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HLD에서 블루칩까지…차별화된 종목 구성 수익률 효과
세계 최초 금 현물 ETF, 비트코인 ETF 등 혁신 상품 공급
[서울=뉴스핌] 한기진 기자 = 미래에셋자산운용이 글로벌 12위 ETF(상장지수펀드) 운용사로 퀀텀점프했다.
현재 미래에셋자산운용은 전 세계에서 212조원의 ETF를 운용 중이다. 이는 국내 ETF 전체 시장 약 200조원 규모보다 큰 규모다. 전 세계 ETF 운용사 12위 수준으로, 글로벌 ETF 마켓 리더들과 치열한 경쟁을 펼치고 있다.
![]() |
미래에셋자산운용이 글로벌 ETF 운용사로 도약했다. [서울=뉴스핌] 한기진 기자 = 2025.05.27 hkj77@hanmail.net |
글로벌 투자자들은 미래에셋자산운용의 '킬러프로덕트'에 주목하고 있다. 미국에 상장된 'Global X Defense Tech(SHLD)'가 대표적이다. 지난 14일 기준 해당 ETF의 연초 이후 수익률은 39.9%로, 전 세계 주요 방산 ETF 중 압도적인 수익률을 기록 중이다. 같은 기간 'iShares US Aerospace & Defense'는 15.0%, 'Invesco Aerospace & Defense'는 12.2%, 'SPDR S&P Aerospace & Defense'는 10.5% 등 주요 글로벌 방산 ETF들이 10%대 수익률을 기록한 것과 대조적이다. 압도적인 수익률로 연초 이후 'SHLD'는 주요 방산 ETF 중 가장 많은 자금이 유입됐다.
이는 차별화 된 종목 구성 덕분이다. 대부분의 글로벌 방산주 ETF가 미국 기업들에 투자하는 반면 SHLD의 기초지수인 'Defense Tech 지수'는 유럽 기업을 약 35% 편입한다. 유럽 방산 기업들은 최근 트럼프 행정부가 재정적자 해소를 위해 자국 방위비는 낮추고, 유럽의 방위비 증액을 압박하면서 수혜를 보고 있다. 지정학적 분산 외에도 해당 지수는 팔란티어 등 인공지능을 접목한 차세대 방산주를 편입한 차별성이 돋보인다.
'Mirae Asset European Infrastructure Development Index'도 마찬가지다. 이는 러-우 전쟁 종전 이후 예상되는 우크라이나 재건 수요와 함께 유럽 전역에서 진행 중인 노후 인프라 현대화 흐름에 대응하기 위해 설계된 지수로, 교통, 에너지, 디지털 전환 등 핵심 인프라 개발에 직·간접적으로 기여하는 유럽 상장 기업들에 투자한다. 해당 지수는 연초 이후 14일 기준 약 30%의 수익률을 기록 중이다. 이 같은 혁신 상품에 최근 유럽 증시까지 연일 상승세를 보이며 글로벌엑스 유럽은 최근 급속한 성장세를 기록 중이다. 글로벌엑스 유럽은 지난 5년간 연평균 182%의 성장률을 기록하며, 순자산 규모가 3.8조원까지 확대됐다.
ETF 시장 규모가 커질수록 '킬러프로덕트'에 대한 고민이 짙어지는 가운데 미래에셋자산운용은 글로벌 네트워크를 활용해 시장을 심도 있게 분석하고 이를 지수 개발에 적용한다. 인도에 위치한 인덱스법인 '미래에셋글로벌인디시스(Mirae Asset Global Indices)'는 개발 초기 단계부터 법인별 ETF 전문가들과 소통하며 투자자 수요를 분석하고 유망 산업, 테마에 대해 논의한다. 단기적 유행 키워드가 아니라 국가 정책 변화, 산업 구조 재편, 글로벌 거시 흐름과 맞물린 중장기 성장성이 있는 테마를 타겟한다. 다양한 지표 분석 및 산업 성장성 리서치 병행을 통해 선제적으로 경쟁력 있는 상품을 발굴한다는 것이다.
미래에셋자산운용은 전 세계 투자자에게 투자 기회를 확대하는데 집중하고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지역에서 고안한 지수가 상품화된 후 성공을 거두면 다른 지역법인들도 이를 벤치마킹, 현지 투자자 성향을 반영한 해당 상품을 제공하는 방식으로 확장 적용하고 있다. 'SHLD'도 미국에서의 성공을 토대로 캐나다, 호주, 유럽에도 상장해 현지 투자자들에게 제공하고 있다. 'TIGER 글로벌혁신블루칩TOP10(464930)'의 기초지수인 '글로벌 혁신 블루칩 Top 10 지수' 역시 한국에 이어 일본, 홍콩, 캐나다에 상장돼 인기를 끌고 있다.
비트코인 ETF도 마찬가지다. 현재 Global X는 미국 등에서 다양한 비트코인 ETF를 출시, 글로벌 투자자들에게 인기를 끌고 있다. 국내에서도 비트코인 ETF가 허용될 경우 미래에셋자산운용의 TIGER ETF는 글로벌 네트워크를 활용한 벤치마킹을 통해 국내 투자자들이 원하는 비트코인 ETF를 가장 선제적으로 선보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미래에셋자산운용은 이처럼 탄탄한 글로벌 네트워크와 노하우를 기반으로 다양한 혁신 상품들을 선보인다는 계획이다. 2003년 세계 최초 호주 시장에 금 현물 기반 ETF를 출시하며 'Global X Physical Gold(GOLD AU)'를 통해 투자자들에게 쉽고 편리한 금 투자 기회를 제공한 것처럼, 새로운 패러다임을 만들어가는 것이 목표다.
hkj77@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