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구결과 허위보고·부정사용 '쌈짓돈'…10%도 회수 못해
[세종=뉴스핌 최영수 기자]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산기평)이 관리부실로 중단한 연구과제가 최근 6년간 330건에 이르고 수천억원의 혈세를 낭비한 것으로 드러났다.
13일 국회 산업통상자원위원회 이찬열 의원(더불어민주당,수원 장안)에 따르면, 2011년 이후 올해 7월까지 산기평이 중단한 연구과제는 330건으로 집계됐다.
![]() |
이찬열 더불어민주당 의원 <사진=이찬열의원실> |
중단된 연구과제에 들어간 정부지원금은 총 3897억원이다. 이 중 환수대상 금액은 513억원이며 342억원(66.6%)만 환수했다. 애초 정부지원금 대비로는 겨우 8.8%만 환수된 셈이다.
연구과제의 중단 이유는 '상대평가 중단'이 176건으로 가장 많았고, '기술성·사업성 미흡'이 44건, '기술개발 불성실'과 '사업비 부정사용'이 각각 28건으로 그 뒤를 이었다.
구체적인 사례를 살펴보면 이미 개발한 제품을 연구과제 결과물로 허위 보고하기도 했다. 총괄책임자가 퇴사하고 기존 참여연구원이 전원 교체된 적도 있었다.
또 정량적 목표를 달성했더라도 시장성이 있는 상품개발이 어려워 연구가 중단된 경우도 있었다. 그밖에 허위용역 발주 및 대금을 과다하게 계상하거나, 중소기업청 지원으로 얻은 결과를 허위로 보고한 경우도 있었다.
이찬열 의원은 "정부지원금을 마치 자신의 쌈짓돈처럼 여기는 행태가 여전하다"면서 "특히 기술개발 불성실 및 사업비 부정사용에 대해서는 엄격한 제재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국민의 혈세가 공중으로 날아가 버리는 것인 만큼 철저한 환수가 필요하다"며 "과제 선정 절차에 만전을 기해 중단 사태를 최대한 줄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뉴스핌 Newspim] 최영수 기자 (dream@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