉴스핌DB] 특검 측은 앞서 1차로 38명의 증인을 신청한 데 이어 이날 재판부에 증인 72명을 추가로 신청하겠다고 밝혔다.  재판부는 오는 10일 열릴 10차 공판에서는 이날 증인신문을 마치지 못한 고 전 처장에 이어 정성우 전 방첩사 1처장(준장), 김영권 방첩사 방첩부대장(대령)을 불러 신문할 예정이다. 정 전 처장은 여인형 전 방첩사령관으로부터 선관위 전산실 통제와 서버 확보를 지시받은 인물이며 김 부대장은 비상계엄 당일 곽종근 전 육군 특수전사령관이 윤 전 대통령으로부터 지시받을 당시 함께 합참 지휘통제실에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이날 재판에서 윤 전 대통령 측은 조은석 특검이 검찰로부터 사건을 이첩받은 절차가 위법해 무효라고 주장했으나, 특검은 "법과 상식에 비춰봤을 때 납득할 수 없는 주장"이라고 반박하며 신경전을 벌였다.  sykim@newspim.com 2025-07-03 20:47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