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년 시작해 총 4978개 사업
참여자 여성과 30~40대 대부분
남성·청년층 참여 보완도 필요
[뉴스핌=김규희 기자] 공동육아, 마을 라디오 방송, 카페 등 주민활동공간 등을 주민이 직접 계획·운영하는 ‘서울시 마을공동체 사업’이 시행 6년차에 접어들며 시민 13만 명이 참여했다.
서울시는 지난 2012년부터 주민이 직접 계획을 수립하고 제안, 실행 및 운영까지 주도하고, 시(市)가 재정과 교육, 컨설팅을 지원하는 ‘서울시 마을공동체 사업’을 시행해왔다.
2012년부터 4년간 마을기업 육성 등 총 4978개 사업이 주민 주도로 추진됐고, 총 12만8743명의 주민이 직·간접적으로 사업에 참여했다. 서울시민 100명 중 1명 꼴로 참여한 셈이다.
특히 1회성이 아닌 여러 해에 걸쳐 지속되는 사업에 참여하는 시민 수가 증가했다. 2012년 357명에서 2014년 1886명으로 늘었으며 총 3700명의 시민이 함께했다. 지속적 사업 참여 주민 수 증가는 지역 문제를 주민 스스로 인식하고 해결하려는 주민자치의 시작이자 참여시민들의 역량을 끌어올리는 계기로 이어졌다.
다만 마을공동체 사업에 참여한 집단은 여성과 30·40대가 대부분으로 남성과 청년층 등 보다 다양한 시민 참여를 이끌어내기 위한 다양한 전략이 필요하다는 분석도 제기됐다. 마을공동체 사업은 여성이 73%, 30·40대가 59%로 가장 많이 참여했다.
서울시는 마을공동체 지원사업의 2012~2015년 추진 결과를 이와 같이 발표하고 평가·분석해 ‘제2기 마을공동체 기본계획’을 오는 11월까지 수립한다.
시는 마을넷 대표자 회의, 자생단(자치구 마을생태계조성지원단) 연석회의, 마을사업 담당 공무원 소통회의 등 이해관계자별 공론장을 가동해 기존 사업을 평가·분석하고 2기 정책 의제에 대한 의견수렴 과정을 가질 방침이다.
아울러 일반시민과 마을공동체 사업 참여자, 공무원, 중간지원조직, 마을넷 대표자 등을 대상으로 온·오프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할 예정이다.
전효관 서울혁신기획관은 “지난 5년간 부모커뮤니티, 마을예술창작소, 마을미디어 지원사업 등 체감형 정책을 꾸준히 추진해 대도시 서울에 마을공동체와 골목 네트워크가 살아나는 계기를 마련했다”며 “성과는 더 발전시키고 보완점은 충분히 반영해 2기 기본계획을 수립하겠다”고 밝혔다.
서울시 관악구 삼성동 '깨쏟동'(깨가 쏟아지는 동네) 주민들은 합창단 활동 등을 통해 주민들과 '공동체'를 형성할 수 있었다. [서울시마을공동체 종합지원센터 제공] |
[뉴스핌 Newspim] 김규희 기자 (Q2kim@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