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초강경 압박에 돌파구 열기 쉽지않아
수출둔화 위안화가치 급락 펀더멘털 휘청
中 '허들 넘을수 있다' 장담하지만 시장은 '글쎄'
[뉴스핌=최헌규 중국전문기자] 수출과 투자 소비 모든 면에서 중국 경제 성장 동력이 급속히 떨어지고 있다. 미중 무역전쟁이 일촉즉발인 상황에서 위안화 변동성이 커지고 기업수익이 악화하면서 시장의 불안감도 커지고 있다. 올해 중국 회사채 디폴트 건수가 사상최대에 달할 것이란 전망이다. 위기에 민감한 외자는 중국 주식을 팔고 속속 중국 자본시장서 발을 빼고 있다. G2 ‘중국 경제호’가 총체적으로 흔들리는 형국이다. 중국은 세계 GDP의 15%인 12조 달러의 경제규모를 가진 G2국가다. 중국의 위기는 곧 세계경제, 특히 우리 경제에 직격탄이 된다. 중국 경제호가 처해있는 최근 상황을 짚어본다. <편집자주>
올들어 중국 경상수지가 급격히 악화하고 있다. 2일 세관발표에 따르면 올 상반기 대미 수출증가율은 5.4%로 둔화됐다. 전년동기비 13.9%포인트 후퇴한 수치다. 이중 6월 대미수출 증가율은 3.8%에 그쳤다. 경상수지는 한나라 통화의 버팀목이다. 수출부진은 곧바로 중국 성장률과 위안화 환율에 치명적인 변동성을 안겨준다.
상반기 중국 GDP성장률은 6.5%까지 후퇴할 것이란 관측이다. 2017년 성장률이 6.9%임을 감안하면 중국 성장 둔화는 심각한 수준이다. 위안화 가치는 6월 중순 이후에만 벌써 3%넘게 하락했다. 이런 하락폭은 베트남 등을 포함해 신흥국 경제권 전체로 봐도 가장 큰 폭이다.
중국국제금융공사(중금공사) 관계자는 3일 "위안화 가치 하락은 정책이 아닌 시장에 의한 것으로서 수출 등 중국경제 펀더멘털이 심하게 악화된데 따른 것"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시장 심리 안정을 위해 정부가 개입에 나서야하며 더 이상 방치하면 잃는 것이 더 많을 수 있다"는 견해를 보였다. 이런 목소리를 반영하듯 이강(易綱) 인민은행장은 3일 “환율을 주시하고 있고 당국은 파동을 제어할 충분한 시스템을 갖추고 있다”며 시장을 진정시켰다. 이날 증시는 반짝 상승세를 나타냈다.
수출뿐만 아니라 중국의 2분기 고정자산 투자도 소폭 감소했고 연간 CPI상승률은 2.2%로 내려갈 전망이다. 경제성장의 삼두마차인 투자나 소비가 모두 성장을 견인하는데 한계를 맞고 있다는 얘기다. 특히 중반들어 중국경제의 펀더멘탈이 한층 약화되는 모양새다.
지난 5월 공업부가가치 증가속도는 전년동기비 6.8%까지 떨어졌고 소비 증가 속도도 8.5%로 둔화됐다. 공업기업이윤과 사회융자규모도 모두 하락했다. 6월 PMI는 51.1로 전월비 0.4 하락함으로써 경제 앞날에 대한 불확실성을 더해주고 있다.
이밖에 산업구조조정 및 경제 체질개선을 위한 금융 레버리지 축소와 금융 관리감독이 강화되면서 유동성 경색 우려가 불거지고 있다. 이런 면에서 레버리지 축소 정책은 단기적으로 계속 위안화 약세 압력이 될 수 밖에 없다. 사회융자규모가 지속 하락하고 은행 자산 건전성이 악화하는 것도 금융불안을 키우는 요인중 하나다. 그렇다고 경체체질 개선을 위한 신창타이(新常態) 뉴노멀 개혁을 중단할 수 없기 때문에 중국 경제 컨트롤타워의 고민은 자꾸 깊어만 간다.
