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 기반 스마트시티 연구개발 본격 착수
대구·시흥에 2022년까지 총 1159억원 투입
시흥 시민 2만3000명 참여 '리빙랩(Living Lab) 실증모델' 관심
[서울=뉴스핌] 김영섭 기자 = 데이터를 중심으로 한 스마트시티 실증모델을 구현할 지역으로 대구와 시흥이 선정되는 등 한국형 스마트시티 추진이 본궤도에 올랐다.
국토교통부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데이터 기반 스마트시티’ 연구개발 사업의 실증도시로 대구광역시와 경기도 시흥시를 선정, 스마트시티 국가전략 프로젝트에 본격 착수한다고 10일 밝혔다.
스마트시티 국가전략 프로젝트는 공통 핵심기술 개발과제와 2개의 실증연구과제로 구성됐다. 올해부터 2022년까지 5년간 총 1159억원 규모의 연구비를 투입해 한국형 스마트시티 데이터 허브 모델을 개발하는 연구사업이다.
데이터 허브 모델은 도시 인프라 및 시민으로부터 수집되는 각종 데이터를 통합 관리해 필요한 정보로 재생산하는 도시정보 통합관리 시스템을 기반으로 한다.
다시 말해, 스마트시티는 시민이 필요로 하는 다양한 도시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도시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집·분석·처리하고 연계하는 데이터 허브 기술이 핵심이고, 이런 기술을 적용하는 실증도시들은 세계적인 지능형 도시 관리 선도모델이 될 것이라는 게 정부 설명이다.
스마트시티 국가전략 프로젝트 사업단(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은 실증도시가 선정됨에 따라 세부 연구과제를 수행할 연구기관 및 기업을 공모해 내달부터 본격 연구에 착수한다.
대구광역시 스마트시티 R&D 실증도시 제안 [자료=과기정통부] |
‘산업성장과 시민행복이 함께하는 글로벌 선도도시’를 연구목표로 제시한 대구는 스마트 모빌리티 활성화(교통), 사고범죄 긴급구난 대응(안전), 재난 조기경보 대응(도시행정) 등의 연구를 진행한다.
시흥은 이른바 ‘비즈니스 창출형’ 모델로, 에너지·환경·복지 등 새로운 산업을 스마트시티에 적용하기 위해 리빙랩(Living Lab) 형태로 추진해 관심을 모은다.
중소규모 도시에 적용되는 리빙랩이란 일반적인 실험실 연구와 달리 생활 현장에서 시민들의 참여로 진행하는 연구 방식을 말한다. 실제로 시흥은 환경 2400명, 에너지 1만5019명, 생활복지 1613명 등 총 2만3045명의 시민을 참여시켜 ‘리빙랩’을 구현한다는 계획이다.
앞서 올 1월 대통령 직속 4차산업혁명위원회는 스마트시티 추진전략을 발표, 세종과 부산을 국가시범도시로 선정했다. 당시 4차위 추진 전략안은 도시운영‧성숙단계인 기존 도시의 스마트화를 포함시킨 바 있다. 이는 국가전략 연구개발(R&D) 사업을 통해 도시의 각종 정보를 원활하게 생산·관리·공유할 수 있도록 데이터 허브모델을 개발하고 다양한 서비스 솔루션이 구현되는 환경을 조성한다는 내용이다.
경기도 시흥시 R&D 실증도시 제안 [자료=과기정통부] |
kimys@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