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행은 누구와 가느냐에 따라 즐거움과 의미가 달라진다고 하는데 이번 여행에서도 운이 좋았다. 열댓 명의 일행과 두루 친했는데 그 중 스페인 남자는 아주 특이한 구석이 있었다. 키가 이 미터는 되어 보였으며 동화작가였다. 큰 키에 비해 얼굴은 작고 개구쟁이처럼 생겼으며 말을 속삭이듯이 잘 했다. 카파도키아의 또다른 명소인 파사바 계곡을 동화작가와 함께 투어하는 것은 딱 맞는 궁합이었다.
“파사바 계곡은 개구쟁이 스머프의 배경이 된 곳이지요.”
봉고에서 우리를 내려준 기사 겸 가이드가 말했다. 정말 언젠가 본 적이 있는 그 영화의 배경 속으로 들어선 기분이었다. 버섯처럼 생긴 바위산들이 익살스런 모양으로 즐비하게 늘어서 있었다. 동화작가와 나는 서로 얼굴을 바라보며 기분 좋게 웃다가 바위를 타고 올라갔다. 파란 하늘에 하얀 구름, 커다란 버섯 바위에 그와 나뿐이었다. 그도 나와 끼가 비슷한지 하늘을 우러러보더니 웃통을 벗기 시작했다. 동화작가 다웠다. 엊저녁 괴레메의 저녁 노을에 적셔질 때의 맛을 알고 있는 나도 웃통을 벗었다. 우리는 맨 몸으로 버섯 바위의 정상에서 대자연의 아름다움을 맘껏 만끽하며 놀았다.
“봉고 떠나. 내려와.”
그의 미모의 애인이 저 아래에서 웃으며 외친 것은 한참 후였다. 웬만한 곳은 동행하다가 이 바위산은 높고 가팔라 우리 둘만 오른 것이었다. 동화작가와 나는 웃옷을 서둘러 입고 봉고가 있는 것으로 달려 나갔다. 십 여분은 기다렸을 일행 중 단 한명도 핀잔을 주거나 얼굴을 찡그리지 않았다. 모두가 배려 깊은 미소를 지으며 다정하게 맞아주었다. 미안한 마음 속에 가슴이 따스하게 차올랐다.
진정한 배려가 주는 온기를 안은채 우리는 다시 절경 속을 달려나갔다. 그의 미모의 애인은 선글라스를 낀채 스머프가 뛰노는듯한 풍경을 즐기고 있었다. 한 시간 정도 달리자 ‘데린쿠유’라고 불리는 지하도시가 우리를 기다리고 있었다.
“데린쿠유는 깊은 우물이라는 뜻이지요. 이 지하 도시는 깊이 55 미터에 지하 20층까지 있습니다. 입장이 허용되는 곳은 8층까지뿐이지요. 최대 이만 명을 수용할 수 있답니다.”
지하 몇 층에선가 가이드가 한 말은 탄성과 동시에 공포를 자아내기에 충분했다. 지하 20층이라면 나는 인공적인 빌딩에서 들어가본 적이 없다. 그처럼 깊은 지하 공간을 가진 빌딩이 실제로 있는 건지도 알지 못한다. 그런 단순한 비교에서 오는 섬찟함에다가 암반을 파고 들어가 그 깊이까지 삶의 공간을 만들었다는 사실이 가세했기 때문일 것이다. 저 바깥은 삶을 유지하기엔 너무도 척박해 보인다. 암반을 달굴 듯 작열하는 태양과 헐벗은 황무지만 봐도 그렇다. 견딜 수 없는 혹독한 한계에 처해 지하로 파고 들어가기 시작했을 것이다.
“이 지하도시를 처음 만든 것은 기원전 8세기에서 7세기까지 히타이트 족이라고 추정된답니다. 로마 시대와 비잔틴 시대를 거치면서 규모가 점점 확장되어 나가는 거죠.”
히타이트 인들은 대지 위의 괴암을 파들어가 사는 것으로 삶과 문명이 해결되지 않아 이 지하까지 삶의 공간을 넓힌다. 시대를 거쳐나가면서도 그렇게 할 수밖에 없었을 숙명적인 지독함이 텁텁한 돌내음 속에 혼곤한 울림을 주고 있었다.