빈발하는 기업 채무 불이행(디폴트)은 신용리스크 우려를 증폭시켜고 실물경제 부문을 짖누르며 중국 경제를 압박하고 있다. 헝다연구원(恒大研究院)에 따르면 지난 6월 12일 기준 중국의 채권 디폴트 규모는 전년 동기 대비 17%늘어난 185억위안에 달했다.
디폴트는 국유기업에서 민간기업으로 확산될 기미를 보이고 있다. 외신들은 올해 중국 기업 디폴트가 사상 최고치에 달할 것이라고 전한다. 중국 토종 신용평가기관들 까지 가세해 중국 기업들의 신용등급을 깍아내리고 있다. 신용 강등의 주요 이유는 다름 아닌 기업수익 악화와 경제성장 둔화 전망이다.
중국경제가 입을 타격은 미국이 선포한대로 6일 1차로 ICT 우주항공 로봇등 818개 분야, 340억달러에 달하는 관세 폭탄이 실행되면 한층 심각해질 전망이다. 중국은 본래 경상수지를 비롯한 상반기 주요 경제지표를 오는 13일 발표할 예정이었다. 이를 당초 예상보다 열흘이상 앞당겨 2일 발표한 것은 무역전쟁과 최근 경제상황에 대해 중국 당국이 얼마나 크게 걱정하는지 보여주는 단적인 증거다.
이와 함께 중국은 지난 2일 시진핑의 경제책사 류허(劉鶴) 부총리를 주임으로 하는 금융안정발전위원회(金融穩定發展委員會,금안위)회의를 긴급 소집했다. 회의에서는 금융리스크 예방 등을 집중 논의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 기구는 2017년 7월 발족됐으며 이번이 시진핑 집권 2기가 출범한 뒤에 열리는 첫 회의다.
<사진=바이두> |
이날 소집된 금안위는 사실상 금융위기 대응을 위한 T/F라고 할 수 있는 회의였다. 이 위원회에는 류허 주임을 비롯해 이강 인민은행장과 딩쉐둥(丁学东) 국무원 부비서장, 기타 금융감독기구 수장 및 공산당 각 조직 고위 간부 등 다양한 기구의 인사들이 대거 멤버로 참가하고 있다.
미중간 무역전쟁은 서막이 예고 됐을 뿐 메인 무대는 아직 시작도 안됐는데 자본시장을 비롯해 중국 경제가 받은 피해는 이미 집중 포화를 입은 듯 시퍼런 상채기를 드러내고 있다. 무엇보다 환율파동은 중국 A주를 비롯한 위안화 자산가격에 엄청난 타격을 입혔다.
중국주식은 위안화가 안정됐던 지난 1월만해도 안정세를 보였지만 6월하순 위안화가 약세에 들어선 이후 폭락세를 나타냈다. 7월 4일 전후해 이미 연초대비 15% 넘게 떨어졌고 증시 자금유출도 본격화하고 있다. 특히 연초부터 꾸준히 늘어나던 후구퉁(외국자금의 상하이증시 거래 ) 순 매입액이 6월부터 일제히 감소했다. 외자가 현재의 중국 금융상황을 그만큼 심각하게 인식하고 있음을 드러내는 대목이다.
급기야 투자가들 사이에서는 이렇다가 중국에 지난 2014년과 같은 대규모 자금 경색이나 1997년 아시아 외환난과 같은 금융위기가 현실화하는 게 아닌지 걱정하는 목소리 마저 나온다. 투자자들이 중국 경제를 걱정스런 눈으로 쳐다보는 가운데 중국 당국은 중미 무역전쟁에서 승리할 것이며 여타 신흥국과 달리 중국 경제가 외부 공격에 무너지는 상황은 단연코 없을 것이라고 장담한다. 하지만 중국 정부의 위기 대응 정책이 미국의 파상적인 보호무역 공세와 이에따른 시장 공포를 과연 무사히 견뎌낼수 있을지 여전히 의문이다.
[뉴스핌 Newspim] 최헌규 중국전문기자 (chk@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