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핌=장주연 기자] 올해 충무로는 희비의 공존이었다. 환영받는 사랑과 그렇지 못한 사랑이 존재했고, 축복받지 못한 영화와 그렇지 못한 영화가 함께했다. 변화와 유지도 함께였다. 그간 충무로를 주름잡던 ‘아재’들 대신 ‘언니’들이 약진이 눈에 띄었으며, 여전히 ‘열일’하는 배우들 덕에 눈과 귀가 즐겁기도 했다. 다사다난했던, 2016년 극장가를 명대사로 돌아봤다. <①에서 계속>
<사진=롯데엔터테인먼트·송유미 미술기자> |
◆“감히 누구 앞을 가로막는 것이냐”…아재 열풍 넘어선 여우들의 약진
2016년은 여배우들의 활약이 유난히 두드러지는 한 해였다. 대개 소비되는 캐릭터였던 여배우들이 이야기의 주체가 돼 반격에 나선 것. 특히 이들은 자신만의 작품 세계를 유지하면서도 기존에 보여주지 않은 파격적 시도로 눈길을 끌었다.
대표 주자는 손예진과 윤여정이다. 손예진은 하루아침에 딸을 잃은 엄마(비밀은 없다)와 조선의 마지막 황녀 덕혜옹주(덕혜옹주)를 통해 폭발적인 연기력을 보여줬다. ‘매 순간 인생 연기 경신’이라는 찬사가 쏟아질 정도로 훌륭한 열연이었다. 윤여정 역시 상반된 두 작품 ‘계춘할망’과 ‘죽여주는 여자’로 50년 연기 내공을 입증했다.
말도 많고 탈도 많았지만, 김민희 역시 빛나는 연기로 여배우 열풍에 가세했다. 비록 개인사(?)로 시상식 무대에 오르진 않았으나 그는 ‘아가씨’로 제16회 디렉터스컷어워즈 여자연기상, 제37회 청룡영화상 여우주연상 등을 수상하며 저력을 과시했다. 같은 영화로 데뷔한 김태리 역시 각종 영화제에서 신인상을 휩쓸며 충무로 기대주로 우뚝 섰다.
이외에도 ‘널 기다리며’ ‘걷기왕’ 심은경, ‘날 보러와요’ 강예원, ‘해어화’ 한효주·천우희, ‘굿바이 싱글’ 김혜수, ‘미씽-사라진 여자’ 엄지원과 공효진 등이 힘을 보탰다.
<사진=CJ엔터테인먼트·송유미 미술기자> |
◆“전요, 이기는 편이 내 편입니다”…한 치 앞을 알 수 없는 반전 결과
흥행 예측을 뒤엎는 작품이 속출하는 재밌는(?) 일들도 있었다. 물론 여기에는 희비가 교차했다. 의외의 기쁨을 맛본 작품은 ‘럭키’였다. ‘유해진 표 코미디’라는 메리트는 있었으나 흥행 면에서 기대치가 높은 작품은 아니었다. 그러나 반전이 일어났다. 입소문을 타기 시작하면서 ‘럭키’는 손익분기점 180만 명을 훨씬 뛰어넘은 697만 명의 관객을 모으며 비수기 극장가에 활력을 불어넣었다.
반면 예상치 못한 흥행 성적표로 울상을 지은 작품도 있다. ‘아수라’가 그렇다. ‘아수라’는 ‘비트’(1997) 김성수 감독과 정우성의 재회, 충무로 흥행 보증수표 황정민과 곽도원의 출연 등으로 2016년 개봉작 중 가장 뜨거운 관심을 받았다. 상황은 달라진 건 영화가 베일을 벗은 후였다. 관객은 잔인한 장면과 어둠으로 치닫는 스토리 전개에 혹평을 쏟아냈고, ‘아수라’는 처참하게 실패했다.
‘가려진 시간’도 비슷한 경우다. 특유의 미스테리한 분위기와 소년이 된 강동원의 비주얼이 공개되면서 영화는 많은 여성 관객의 발길을 극장가로 이끌 것으로 보였다. 하지만 관객은 생각보다 냉정했다. 제 색깔이 분명한 작품이지만, 그만큼 마니아 성향이 짙은 탓이었다. 당연히 평은 좋지 못했고, 강동원은 ‘엠(M,2007)’ 이후 처음으로 손익분기점 돌파 실패작을 갖게 됐다.