“초기 기독교인들도 박해를 피해 이곳에서도 많이 살았지요.”
진한 비애감과 함께 동굴 안을 돌아보니 교회 뿐 아니라 그에 딸린 식당, 강당, 주거지 용도의 공간이 어둑한 음영 속에 펼쳐져 있었다. 성경을 가르쳤을 학교 공간과 함께 밥을 해 먹은 흔적으로서의 연기 그을린 자국은 어제의 석굴 교회에서처럼 아리게 눈길을 끌었다. 이중삼중의 함정들을 설치해 놓은 곳도 있는데 가령 적이 쳐들어 올 것을 대비해 파놓은 첫번째 함정이 실패로 돌아갈 경우에 또다시 대비한 치열함의 결과일 것이다. 생사가 오가는 궁극의 한계에선 그렇게밖에 다른 도리가 없었을 처절 앞에 먹먹한 마음을 지울 수가 없었다.
데린쿠유에서 진지한 시간을 보낸 다음 우리는 밖으로 나와 봉고에 실려 달려나갔다. 광활한 중부 대륙. 나무 한그루 없는 황량한 모래벌판이 모진 척박성을 드러내며 열을 달구고 있었다. 달리고 달려 어느 사원 앞에서 봉고는 멈췄다.
“카멜 사원입니다. 실크로드가 이곳을 지나갔지요. 상인들과 낙타가 이곳에서 쉬다가 또다시 먼 길로 떠났곤 했지요.”
실크로드! 감개가 무량했다. 아득한 시대의 동과 서의 교류. 중국으로부터 로마까지 이르는 비단길이 바로 이곳을 지나는 것이다. 비단길. 그 말이 내게 주어온 끝 모를 풍성함이 새삼 밀려와 가슴을 두근거리며 서 있던 나는 동화작가와 함께 사원의 계단을 타고 올라갔다. 꼭대기에 서서 동쪽을 그 끝까지 바라보는 마음으로 바라보았다. 눈길을 돌려 서쪽 방향도 바라보았다. 아득한 시절부터 그 길을 오간 무수한 사람들의 삶의 내음이 조금은 만져지는 듯 했다. 동화작가도 무슨 상상을 속으로 펼치는지 아무 말 없이 사방을 둘러보고 있었다.
오늘 아침엔 버섯 모양의 진귀한 바위들을 구경했고 그 후엔 끔찍함을 안고 있는 지하 도시를 본 탓에 더욱 불거진 바도 있을 것이다. 우리는 서로 즐거웠던 대화도 일체 없이 황무지 속에 장구하게 뻗은 실크로드가 전해주는 무언의 소리에 귀를 마냥 기울이고 있었다. 저 육로의 길로 비단이 지나갈 때 저 너머 딱딱한 암반 속에선 밥을 짓고 적을 따돌리며 살림을 꾸려나갔을 것을 생각하니 석양빛보다도 붉은 격정마저 내 가슴에 솟구치는 듯했다. 뒤늦게 따라 올라온 동화작가의 미모 애인은 선글라스가 제공하는 검은 배경 속에 실크로드를 또다른 맛으로 음미하고 있었다.
이명훈 (소설 ′작약도′ 저자)
봉고에서 우리를 내려준 기사 겸 가이드가 말했다. 정말 언젠가 본 적이 있는 그 영화의 배경 속으로 들어선 기분이었다. 버섯처럼 생긴 바위산들이 익살스런 모양으로 즐비하게 늘어서 있었다. 동화작가와 나는 서로 얼굴을 바라보며 기분 좋게 웃다가 바위를 타고 올라갔다. 파란 하늘에 하얀 구름, 커다란 버섯 바위에 그와 나뿐이었다. 그도 나와 끼가 비슷한지 하늘을 우러러보더니 웃통을 벗기 시작했다. 동화작가 다웠다. 엊저녁 괴레메의 저녁 노을에 적셔질 때의 맛을 알고 있는 나도 웃통을 벗었다. 우리는 맨 몸으로 버섯 바위의 정상에서 대자연의 아름다움을 맘껏 만끽하며 놀았다.
