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디데이

[개혁개방 40년] 중국기적을 잉태한 개혁개방의 메카 선전은 지금...

기사입력 : 2018년01월01일 09:40

최종수정 : 2018년01월01일 09:40

전국 1호 경제 특구, 개혁개방 일번지
변방 어촌 마을 GDP 300조원 국제도시 변신
‘중국판 실리콘밸리’ 벤처투자와 스타트업의 거점

[뉴스핌=홍성현 기자] “문득 밤사이 봄바람이 부는가 싶더니 온 나무마다 배꽃이 피었네“

(忽如一夜春風來,千樹萬樹梨花開) 

중국에서 개혁개방 이후 발전사를 다룰 때 자주 인용하는 당나라 시인 잠삼(岑參)의 시 구절이다. 1978년 본격화한 개혁개방은 봄바람처럼 중국 대륙에 발전의 씨앗을 틔웠고, 그 싹은 엄청난 속도로 자라나 기적의 꽃을 피웠다. 그 중에서도 ‘개혁개방 일번지’ 선전은 개혁개방 40년 역사를 집약적으로 보여주는 축소판이라 할 수 있다.

지난 1980년 경제특구로 지정된 선전은 지난 세월 그야말로 상전벽해(桑田碧海)가 무엇인지를 실증적으로 보여줬다. 인구 3만의 작은 어촌마을이 마천루에 둘러싸인 첨단국제도시로 탈바꿈한 것. 현재 인구 약 1200만명, GDP 약 2조위안(약 320조원)에 달하는 선전은 텐센트(騰訊), 화웨이(華為) 등 굴지의 IT기업과 스타트업이 밀집한 중국판 실리콘밸리로 자리매김했다.

2018년 개혁개방 40주년을 맞이해, 개혁개방 1호 경제특구이자 개혁개방 1번지로 꼽히는 도시 선전의 변천사를 살펴본다.

선전(深圳)의 야경 <사진=바이두>

개혁개방 1 경제특구, 40년새 환골탈태

중국 개혁개방 역사에서 선전(深圳)은 빼놓을 수 없는 상징과도 같은 존재다. 1980년, 선전은 개혁개방 제1호 경제특구로 지정됐고, 경제체제 개혁과 대외개방의 실험장으로서의 역할을 톡톡히 했다.

개혁개방 이전까지 작은 어촌마을에 불과했던 바오안(寶安)현은 선전 경제특구로 이름을 바꾼 뒤 중국 산업화, 도시화, 현대화의 중심도시로 변모한다. 

경제수치의 변화는 선전의 드라마틱한 발전상을 분명하게 보여준다. 개혁개방이 막 시작됐던 1979년 2억위안에도 미치지 못했던 선전의 GDP는 2016년 무려 1만배 늘어난 1조9300만위안을 기록했다. 이는 스웨덴, 폴란드 등 웬만한 유럽국가 네 곳의 GDP를 합쳐놓은 수치이며, 선전은 이제 GDP 2조위안 돌파를 목전에 두고 있다. 

선전이 개혁개방 설계자 덩샤오핑(鄧小平 등소평)의 낙점을 받은 것은 지리적 위치와 관련이 깊다. 그 시절 경제∙상업의 중심지였던 홍콩과 인접해있었기 때문이다. 일각에서는 선전이 수도에서 멀어 특구실험이 실패해도 중앙에 미칠 타격이 적을 것이라는 점이 고려됐다고 주장한다. 또 선전 개발을 통해 당시 홍콩으로 향하는 밀입국 러시를 막을 목적으로 이 곳을 특구로 정했다는 설도 있다.  

덩샤오핑은 선전을 경제특구로 지정한 뒤 세제정책 등 각종 정책적 특혜로 외부 자본과 기업을 끌어 모은다.

