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핌=장주연 기자] 알츠하이머에 걸린 전직 연쇄살인범 병수(설경구). 그는 우연한 접촉사고로 태주(김남길)를 만나고, 곧장 그 역시 살인자임을 직감한다. 이에 병수는 경찰에 신고한다. 그러나 태주의 정체는 경찰. 누구도 병수 말을 믿지 않는다. 오히려 그날 이후 태주는 병수의 하나뿐인 딸 은희(설현) 곁을 맴돌기 시작한다. 불안해진 병수는 태주를 잡기 위해 필사적으로 기록하고 쫓지만, 기억은 자꾸 끊기고 살인 습관들만 되살아난다.
영화 ‘살인자의 기억법’은 알려진 대로 김영하 작가의 동명 베스트셀러를 원작으로 한 작품이다. 1인칭 시점으로 주인공의 심리를 따라가는 원작은 독특한 소재와 흡입력 있는 이야기로 20만 이상의 독자를 사로잡았다.
영화는 이러한 원작의 뼈대를 그대로 유지했다. 특히 초반부는 소설과 큰 차이가 없어 원작 고유의 맛이 느껴지기도 한다. 변화가 감지되는 건 중반부터. 메가폰을 잡은 원신연 감독은 이야기 곳곳에 영화적 설정을 더 해 극화시켰다. 작은 디테일로 시작된 변화는 큰 설정과 전개를 바꾸고, 마침내 영화는 완전한 제 색깔을 갖게 된다.
소설과 영화의 차이점 몇 가지를 꼽자면 이렇다. 먼저 단순 살인의 쾌감을 즐기던 병수에게 아픈 사연을 덧입혔다. 자연스럽게 살인의 정당성도 부여됐다. 병수와 은희의 관계도 큰 변화를 맞았으며, 이 과정에서는 부성애 코드가 스며들었다. 의문의 캐릭터로 끝났던 소설 속 태수는 한층 더 입체적으로 살아났다. 덕분에(?) 영화는 한국적 혹은 영화적이라고 일컬을 법한 선명한 결말(누군가는 클리셰라고 할 수 있겠지만)로 치닫는다.
물론 각색 과정에서 단점이 없는 건 아니다. ‘그리하여 여자를 혐오하게 됐고 여자를 무차별적으로 살해했다’고 귀결되는 설정. ‘살인자의 기억법’ 역시 최근 논란을 낳았던 영화들처럼 이유 없는 ‘여성 혐오’ 시각을 넣었다. 여기에 마치 서비스 컷마냥 등장하는 설현의 몇몇 의상 역시 거슬린다.
그럼에도 불구 영화를 봐야 할 이유를 묻는다면 단연 배우들의 열연이다. 특히 설경구는 캐릭터의 외형은 물론, 연쇄 살인마와 아버지의 얼굴을 오가며 극으로 치닫는 병수의 내면을 완벽하게 그려냈다. 영화가 가진 허점들을 상쇄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속내를 알 수 없는 태주 역의 김남길이나 설현의 연기 역시 주목할 만하다. 오는 6일 개봉. 15세 이상 관람가.
[뉴스핌 Newspim] 장주연 기자 (jjy333jjy@newspim.com) <사진=쇼박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