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최현민 기자 = 올해 서울 빌라 월세 거래량이 처음 5만건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부터 빌라를 중심으로 전세보증금 미반환 사태가 생겨나면서 빌라 임대차 시장이 전세에서 월세로 이동하는 분위기다.
![]() |
올해 서울 빌라 월세 거래량이 처음 5만건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내 아파트 모습. [사진=뉴스핌DB] |
29일 경제만랩이 서울부동산정보광장을 분석 결과 올해 1월부터 10월까지 서울 빌라(다세대·연립주택) 전월세 거래량은 11만1440건으로 나타났다. 이중 월세 거래량은 5만1984건으로 서울부동산정보광장이 관련 통계를 작성하기 시작한 2011년(1~10월 기준) 역대 최다를 기록했다.
1월부터 10월기준 빌라 월세 거래량은 ▲2020년 2만8043건 ▲2021년 3만5688건 ▲2022년 4만6994건으로 상승세를 보였다. 빌라 임대차에서 월세가 차지하는 비중도 ▲2020년 29.2% ▲2021년 32.1% ▲2022년 38.1%로 상승하다 올해 46.6%로 역대 최고를 보였다.
전세 거래량 경우 지난해 1~10월 7만6365건으로 역대 최고를 기록했다. 하지만 올해 5만9456건으로 전년대비 22.1% 감소했다. 임대차 계약은 전세와 월세가 낀 순수월세·준월세·준전세로 분류할 수 있다. 순수월세는 보증금이 월세의 12개월치 이하인 임대차 거래, 준월세는 보증금이 월세의 12∼240개월 치인 거래, 준전세는 보증금이 월세의 240개월치를 초과하는 거래를 뜻한다.
다만 월세 거래에서 준전세 거래가 큰 폭으로 늘어난 것으로 확인됐다. 올해 1~10월 서울 빌라 준전세 거래량은 1만5200건으로 전년대비(1만2429건) 22.3% 증가했다. 같은 기간 준월세 거래량은 2만9982건에서 3만2140건으로 7.2% 상승했다. 순수월세 거래량은 4583건에서 4644건으로 1.3% 늘었다.
서울 25개 자치구에서 월세 거래가 가장 많은 곳은 송파구로 8321건으로 집계됐다. 이어 ▲강남구 3325건 ▲강서구 3192건 ▲광진구 3029건 ▲마포구 2918건 ▲강동구 2887건 ▲서초구 2871건 ▲은평구 2624건 ▲관악구 2507건 ▲동작구 2134건 등이 뒤를 이었다.
min72@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