약 40년이 지난 지금, 선전은 홍콩과 어깨를 나란히 하는 중국 경제금융의 중심이자 국제 첨단 기술 도시로 부상했다. 현지 매체들은 2018년 선전의 GDP 규모가 홍콩을 추월할 것이라고 전망한다. 난산구와 푸텐구 등 일부 지역의 1인당 GDP는 이미 4만달러를 넘어선 것으로 알려졌다. 

도시 풍경과 생활 환경도 크게 달라졌다. 인구 3만명의 변경지역 작은 마을이 천만 인구가 밀집한 대도시로 변화하는 동안, 선전은 베이징과 함께 중국에서 집값이 가장 비싼 도시가 됐다. 과거 논밭과 고깃배 일색이던 선전의 사진 속에는 이제 고층빌딩이 밤하늘을 수놓은 화려한 야경이 자리를 대신하고 있다.

개혁개방(경제특구 지정)前 선전 모습 <사진=바이두>

◆ 중국판 실리콘 밸리 ‘선전속도는 계속된다’

선전시 푸톈구(福田區) 렌화산(蓮花山) 공원에는 ‘개혁개방 설계자’ 덩샤오핑의 동상이 세워져 있다.

1984년 처음 선전 시찰에 나섰던 덩샤오핑은 1992년 남순강화(南巡講話)때도 선전 경제특구를 찾아 “계획경제가 곧 사회주의는 아니고, 시장경제가 곧 자본주의를 의미하지는 않는다”고 강조한다. 개혁개방 노선과 경제특구 지정이 자본주의의 온상이라는 비판을 불식시키고, 개혁개방 지속 추진에 대한 굳은 의지를 표명한 것이다.

선전 롄화산(蓮花山) 공원의 덩샤오핑 동상 <사진=바이두>

‘개혁개방 일번지’ 선전은 수많은 ‘최초’의 주인공이기도 하다. 1990년 중국 본토 최초의 증권거래소가 선전에 문을 열었고, 임금분배제도 개선, 공정입찰제 도입 등 각종 제도 개혁을 중국 대륙 최초로 시도한 곳이 바로 선전이다.

경제 특구 지정 초창기만해도 선전은 무역과 제조업으로 먹고 사는 도시였다. 홍콩에 있던 공업단지가 선전으로 이전함에 따라 ‘선전에서 만들어 홍콩에 판매’하는 분업 시스템이 형성됐다. 그러던 것이 90년대부터 자체적으로 첨단기술산업 육성에 나서면서 점차 제조업 위주에서 IT 첨단 산업 중심으로 이동해갔다.

시진핑 주석 집권 후에는 선전을 상하이와 홍콩에 버금가는 국제 금융 도시로 육성하기 시작한다. 지난 2012년 중국 정부는 선전 난산구(南山區) 첸하이(前海)를 위안화 자유태환 시범지구로 선정하는 한편, 4717억위안(약 85조원)을 투입해 첸하이 금융 특구 조성에 나섰다. 지난 2016년 12월에는 선강퉁(深港通, 선전증권거래소와 홍콩증권거래소간 교차거래)을 개통했다.

한편, 텐센트, 화웨이, 비야디(比亞迪 BYD), 다장촹신(大疆创新DJI) 같은 대표적인 첨단 IT기술 기업들이 모두 선전에 본사를 두고 있다. 선전 입주 기업에 세제 혜택을 제공하는 등 정부의 지원정책과 풍부한 창업 인프라가 기업 유치에 효력을 발휘했다고 현지 매체들은 분석한다.

2017년 11월 30일 기준, 선전 소재 350개 상장사의 시가총액 합계는 10조400위안(약 1600조원)을 기록했다. 텐센트를 필두로한 선전의 기업들은 상하이 소재 기업 시총(7조5000억위안, 약 1230조원)을 크게 따돌리며 약진하고 있다.

선전 소재 기업, 왼쪽 위부터 시계방향으로 텐센트, 화웨이,DJI, BYD순<사진=바이두>

연구개발(R&D)에 대한 아낌없는 투자는 선전을 중국판 실리콘밸리로 만들었다. 선전시는 GDP의 4% 이상을 연구 개발에 투입한다.

