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플레 향방 간단치 않아
[뉴욕 = 뉴스핌 황숙혜 특파원] 이른바 트럼프 시대가 몰고 올 변화가 작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역시 예외가 아니다.
재정정책 확대를 근간으로 국가 운영의 핵심 축이 바뀌면서 연준의 통화정책 아젠다도 크게 달라질 수밖에 없는 상황.
재닛 옐런 연준 의장 <출처=블룸버그> |
미국 경제가 완전 고용에 근접한 상황에 대대적인 재정 확대와 세금 인하 및 인프라 투자는 인플레이션을 필두로 통화정책 여건을 크게 변화시킬 전망이다.
대통령 선거 기간 도널드 트럼프 당선자가 재닛 옐런 연준 의장의 초저금리 정책을 향해 비판의 날을 세운 데 따라 양측의 마찰이 우려되는 한편 인플레이션 상승을 축으로 한 통화정책 운용이 그리 간단치 않다는 것이 월가의 지적이다.
골드만 삭스와 스탠다드 차타드를 포함한 투자은행(IB)들이 트럼프 행정부의 정책 기조에 따라 보다 공격적인 긴축 통화정책을 펼 것이라는 의견을 연이어 내놓았다. 대선 이후 금리스왑이 앞으로 2~4년간 연준의 금리인상 가능성을 적극적으로 반영한 것도 같은 맥락이다.
도이체방크는 최근 보고서를 통해 “완전 고용과 강달러 쇼크의 진정에 따른 성장 회복, 여기에 핵심 인플레이션의 2% 도달 등 연준의 금리인상 여건이 충족됐다”며 “여기에 재정 측면의 경기 부양책도 연준이 대응해야 할 사안”이라고 강조했다.
하지만 연준이 대선 이후 국채 수익률 상승에서 드러난 시장의 예상만큼 매파 행보를 취할 것인지 여부는 그리 간단한 문제가 아니다.
재정확대와 인프라 투자가 인플레이션을 끌어올리는 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확실시 되지만 이민 축소나 보호 무역주의, 그리고 달러화 상승에 따른 파장을 간과할 수 없다.
또 대선에 앞서 옐런 의장은 이른바 압박 경제 정책에 나설 뜻을 시사한 바 있다. 금융위기 이후 회복 과정에 공급 측면에 발생한 흠집을 회복시키는 한편 목표 수준 이상의 인플레이션 상승과 중립 금리 수준의 상승을 용인한다는 것.
이와 관련, 르네상스 매크로 리서치의 닐 듀타 이코노미스트는 블룸버그와 인터뷰에서 “옐런 의장이 트럼프 행정부의 재정 확대에 대응하는 데 지나치게 무게를 두지는 않을 것”이라며 “이 같은 측면에서 트럼프 당선자가 오히려 옐런 의장에게서 뜻하지 않은 공조를 얻어낼 수도 있다”고 전했다.
일부 시장 전문가들은 다양한 인플레이션 요인들을 구분해 내고 각각의 파장과 무게를 저울질하는 일이 앞으로 연준 정책자들에게 가장 커다란 과제가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세금 인하와 재정 부양책은 인플레이션을 끌어올리는 요인이지만 수입 관세 인상을 포함해 물가를 압박할 수 있는 요인도 적지 않기 때문에 일회적 요인에 의한 단기 물가 상승과 장기적인 측면의 가계 인플레이션 기대 저하를 동시에 파악해야 한다는 얘기다.
이와 함께 실질금리 및 신용 여건이 오히려 연준의 금리인상 여지를 좁힐 수 있다는 주장도 제기됐다.
비스포크 인베스트먼트의 조지 퍼크스 매크로 전략가는 “재정 지출 확대에도 실질금리가 오를 경우 신용시장 여건이 악화되면서 오히려 연준의 정책 반경이 위축될 수 있다”며 “앞으로 통화정책 방향은 트럼프 행정부의 다양한 정책들이 가져올 장단기 인플레이션 영향에 따라 결정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뉴스핌 Newspim] 황숙혜 뉴욕 특파원 (higrace@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