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J-36/J-50 시제기, 미국에 '경종'
"미국 6세대 시제기선 못 봤던 역량"
미국 6세대 개발 중단 상태, 비용 문제
ICBM과도 예산 경쟁, 드론으로 초점
이 기사는 1월 17일 오후 4시00분 '해외 주식 투자의 도우미' GAM(Global Asset Management)에 출고된 프리미엄 기사입니다. GAM에서 회원 가입을 하면 9000여 해외 종목의 프리미엄 기사를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핌] 이홍규 기자 = 미국의 군사력 증강 계획에서 비용 부담과 방향성 변화에 따라 우선순위에서 밀려났던 신형 전투기 개발이 재차 속도를 낼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지난달 하순 중국이 차세대 전투기 시제기의 시험비행을 선보이면서 미국의 '공중 우세력'이 약화할 수 있다는 염려가 나온 것이 그 배경이다. 전투기 개발이 다시 속도전에 돌입하면 미국 방위업체들의 희비도 갈릴 것으로 전망된다.
1. 미국에 '경종', 왜?
최근 미국 공군에 이러한 '경종(Wake-up Call)'을 울린 사례는 지난달 하순 중국에서 선보인 6세대 전투기로 분류되는 'J-36'과 'J-50' 시제기의 시험비행이다. 원래 2028년경에나 가능할 것으로 예상됐던 6세대 전투기 시험비행을 3년이나 앞당겨 실행한 셈이다. 미국보다 먼저 실전 배치할 가능성이 거론됐다. 이미 미국은 2020년 6세대 시제기의 시험비행을 선보였음에도 말이다.
중국 J-36 시제기 [사진=아시아타임스, 중국 소셜미디어 재인용] |
*미국의 전투기 계보는 1950년대 F-86 세이버부터 1세대로 분류해 현재까지 5세대인 F-22랩터(2005년)와 F-35라이트닝II(2015년)이 있다. 물론 세대별 분류가 큰 의미가 없고 상업적 마케팅의 일환이라는 말도 있지만 어쨌든 구분하자면 5세대와 6세대의 차이점은 기술상의 진보다. 6세대는 소위 전방위·능동형 스텔스 기능과 유·무인 비행전환, 인공지능(AI) 의사결정 시스템, 전자기(고출력 레이저·마이크로파) 에너지 무기, 집단 드론 간의 협업 기능 등을 가능하게 하는 전투기다.
전방위 스텔스 기술은 항공기의 모든 방향에서 레이더 탐지를 회피할 수 있는 기술을 의미한다. 메타물질 패널과 카본 나노튜브 코팅을 통해 레이더파의 99.7%를 흡수하거나 굴절시키는 방식으로 구현된다. 능동 스텔스는 실시간으로 주변 환경에 적응하는 기술이다. 항공기 외피에 설치된 메타물질 패널이 적의 레이더 주파수를 감지하고 이에 맞춰 스텔스 특성을 동적으로 조절하는 거다.
2. 중국이 앞선다?
중국의 시험비행이 주목을 받은 것은 첫째 서로 다르게 설계된 2가지 시제기를 동시에 시험비행 했다는 점이다. 병렬적 개발 능력을 보여주는 것으로 단일 시제기만 공개한 미국과 대비된다. J-36은 2개 엔진, J-50은 3개 엔진 탑재다. 둘째 J-50의 고출력 전기 생산이다. 소위 '3엔진 설계'는 고출력 전기 생산이 가능해 전자기 에너지 무기 등과 같은 차세대 무기체계 운용에 유리하다. 미국의 6세대 전투기 시제기에서는 시험비행 당시 구현되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밖에 2개 기종 모두 AI를 기반으로 하는 자율비행·표적인식의 기능을 갖췄고 최대 100대의 드론을 동시에 통제할 수 있다고 한다. 아울러 메타물질과 능동위장 시스템을 적용한 전방위·능동형 스텔스 기능도 포함돼 있다고 한다. 관련 기능 역시 2020년 당시 미국이 선보인 시제기에 포함되는 것으로 알려졌지만 앞서 언급한 2개의 특징은 중국의 기술력 진보를 보여준 사례로 거론된다.
미국 F-35A 라이트닝II [사진=블룸버그통신, 미국 공군 제공] |
물론 관련 능력이 검증된 것은 아니다. 그럼에도 미국에 경종을 울린 사례로 평가되는 이유는 현재 미국의 6세대 전투기 개발이 작년 7월부터 일시 중단 상태여서다. 미국과 중국의 기술력 격차가 좁혀질 수 있다는 우려다. 6세대 전투기 개발은 미국 공군의 'NGAD(차세대공중우세)' 프로그램에 포함되는데 이 중에서 드론 등을 제외하고 유인전투기 개발만 중단 상태다. 오는 20일부터 시작하는 차기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에서 재개 시점이 결정될 것으로 전망된다.
3. 개발 중단, 이유는
개발 중단의 큰 이유는 비용 문제와 이에 따른 예산 우선순위 변화다. 비용 문제를 설명하면 2024~2029회계연도까지 5년 동안 총 285억달러의 NGAD 개발 예산이 필요할 것으로 전망되는데 유인 전투기 개발 추산액만 196억달러다. 대량 구매까지 포함하면 그 금액은 더 늘어난다. 6세대의 1대당 가격은 F-35의 3배인 3억달러에 달할 것으로 전망되는데 공군은 당초 200대 도입을 목표로 했다. ICBM 개발 같은 다른 사업과도 예산 경쟁을 벌여야 한다.
현재 미국 국방부는 유인 전투기 개발보다 드론 개발에 집중하는 전략적 전환의 자세를 보인다. 우크라이나와 러시아 전쟁 같은 현대전에서 드론의 전투 효율성(다양한 작전 환경에서 유연하게 운용 가능)이 확인됐고 유인 전투기를 운용하는 것보다 비용도 낮은 만큼 유인력이 있을 수밖에 없다. 드론은 모듈형 설계를 통해 정찰·감시·전자전·표적 지정 등 다양한 임무 용도에 맞게 장비를 교체할 수 있는 등 효율성이 우수한 것으로 평가받는다.
▶②편에서 계속
bernard0202@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