2017년 기준 선전 소재 IT기업은 19만 5000여개사에 달한다. 이는 전체기업의 11.3%에 해당하며, 63명 중 한 명 꼴로 IT기업을 경영하고 있는 셈이다.

특히 난산구(南山區)에는 텐센트를 포함해 최첨단 하이테크기업이 밀집해 있다. 통계에 따르면, 선전 소재 유니콘기업(기업 가치가 10억달러 이상인 스타트업) 12개 가운데 11개가 난산구에 위치해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현지 매체들은 △글로벌 혁신 기업 밀집 △IT 제조 인프라 구비 △창업 보조금 지원 △혁신 인재 유치를 위한 우대정책 등이 스타트업 성장의 젖줄이 됐고, 이것이 바로 선전이 ‘중국의 실리콘밸리’가 될 수 있었던 이유라고 분석한다.

‘선전속도(深圳速度)’라는 말이 있다. 1980년대 초 선전 국제무역센터(國貿大廈 궈마오빌딩) 건설 당시 사흘에 한층씩 올라가는 엄청난 진행 속도에서 유래됐으며, 선전의 급속한 발전을 상징한다.

개혁개방 40주년을 맞이한 지금, 선전에서는 하루 평균 48개의 발명 특허가 쏟아지는 새로운 ‘선전속도’가 실현되는 중이다. ‘개혁개방 일번지’ 선전은 작은 어촌마을에서 제조업 중심 도시로 변모했고, 다시 최첨단 기술을 선도하는 중국의 실리콘밸리로 거듭나고 있다.

**용어 설명

남순강화(南巡講話): 덩샤오핑이 1992년 1월 18일∼2월 22일 우한(武漢) 선전(深圳) 주하이(珠海) 상하이(上海)를 시찰하면서 개혁개방노선 지속 추진을 천명한 것을 가리킨다.

 

[뉴스핌 Newspim] 홍성현 기자 (hyun22@newspim.com)

