車·휴대폰 주력 수출품 생산 차질
美 금리인상·대선, 북핵, 김영란법도 변수
[세종=뉴스핌 조동석 기자] 삼성전자의 갤럭시노트7 생산 중단으로 한국경제에 악재가 겹쳤다. 현대자동차 노조의 파업으로 우리 양대 주력 수출품목인 휴대전화와 자동차 수출에 빨간불이 켜진데다 내수는 좀체 살아날 기미를 보이지 않고 있다.
![]() |
삼성전자가 갤럭시노트7 전량 리콜에 이어 글로벌 시장에서의 제품 생산과 판매를 전면 중단한 11일 삼성전자의 주가는 급락해 전날보다 8.04% 떨어진 154만5000원에 거래를 마쳤다. 이날 코스피 지수는 24.89p(1.21%) 하락한 2031.93p로 장을 마감했다. <사진=김학선 사진기자> |
문제는 여기에서 그치지 않는다. 철도파업과 화물연대의 집단운송 거부는 언제 끝날지 모른다. 대우조선해양과 한진해운의 정상화는 멀어보인다.
11일 관세청이 따르면 10월 들어 지난 10일까지 수출액은 94억6800만달러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8.2% 줄었다.
월별 수출액은 19개월째 감소를 이어오다가 8월 들어 2.6% 증가로 반전했지만, 한달만인 지난 9월 다시 5.9% 감소했다.
주된 원인은 자동차와 휴대전화의 부진이다. 자동차는 전년 동기대비 51.9% 감소했고 무선통신기기는 31.2% 줄었다. 석유제품(-30.8%) 등의 감소폭도 두드러졌다. 현대차의 파업과 갤럭시노트7의 리콜 영향 떄문으로 풀이된다.
특히 부분품을 포함한 휴대전화의 경우 올 4~8월 전년대비 5개월 연속 감소했다. 8월 휴대전화 수출은 19억8000만달러로 전년 동기대비 18.1%나 줄었다.
갤럭시노트7 판매가 본격화되는 9월에는 반등이 예상됐다. 하지만 잇단 폭발사고에 따른 생산중단으로 부진에서 탈출하기란 당분간 어렵게 됐다.
최대 수출품록목인 반도체(-5.9%)도 부진을 면치 못하고 있다. 단가 하락 때문이다. 2014년 사상 첫 대일 흑자를 기록하며 수출효자 품목이 됐던 자동차부품(-20.3%) 등도 줄었다.
지역별로는 베트남(15.3%) 등지로의 수출은 증가했지만 중국(-18.3%), 미국(-23.0%), 유럽연합(EU·-27.2%), 일본(-21.7%) 등 주요 교역대상국으로는 일제히 감소했다.
우리가 쓸 수 있는 카드는 재정보강과 통화정책 뿐이다. 그러나 재정적자 가능성과 미국의 금리인상이 발목을 잡고 있다.
유일호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추경 등 재정보강 집행으로 경기를 보완하는 노력을 하고 있으나, 북핵도발, 미국 금리인상 가능성, 부정청탁금지법 시행, 구조조정 영향 등으로 대내외 불확실성이 높다”고 말했다.
이어 “이렇게 엄중한 경제여건 하에서 자동차-철도 등 파업이 장기화될 경우 경제 회복 모멘텀이 더 약화될 우려가 있다”고 했다.
기획재정부는 이날 발표한 ‘경제동향(그린북)’ 10월호에서 “차 파업영향 등으로 수출과 생산이 부진하고 경기회복세가 공고하지 않은 모습”이라며 “일부 업계의 파업 장기화 등이 경기회복세를 제약할 가능성이 있다”고 진단했다.
[뉴스핌 Newspim] 조동석 기자 (dscho@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