센티미터 단위 초정밀 위치 모듈 초저가 공급 계획
[뉴스핌=황세준 기자] 스위스 반도체 팹리스 기업인 유블럭스가 한국 드론/무인항공기, 중장비/트렉터, 방송/스포츠/엔터테인먼트, 측지장비 시장에 공격적인 출사표를 던졌다.
유블럭스는 18일 코엑스 컨벤션센터 컨퍼런스룸(북) 203A호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글로벌내비게이션위성시스템(GNSS) 수신 모듈인 'NEO-M8P'를 소개하며 올해 3분기에 이 제품을 대량 출시하고 한국 시장을 본격 공략한다고 밝혔다.
간담회에는 스위스 본사의 무인항공기 담당인 피터 페어허스트 제품전략 수석과 김수한 유블럭스코리아 지사장이 발표자로 나섰다.
![]() |
유블럭스 임원들이 포즈를 취하고 있다. 좌측 김수한 한국지사장, 우측 피터 페어허스트(Peter Fairhurst) 제품전략 수석. <사진=유블럭스> |
피터 페어허스트에 따르면 이 제품은 가로 12.2mm, 세로 16mm, 높이 2.4mm의 초소형 모듈로 센티미터 수준의 초정밀 위치 정확도를 구현했다. 현재 나와있는 일반적인 GNSS 모듈의 오차범위는 1~3m다.
또 현재 시장에 나와있는 초정밀 GNSS 모듈의 가격이 개당 1만~3만달러에 달하는데 'NEO-M8P'는 매우 저렴한 가격으로 출시될 예정이다.
피터 페어허스트는 "초정밀 GNSS 솔루션은 우리가 세계 최초는 아니지만 구현 비용이 기존 제품 대비 10분의 1밖에 안된다는 게 경쟁력"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그러면서 "타깃 시장은 드론/무인항공기, 중장비/트렉터, 방송/스포츠/엔터테인먼트, 측지장비 등" 이라며 "각 시장에서 그동안 수요가 있어도 비싼 가격으로 인해 제한적으로 사용을 했는데 이제 우리가 가격을 저렴하게 내려 대부분의 시장을 겨냥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아울러 "가격을 낮춘 비결은 기존에는 모든 부품을 하나의 보드 위에 장착해야 했고 보드를 애플리케이션에 따라 각각 다르게 설계해야 했지만 다양한 기술을 하나의 폼팩터에 넣을 수 있게 개발했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김수한 지시장은 "경쟁사 대비 현저히 저렴한 가격적 이점을 활용해 공격적인 마케팅을 하겠다"며 "한국에서는 특히 감시용 드론 개발에 적극적인 기술 지원을 하겠다. 정부에서도 해양이라든지 산불감시 뿐만아니라 DMZ에서도 사용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김 지사장은 동시에 "연구 개발자 대상의 기술 시연회와 세미나 등을 통해 적극적으로 홍보하고 GNSS 관련 인력을 양성하는 대학의 연구개발도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유블럭스는 이 제품과 별개로 자율주행 자동차 환경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제품도 개발 중며 근시일 내에 발표를 하겠다고 밝혔다.
[뉴스핌 Newspim] 황세준 기자 (hsj@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