CES 2025 참관단 모집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기후동행카드, 고양·과천도 30일부터 [서울=뉴스핌] 이경화 기자 = 서울시는 '기후동행카드'가 오는 11월 30일 첫 차부터 고양시와 과천시까지 서비스를 확장한다고 21일 밝혔다. 이로써 서울~고양~과천을 오가는 시민들도 월 5만~6만원대로 기후동행카드의 무제한 혜택을 받을 수 있게 된다. 지난 1월 27일 서울 지역을 대상으로 출발한 기후동행카드는 3월 30일 김포골드라인, 8월 10일 진접선·별내선까지 확대됐다. 서울 공동생활권인 인구 100만의 대규모 도시 고양시와 지리적으로 서울시와 경기남부의 길목에 위치한 과천시까지 연결됨에 따라 수도권으로 본격 확대되는 계기가 될 것으로 시는 기대한다.  서울 외 지역 기후동행카드 이용 가능 도시철도 구간 [이미지=서울시] 서울시와 고양시, 과천시는 지난해 2~3월 기후동행카드 참여 업무협약을 체결한 이후 후속 논의를 통해 구체적인 시행방안을 마련하고 11월 30일 고양시(3호선·경의중앙선·서해선), 과천시(4호선)의 기후동행카드 참여를 확정지었다. 관계기관들과 함께 시스템 개발·최종 점검을 완료했다. 이번 확대로 3호선은 고양시 일산서구 대화역에서 서울시 송파구 오금역까지 모든 역사(44개)에서 기후동행카드를 이용할 수 있게 된다. 경의중앙선은 고양시 일산서구 탄현역에서 구리시 구리역까지 34개 역사, 서해선은 고양시 일산서구 일산역에서 서울시 강서구 김포공항역까지 7개 역사, 4호선은 남양주시 진접역에서 과천시 정부과천청사역사까지 34개 역사에서 기후동행카드를 이용할 수 있다. 이에 더해 현재 기후동행카드 서비스 범위에 이미 고양시를 경유하는 서울 시내버스 28개 노선과 과천시를 경유하는 6개 노선이 포함돼 있음을 고려하면 서울과 고양·과천을 통근·통학하는 약 17만 시민의 이동 편의가 더욱 증진될 것으로 보인다.  또 이용범위가 대폭 확대되면서 과천·고양 등 시민들도 기후동행카드의 다양한 문화 혜택을 동일하게 누릴 수 있다. 과천시 4호선 확대로 대공원역도 기후동행카드를 이용할 수 있는 만큼 방문 시 서울대공원 50% 할인 등 혜택을 참고하면 된다.  기후동행카드는 올해 1월 23일 서비스 시작 이후 70일 만에 100만 장이 팔리는 등 시범사업 단계부터 큰 호응이 확인된 바 있다. 7월부터 본사업에 들어가면서 청년할인권·관광객을 위한 단기권 등 다양한 혜택이 더해졌다. 평일 최대 이용자가 65만명이 넘어가는 등 인기가 지속되고 있다. 서울시는 고양·과천 지하철 적용을 시작으로 수도권 시민들에게도 실질적인 혜택을 제공할 수 있도록 관련 협의·시스템 개발 검토를 적극 추진할 계획이다. 향후 기후동행카드의 무제한 확장을 위한 타 경기도 지자체와의 논의 역시 급물살을 탈 것으로 기대된다고 시는 덧붙였다.  기후동행카드를 이용하려면 안드로이드 기반 휴대전화에서 '모바일티머니' 앱을 무료로 다운받아 충전하면 된다. 실물카드는 서울교통공사 1~8호선 고객안전실, 지하철 인근 편의점 등에서 구매한 후 서울교통공사 1~8호선, 9호선, 신림선·우이신설선 역사 내 충전기에서 권종을 선택·충전 후 사용할 수 있다.  기후동행카드의 고양시, 과천시 확대 등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고양시(031-909-9000), 과천시(02-3677-2285), 서울시 120 다산콜센터로 문의하면 된다. 윤종장 서울시 교통실장은 "김포·남양주·구리에 이어 고양·과천 확대로 경기도 동서남북 주요 시군까지 기후동행카드의 무제한 대중교통 혁신이 이어지고 있다"며 "교통비 절감·생활 편의·친환경 동참 등 일상 혁명을 수도권 시민들까지 누릴 수 있도록 수도권 지역 서비스 확대·편의 향상에 총력을 기울이겠다"고 말했다.  kh99@newspim.com 2024-11-21 11:15
사진