이외에도 개봉 초반 박스오피스 10위권 내 진입조차 힘들었던 ‘귀향’과 ‘동주’가 역주행으로 흥행에 성공했고, 김혜수가 열연한 ‘굿바이 싱글’도 흥했다. 반면 ‘나를 잊지 말아요’ ‘그날의 분위기’ ‘로봇, 소리’ ‘시간이탈자’ ‘해어화’ ‘사냥’ ‘고산자, 대동여지도’ 등은 유명 배우와 대형 배급사를 등에 업고도 저조한 성적표를 받았다.
<사진=NEW·송유미 미술기자> |
◆“그 친구가 아니라 강재혁입니다”…카타르시스란 이런 것! 시국 반영 영화의 흥행
답답했던 마음은 다 똑같았을까. 시국 반영 영화들의 흥행도 눈에 띄었다. 여전히 박스오피스 상위권을 지키고 있는 ‘판도라’가 대표적이다. ‘판도라’는 ‘연가시’(2012) 박정우 감독이 4년을 거쳐 연출한 작품으로 지난 7일 개봉, 현재 400만 관객 돌파를 눈앞에 두고 있다.
영화는 예고 없이 찾아온 원전사고 속에서 최악의 사태를 막기 위한 평범한 사람들의 사투를 그려냈다. 원전사고에 초점을 맞춘 작품이지만, 기저에는 무능한 대통령과 책임 회피에 급급한 정부를 향한 날선 비판이 깔려있다. 대한민국 현실의 민낯을 관통하며 국가의 모습을 가감 없이 비판한 이야기는 많은 이의 공감을 얻었다.
지난 21일 개봉한 ‘마스터’도 같은 맥락이다. ‘마스터’의 흥행에는 이병헌, 강동원, 김우빈이라는 톱스타의 힘이 가장 컸지만, 이 영화 역시 시대를 겨냥한 듯한(물론 모든 영화는 최순실 게이트가 터지기 훨씬 전에 기획됐다) 대사와 상황, 그리고 이를 뒤엎는 시원한 결말로 관객들에게 카타르시스를 안겼다.
올여름 1156만, 712만 명의 관객을 동원하며 흥행 대열에 합류한 ‘부산행’과 ‘터널’도 마찬가지다. 평범한 사람이 극한 상황에 처한다는 설정으로 시작하는 두 편의 영화는 생명의 소중함을 말하는 동시에 허술한 한국사회안전망을 지적했다. 동시에 무책임한 정부와 특종에만 혈안이 된 언론을 향한 날선 비판도 잊지 않았다.
<사진=화앤담픽쳐스·송유미 미술기자> |
◆번외. “너와 함께한 시간은 모두 눈부셨다”…공유, 그리고 공유
올해 충무로를 말하면서 공유를 빼놓을 수는 없다. 지난해가 ‘(유)아인시대’였다면 2016년은 단연 공유의 해였다. 연달아 세 작품을 개봉한 공유는 연기력과 흥행력을 모두 인정받으며 충무로에서 자신의 입지를 확고히 했다.
시작은 지난 2월 개봉한 ‘남과 여’였다. 어른들의 멜로를 그린 이 영화에서 공유는 전도연과 격정 로맨스를 펼쳤다. 전작들, 그리고 현재 방영 중인 tvN 드라마 ‘도깨비’에서는 볼 수 없는 모습들이었다. 크게 흥행하지는 못했지만, 더 깊고 진해진 감정 연기는 배우 공유의 성장을 가늠케 했다. 오랜만에 등장한 정통 로맨스라는 점에서도 의미 있는 작품이었다.
7월에는 영화 ‘부산행’으로 천만 배우 대열에 합류했다. 올해 유일한 천만 영화인 ‘부산행’에서 공유는 타이틀롤 석우를 열연, 급속도로 변해가는 감정 연기부터 가슴 절절한 부성애까지 오점 없이 완벽하게 담아냈다.
연이어 추석 극장가도 장악했다. 1920년대 말 상해에서 경성으로 폭탄을 들여오려는 의열단과 이를 쫓는 일본 경찰 사이의 암투를 그린 ‘밀정’을 통해서였다. 공유는 의열단의 새로운 리더 김우진을 연기, 750만 관객을 불러모았다. 이로써 공유는 한 해 동안 무려 2000만 관객을 동원하는 쾌거를 이뤄냈다.
[뉴스핌 Newspim] 장주연 기자 (jjy333jjy@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