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핌=이보람 기자] 1944년 6월 미·중 연합군은 일본군이 점령한 중국 송산 등을 점령했고, 이때 일본군 위안부로 있던 24명 중 10명을 포로로 잡았다.
당시 모습을 담은 위안부 사진은 한국인 위안부의 참상을 증명하는 자료로 활용됐다.
특히 2000년 12월 일본 도쿄에서 열린 '일본군 성노예전범 여성국제법정' 준비 과정에서 피해자 고(故) 박영심(1993년 피해증언, 2006년 별세) 할머니가 사진 속 만삭의 여성이 자신이라고 스스로 밝혀 주목을 받기도 했다.
그로부터 17년이 지난 2017년. 당시 사진 속 송산에 포로로 잡혀있던 한국인 일본군 위안부를 촬영한 흑백 영상이 처음으로 공개됐다.
그동안 한국인 위안부에 대한 증언과 문서, 사진 등이 공개된 적은 있지만 실제 촬영된 영상이 공개되는 것은 세계 최초다.
서울시와 서울대 인권센터(서울대 정진성 교수 연구팀)는 2년여 간의 조사 끝에 미국 국립문서기록관리청(NARA) 2관에서 70년 넘게 잠자고 있던 위안부 영상을 발굴, 이를 5일 언론에 공개했다.
이는 미·중 연합군으로 활동했던 미군 164통신대 사진대 배속 사진병(에드워드 페이 병장 추정)이 1944년 9월8일 직후 촬영해 소장했던 것이다.
영상 속에는 송산에서 포로로 잡힌 한국인 위안부를 포함해 7명의 여성의 모습이 담겨 있다.
미·중 연합군 산하 제8군 사령부 참모장교 신카이(Shin Kai) 대위(중국군 장교)로 추정되는 남성이 위안부 여성 1명과 대화를 나누고 있고, 나머지 여성들은 초조하거나 두려운 표정으로 침묵하고 있다.
<그래픽=뉴시스> |
영상 속 장소는 미·중 연합군 제8군 사령부가 임시로 사용한 민가 건물로 이곳에서 위안부 포로 심문이 이뤄졌다.
포로로 잡혔을 당시 만삭이었던 박영심 할머니는 탈출 과정에서 사산해 중국군의 치료를 받고 있었기 때문에 영상에서는 보이지 않는다고 서울대 정진성 연구팀은 설명했다.
서울시와 서울대 연구팀은 이 영상의 존재에 대한 단서를 찾은 후 2년 전부터 기존 문서와 사진 등을 분석해 관련 정보를 추적했다.
이후 NARA가 소장하고 있는 수많은 필름 릴(reel) 가운데 수백 통을 일일이 확인해 이번 영상을 발굴하는 데 성공했다.
연구팀은 영상 속 인물들을 한국인 위안부로 입증할 수 있는 근거로 박영심 할머니가 자신이라고 밝혔던 사진과 영상 속 인물들의 얼굴 또는 옷차림이 동일하다는 점을 제시했다.
연구팀은 또 영상 속 한국인 위안부가 정확히 누구인지는 특정할 수 없지만 적어도 이들은 미·중 연합군이 이후 포로 심문 과정에서 만든 '조선인 위안부 명부'에 있는 여성들이라고 설명했다.
이 때 작성한 명부에는 한국 이름과 당시 나이, 고향이 적혀 있다. 포로 명단 가운데는 박영심 할머니의 이름도 명확히 표기돼 있다.
[뉴스핌 Newspim] 이보람 기자 (brlee19@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