김승연 회장, 시흥R&D캠퍼스 첫 방문 [서울=뉴스핌] 김아영 기자 = 김승연 한화그룹 회장이 지난해 5월 공식 출범한 한화오션 사업장을 처음 찾았다.  한화그룹은 김승연 회장이 20일 '한화오션 중앙연구원 시흥R&D캠퍼스'를 방문했다고 밝혔다.  김승연 회장(가운데)이 한화오션 시흥R&D캠퍼스를 방문해 임직원들과 오찬 후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한화그룹] 현장을 둘러본 김 회장은 미국 등 글로벌 시장 선점을 위한 초격차 기술경쟁력 확보를 강조했다. 해양 탈탄소 시대를 선도할 그린십(Green Ship) 기술과 방산 기술 혁신으로 조선·해양 분야에서 지속가능한 글로벌 강자로 자리매김할 것을 주문한 것이다. 이날 행사에는 김동관 한화그룹 부회장과 김희철 한화오션 대표이사, 손영창 한화오션 제품전략기술원장도 참석했다. 김승연 회장과 김동관 부회장이 한화오션 시흥R&D캠퍼스의 상업용 세계 최대 공동수조를 방문해 시연을 지켜보고 있다.[사진=한화그룹] 한화오션 시흥R&D캠퍼스는 상업용 세계 최대 규모의 공동수조와 예인수조, 국내 유일의 음향수조 등 첨단 시험 설비를 갖추고 있다. 이를 통해 조선·해양·방산 분야 친환경 초격차 기술 개발을 선도하는 핵심 연구 거점이다. 기술 리더십의 중요성을 강조해온 김승연 회장이 시흥R&D캠퍼스를 찾은 이유이기도 하다.  김승연 회장은 먼저 공동수조(Cavitation Tunnel)를 방문해 연구진의 시연을 지켜봤다. 상업용 세계 최대 규모의 한화오션 공동수조는 길이 62m, 높이 21m의 대형 터널로, 최대 출력 4.5MW 모터와 3600톤의 물을 통해 최대 15m/s의 유속을 형성할 수 있다. 특히, 선박의 추진력을 높이고 수중 방사 소음을 줄이는 연구 성과는 함정의 은밀성과 생존성을 강화하는 방산 기술 개발에도 활용되고 있다. 예인수조를 방문한 김 회장은 임직원들과 함께 수조 내 모형선을 끄는 예인전차에 탑승해 고품질 선박 성능 시험을 참관했다. 한화오션의 예인수조는 길이 300m·폭 16m, 담수량 3만3,600톤으로 세계 최대 규모 최신 시설을 자랑한다. 상선, 함정 등 다양한 선박의 저항, 운동, 조종 성능 등에 맞춤식으로 시험할 수 있다. 김승연 회장이 한화오션 시흥R&D캠퍼스 예인수조를 둘러본 후 임직원들과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사진=한화그룹] 김 회장은 이 날 임직원들과 함께한 자리에서 "여러분은 한화그룹의 자산이자 대한민국 산업의 자산"이라며 "대한민국의 국익과 국격에 기여한다는 뜨거운 사명감을 갖고 연구에 임해주기 바란다"고 당부했다. 이어 "더 밝게 빛날 한화의 미래에 조선해양 부문이 가장 앞에 서 있을 것을 믿어 의심치 않는다"며 "한화 가족 모두는 우리 그룹의 일원으로서 함께 나아갈 한화오션의 미래에 큰 기대를 가지고 있다. 여러분이 가진 무한한 잠재력과 기술 역량으로 새 시대를 선도해 나가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김승연 회장은 3D 프린팅 기술을 활용해 동일한 형상으로 축소된 프로펠러 모형을 제작하여 다양한 성능을 예측·평가하는 모형제작워크샵에 대한 설명도 들었다. 이곳에서 김승연 회장은 한화오션이 수출형 모델로 독자 개발한 2000톤급 잠수함 모형에 'K잠수함 수출로 글로벌 No.1 도약을 기원합니다'라고 적고 친필 서명하며 해외 수출 성공을 기원했다. 한화오션의 2000톤급 잠수함은 현존하는 디젤 잠수함 중 최고로 평가 받는 장보고-III 플랫폼에 기반해 자체 개발한 중형급 잠수함으로 최신 기술과 다양한 요구사항을 적용한 모델이다. 김승연 회장은 직원 식당에서 임직원들과 오찬도 함께 했다.  김승연 회장이 한화오션 시흥R&D캠퍼스를 방문해 임직원들에게 격려의 메시지를 전하고 있다. [사진=한화그룹] 김 회장은 이 날 한화오션 임직원들에게 "한화는 여러분들이 마음껏 연구 역량을 펼칠 수 있도록 거친 파도를 막아주는 든든한 방파제가 될 것"이라며 굳건한 신뢰의 뜻을 전했다. 한화오션은 시흥R&D캠퍼스의 첨단 인프라를 바탕으로 지속 가능한 해양 솔루션을 개발하고 미래 해양 산업의 변화를 주도하는 글로벌 오션 솔루션 프로바이더로 도약하기 위한 행보를 이어갈 예정이다.  aykim@newspim.com 2024-11-20 15:33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