“봉고 떠나. 내려와.”
그의 미모의 애인이 저 아래에서 웃으며 외친 것은 한참 후였다. 웬만한 곳은 동행하다가 이 바위산은 높고 가팔라 우리 둘만 오른 것이었다. 동화작가와 나는 웃옷을 서둘러 입고 봉고가 있는 것으로 달려 나갔다. 십 여분은 기다렸을 일행 중 단 한명도 핀잔을 주거나 얼굴을 찡그리지 않았다. 모두가 배려 깊은 미소를 지으며 다정하게 맞아주었다. 미안한 마음 속에 가슴이 따스하게 차올랐다.
“이 지하도시를 처음 만든 것은 기원전 8세기에서 7세기까지 히타이트 족이라고 추정된답니다. 로마 시대와 비잔틴 시대를 거치면서 규모가 점점 확장되어 나가는 거죠.”
“초기 기독교인들도 박해를 피해 이곳에서도 많이 살았지요.”
진한 비애감과 함께 동굴 안을 돌아보니 교회 뿐 아니라 그에 딸린 식당, 강당, 주거지 용도의 공간이 어둑한 음영 속에 펼쳐져 있었다. 성경을 가르쳤을 학교 공간과 함께 밥을 해 먹은 흔적으로서의 연기 그을린 자국은 어제의 석굴 교회에서처럼 아리게 눈길을 끌었다. 이중삼중의 함정들을 설치해 놓은 곳도 있는데 가령 적이 쳐들어 올 것을 대비해 파놓은 첫번째 함정이 실패로 돌아갈 경우에 또다시 대비한 치열함의 결과일 것이다. 생사가 오가는 궁극의 한계에선 그렇게밖에 다른 도리가 없었을 처절 앞에 먹먹한 마음을 지울 수가 없었다.
데린쿠유에서 진지한 시간을 보낸 다음 우리는 밖으로 나와 봉고에 실려 달려나갔다. 광활한 중부 대륙. 나무 한그루 없는 황량한 모래벌판이 모진 척박성을 드러내며 열을 달구고 있었다. 달리고 달려 어느 사원 앞에서 봉고는 멈췄다.
“카멜 사원입니다. 실크로드가 이곳을 지나갔지요. 상인들과 낙타가 이곳에서 쉬다가 또다시 먼 길로 떠났곤 했지요.”
실크로드! 감개가 무량했다. 아득한 시대의 동과 서의 교류. 중국으로부터 로마까지 이르는 비단길이 바로 이곳을 지나는 것이다. 비단길. 그 말이 내게 주어온 끝 모를 풍성함이 새삼 밀려와 가슴을 두근거리며 서 있던 나는 동화작가와 함께 사원의 계단을 타고 올라갔다. 꼭대기에 서서 동쪽을 그 끝까지 바라보는 마음으로 바라보았다. 눈길을 돌려 서쪽 방향도 바라보았다. 아득한 시절부터 그 길을 오간 무수한 사람들의 삶의 내음이 조금은 만져지는 듯 했다. 동화작가도 무슨 상상을 속으로 펼치는지 아무 말 없이 사방을 둘러보고 있었다.
오늘 아침엔 버섯 모양의 진귀한 바위들을 구경했고 그 후엔 끔찍함을 안고 있는 지하 도시를 본 탓에 더욱 불거진 바도 있을 것이다. 우리는 서로 즐거웠던 대화도 일체 없이 황무지 속에 장구하게 뻗은 실크로드가 전해주는 무언의 소리에 귀를 마냥 기울이고 있었다. 저 육로의 길로 비단이 지나갈 때 저 너머 딱딱한 암반 속에선 밥을 짓고 적을 따돌리며 살림을 꾸려나갔을 것을 생각하니 석양빛보다도 붉은 격정마저 내 가슴에 솟구치는 듯했다. 뒤늦게 따라 올라온 동화작가의 미모 애인은 선글라스가 제공하는 검은 배경 속에 실크로드를 또다른 맛으로 음미하고 있었다.
이명훈 (소설 ′작약도′ 저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