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핌=김승현 기자] 시설물 안전·품질 기준 등 설계자와 시공자가 준수해야 하는 국가건설기준이 선진국형 코드체계로 바뀐다. 지금까지 중복되거나 모순됐던 기준들이 체계화된다.
국토교통부는 오는 7월 1일부터 이 같은 내용을 담은 국가건설기준의 체계를 코드체계로 전환한다고 29일 밝혔다.
국가건설기준은 시설물의 안전·품질 및 공사비와 직결되는 국가 주요 지적 자산으로 설계자, 시공자 등이 준수해야 하는 기준이다.
코드체계는 설계기준(KDS)과 시공기준(KCS)으로 구분된다. 공종별 세부내용에 따라 체계적으로 분류하고 총 6자리 숫자를 부여해 관리·이용의 효율성을 높인다.
코드체계 전환으로 기준 간 중복·상충이 해소되고 코드단위별로 상시 개정이 가능해져 건설신기술 적기 반영이 가능해진다는 게 국토부의 설명이다. 데이터베이스(DB)로 구축돼 이력정보·연계정보 검색이 가능해져 건설기준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된다는 점도 장점이다.
이번에 코드체계로 전환되는 건설기준(설계기준/표준시방서)은 국토교통부 소관 34종이다. 해양수산부·환경부 등이 운영하는 8종은 올해 말, 발주청에서 운영중인 전문시방서는 내년 말에 코드체계로 전환될 예정이다.
지금까지 건설기준은 도로, 철도, 건축 등 분야별로 총 51종 책자 형태로 제시됐다. 이에 따라 기준 간 중복되는 내용이 많았고 같은 공종에 대해 분야별 적용 수치가 다른 경우도 있었다. 또 분야별로 별도 기준이 있다 보니 사용자가 여러 기준을 확인해야 하는 문제도 있었다.
국토부는 이를 개선하기 위해 지난 2013년 8월 ‘창조형 국가건설기준체계 구축방안’을 마련하고 컨트롤타워 역할을 맡는 국가건설기준센터(한국건설기술연구원 內)를 설립했다.
이용자 혼선을 최소화하기 위해 기존에 사용되던 건설기준은 1년간 사용할 수 있다. 자세한 내용은 국가건설기준센터 홈페이지(http://www.kcsc.re.kr)에서 확인할 수 있다.
국토부 관계자는 “이번 코드체계 마련을 시작으로 매년 실·검증 연구를 통해 국내 실정에 맞도록 지속적으로 보완하고 해외 건설기준과도 연계하는 등 건설기준을 지속적으로 선진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국가건설기준 코드체계 전환 개요 <자료=국토교통부> |
[뉴스핌 Newspim] 김승현 기자 (kimsh@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