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핌=문형민 기자] 증권사들이 은행권이 추진하고 있는 현금인출기(CD) 수수료 차등화에 반대하고 나섰다.
CD기 수수료 차등화는 실질적으로 수수료 인상을 의미하고, 증권사들의 지급결제서비스에 타격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9일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지난 6일 금융결제원에서 CD공동망 취급대행비용 정산체계 변경과 관련한 회의를 개최했다.
이 회의에서 보유하고 있는 CD기 대수에 따라 CD공동망 취급대행비용을 차등화하는 방식으로 비용 정산방식을 변경하는 방안을 논의했다.
하지만 증권사들은 "이 논의가 은행권의 수익을 증가시키기 위해 비은행 금융회사를 이용하는 금융소비자들의 비용을 증가시키는 것"이라며 회의에 불참했다.
아울러 당일 서면으로 문제제기하는 서안을 금융결제원에 제출했다.
증권사들은 이 서안에서 "금융결제원의 의사결정구조가 특정 금융권역에 의해 이뤄지고, 4000억원이 넘는 참가금을 납부한 금융투자회사들이 실질적인 의사결정에 참여할 수 없다는 점을 감안하면 이번 논의는 절차상으로도 타당하지 않다"고 밝혔다.
한편, 앞서 지난 7월 감사원은 금융결제원 감사결과에서 '증권회사의 지급결제망 특별참가비'가 과다하게 산정․부과됐음을 지적했다. 그 이후 아직까지 참가금 적정산정 여부, 특히 CD망 이용료의 중복계산 여부에 대한 논란이 해소되지 않은 상황이다.
금융투자회사 관계자는 "은행권에서 추진중인 CD망 수수료 차등화 논의는 결국 금융소비자의 부담을 증가시키는 결과를 가져올 것이기 때문에, 보다 다각적인 관점에서 검토가 있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CD기 수수료 차등화는 실질적으로 수수료 인상을 의미하고, 증권사들의 지급결제서비스에 타격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9일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지난 6일 금융결제원에서 CD공동망 취급대행비용 정산체계 변경과 관련한 회의를 개최했다.
이 회의에서 보유하고 있는 CD기 대수에 따라 CD공동망 취급대행비용을 차등화하는 방식으로 비용 정산방식을 변경하는 방안을 논의했다.
하지만 증권사들은 "이 논의가 은행권의 수익을 증가시키기 위해 비은행 금융회사를 이용하는 금융소비자들의 비용을 증가시키는 것"이라며 회의에 불참했다.
아울러 당일 서면으로 문제제기하는 서안을 금융결제원에 제출했다.
증권사들은 이 서안에서 "금융결제원의 의사결정구조가 특정 금융권역에 의해 이뤄지고, 4000억원이 넘는 참가금을 납부한 금융투자회사들이 실질적인 의사결정에 참여할 수 없다는 점을 감안하면 이번 논의는 절차상으로도 타당하지 않다"고 밝혔다.
한편, 앞서 지난 7월 감사원은 금융결제원 감사결과에서 '증권회사의 지급결제망 특별참가비'가 과다하게 산정․부과됐음을 지적했다. 그 이후 아직까지 참가금 적정산정 여부, 특히 CD망 이용료의 중복계산 여부에 대한 논란이 해소되지 않은 상황이다.
금융투자회사 관계자는 "은행권에서 추진중인 CD망 수수료 차등화 논의는 결국 금융소비자의 부담을 증가시키는 결과를 가져올 것이기 때문에, 보다 다각적인 관점에서 검토가 있어야 한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