밸류운용 선두권 이탈...연말까지 가입해야
[편집자] 이 기사는 10월 23일 오후 8시 22분에 프리미엄 뉴스서비스 ‘ANDA’에 먼저 출고됐습니다.
[뉴스핌=이에라 기자] 근로자의 목돈마련을 위해 소득공제를 해준다는 소득공제장기펀드(소장펀드) 시장의 판세가 바뀌었다. 수익률 1위를 고수하던 한국밸류운용이 주춤한 사이 미래에셋자산운용과 한국투자신탁운용이 수익률 선두에 올라섰다.
◆ 출시 1년 반, 누적수익률 선두 운용사 '미래에셋 한국투신'
23일 펀드평가사(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지난 21일 기준 설정액 10억원 이상 59개 소장펀드 중 미래에셋자산운용의 소득공제장기성장유망중소형주증권전환형자투자신탁 1(주식)종류C-e의 1년 수익률이 31.43%로 가장 좋았다.
이는 같은기간 소장펀드 평균 수익률인 5.66% 을 크게 앞선 것이다.
한국투자신탁운용의 네비게이터소득공제증권전환형자투자신탁(주식)(C)이 14.87%였다. 신영자산운용의 마라톤소득공제증권자투자신탁(주식)S-T형이 14.10%로 뒤를 이었다.
지난해 3월 동시에 출시된 이들 펀드는 누적 수익률도 선두권이다. 소득공제장기성장유망중소형주펀드는 38.47% 였고, 네비게이터소득공제펀드는 24.62%였다.
소장펀드 출시 초기만 하더라도 장기투자 운용철학을 갖춘 펀드가 부각됐다. 한국밸류운용의 10년투자소득공제펀드는 출시 1년인 지난 3월 누적 수익률이 11%대로 소장펀드 중 가장 양호했다. 양호한 수익률로 설정액이 1000억원을 돌파, 시장 점유율이 50%에 가까웠다. 이 펀드는 현재 누적 수익률이 15%대로 선두권에서 밀려났다.
◆ 소장펀드, 올해까지만 가입 가능..장기 성과 중요
소득공제 혜택이 부여되는 소장펀드는 올해까지만 가입이 가능한 상품이다. 급여 5000만원 이하 근로자가 연간 600만원 한도내에서 가입할 수 있고, 연간 240만원 한도내에서 납입액의 40% 해당액을 연말정산시 환급받게 되는 것이다.
소장펀드는 최소 5년에서 최장 10년 간 가입해야 하기때문에 장기 수익률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단기 수익률에 휘둘리지 않고, 장기 성과가 검증된 운용사 대표펀드를 위주로 주목하라는 조언이다.
오온수 현대증권 투자컨설팅센터 팀장은 "소장펀드는 5년 이상 가입해야하기 때문에 장기투자해야 한다"며 "단기 수익률에 연연하기 보다 각 운용사의 장기 성과가 검증된 대표펀드를 선택하라"고 당부했다.
장기 투자가 필수인 만큼 갈아타기가 가능한 전환형 펀드, 일명 엄브렐라펀드를 선택하는 것도 활용할만 하다. 엄브렐라 펀드란 하나의 모(母)펀드 아래 여러 개의 자(子)펀드를 묶어놓은 상품이다.
한국투자신탁운용 관계자는 "전환형으로 설정된 펀드의 경우에는 전환형 펀드 간에 수수료 없이 자유롭게 이동가능하기 때문에 시장 상황에 따라서 자산배분도 가능하다"고 말했다.
[뉴스핌 Newspim] 이에라 기자 (ERA@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