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투자 유입가속, 위안화강세와 안정성장 지속
[뉴스핌=최헌규 중국전문기자] “중국에 투자를 해야 할것인가, 아니면 좀더 관망해야 하나. 또 기존 중국 사업(투자)을 늘려야 하나, 줄여야 하나’
2013년 연말이 다가오면서 세계적인 투자 기업들과 자본은 2014년 중국 경영과 중국 투자 전략을 어떻게 짜야할지를 놓고 또다시 이런 고민에 맞딱뜨리고 있다.
쉽지는 않지만 문제 해답의 실마리를 찾는데는 역시 중화인민공화국의 ‘주식’이라고 할 수 있는 중국 법정화폐 런민비(人民幣 위안화)의 환율 향방을 가늠해보는 게 첩경일 것이다.
이와 관련해 중국 경제 전문기관들은 글로벌 대규모 자금들이 위안화의 추가 상승 여력을 점치면서 중국 자산을 열심히 매입하고 있고, 이런 기조는 앞으로 상당기간 이어질 것이라고 단언한다.
이들 주장은 시진핑(習近平) 지도부가 이끄는 중국경제가 앞으로도 상당기간 안정 성장세를 유지할 전망이어서 위안화 가치가 계속 오를 것이라는 논리를 기반으로 하고 있다.
물론 국제 투자자들사이에는 중국경제 앞날에 대한 예측을 놓고 명암이 엇갈리고 있다. 비관론자들은 중국경제가 지방부채와 부동산 규제(거품 붕괴)로 인해 경착륙에 봉착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이들 주장에 대해 낙관론자들은 위안화 강세기조속에 국가 신용도도 양호하다며 중국이 안정성장을 지속할 것이라고 반박한다.
중국내 기류는 어떨까. 중국내에도 역시 '차이나 리스크' 현실화 우려와 안정 성장의 전망이 교차하고 있으나 2014년 중국 성장호의 순항과 지속 투자를 권유하는 주장에 더 힘이 실리는 분위기다.
중국 국가행정학원의 자문팀 연구원은 중국의 위안화 가치 상승은 중국 국가 신용을 반영하는 단적인 사례로서 글로벌 투자기관과 자본이 중국 경제를 좋게 보고 있다는 명백한 증거라고 지적했다.
위안화의 대달러 환율 중간가는 지난 25일 기준 6.1342위안을 기록했다. 위안화의 대달러 환율은 올들어 이날까지 2.53%하락(위안화 가치 상승)했다. 2012년 이수치는 1.03%였다. 작년에 비해 올들어 위안화 강세가 그만큼 가파르게 진행됐다는 얘기다.
통상 한 나라 통화가치 하락은 국제간 자본유동 및 무역수지에 각각 상반되는 효과를 가져온다. 통화 가치가 떨어지면 무역에는 유리하지만 국제자본 이탈이 발생하는 것이다.
만일 환율이 급등(위안화 가치 하락)추세로 돌아선다면 이론상으로 외자의 대량 이탈이 일어나고 이로인해 중국 경제에 큰 충격이 가해질 것이다.
위안화의 가치 하락은 중국 A증시 주식과 채권 부동산 등의 위안화 자산가격 하락을 의미한다. 위안화 표시 자산 보유자들은 자금을 처분해 해외로 가져나갈 것이고 이런 추세가 지속될 것으로 판단되면 외자의 대량 엑소더스가 빚어질 것이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한마디로 위안화가치가 떨어질만한 요인이 별로 없다고 진단한다.
또 큰 폭 떨어진다해도 과거의 경험으로 볼 때 아직은 국제간 자본유동(반출입) 규모가 작아 중국 경제가 받을 충격이 소폭에 그칠 것이라고 이들은 주장한다.
중국 국무원발전연구중심 세계발전연구소 딩이판(丁一凡) 부소장은 위안화추세와 자본유동의 관계를 면밀히 살펴볼 때 현재 위안화 강세의 주요 원인은 자본 유동에 의한 것이라고 진단했다. 즉 위안화 상승 기대감으로 인해 국제자본의 중국 유입이 가속화하고 이는 결국 위안화 가치를 높이는 동시에 중국 경제 전망을 밝혀주는 요인이 되고 있다.
위안화 가치가 하락하지 않을 것이라는 또다른 이유는 중국이 다른나라와의 무역에 있어서는 적자이지만 미국에 대해서는 여전히 큰 폭의 흑자를 기록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에비춰볼 때 장기적으로 위안화 가치는 달러에 대해 상승 기조를 나타낼 것으로 보인다.
다만 중국 당국이 제조업체들의 수출 경쟁력을 고려해 위안화 가치가 지나치게 가파르게 오르는 것도 방치하지 않을 것이라고 전문가들은 말한다. 이런 맥락에서 보면 올 한해 위안화 가치의 상승폭은 높아도 3%이내에 머물 것이라는 게 지배적인 관측이다.
중국 외환 전문가들은 외국 투자자들이 당장의 환율추이 이상으로 눈여겨 봐야할 것은 중국 정부의 환율 제도에 대한 방침이라고 강조한다. 18기3중전회가 통과시킨 ‘결정’문건이 위안화환율제도 개선을 분명히 언급했고 저우샤오촨(周小川) 인민은행장도 점차 위안화 환율 변동폭을 확대할 것이라고 분명히 말했다.
환율 시장화를 서두르겠다는 방침을 분명히 한 것이다. 이로인해 위안화 환율이 시장 수요에 의해 영향을 받는 정도가 그만큼 커질 것이다. 현재로서는 위안화의 대달러 환율 변동폭을 상하 1%에서 2%로 확대할 것이라는 관측이 유력한 상황이다.
중국경제 앞날에 대한 낙관적인 전망과 이에 기초한 위안화가치 상승 심리로 최근 중국에 몰려드는 국제 자본 입장에서는 투자 리스크도 높아지겠지만 그만큼 기대 수익도 커질 것이라는 점에서 매력이 될 수도 있다.
때마침 중국 당국은 QFII(외국인 적격기관투자자) 제도에 대한 자격과 투자한도 규제를 폐지해 해외 투자자 들에게 중국 투자 기회를 대폭 확대할 것이라고 밝혔다. 중국증시에서는 9월말 이후 약 2개월간 상하이종합지수가 2076~2271포인트의 침체장을 보였지만 세계적인 QFII들은 부단히 중국 A주 보유와 투자를 늘린 것으로 알려졌다.
[뉴스핌 Newspim] 최헌규 중국전문기자 (chk@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