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대전환' 정보화 사업에 3459억 투입
메타버스·AI '스마트 도시'에 1126억 투자
[서울=뉴스핌] 조정한 기자 = 서울시가 메타버스·빅데이터 등을 활용한 '스마트도시' 구축에 나선다. 코로나19로 빨라진 비대면 시대를 맞아 신기술을 행정서비스에 도입, 시민 편의와 효용성을 높이겠다는 구상이다.
시는 코로나 이후를 대비한 '디지털 대전환'을 시도, 올해 1067건의 정보화사업에 총 3459억원의 예산을 집중투자한다고 13일 밝혔다.
'DDP(동대문디자인플라자)패션몰 메타버스 패션쇼' [자료=서울시] |
특히 메타버스·빅데이터·인공지능(AI) 등 '스마트 도시' 분야에만 1126억원을 투자키로 했다. 해당 사업엔 ▲빅데이터(132억원) ▲인공지능 (53억원) ▲CCTV(379억원) ▲와이파이(37억원) ▲사물인터넷(63억원) ▲클라우드(72억원) ▲블록체인(11억원) ▲메타버스(70억원) ▲AR·VR(16억원) ▲GIS(156억원) ▲비대면(21억원) ▲모바일(116억원)이다.
먼저 가상 공간에서 비대면 소통이 가능한 메타버스 기술 활용에 70억원을 투입, '메타버스 서울(가칭)'을 만든다. 서울시는 지난해 말 전국 최초로 '메타버스 서울 제야의 종 페스티벌' 행사를 개최, 8일 동안 1만6067명의 참여를 이끌어낸 바 있다.
서울시 메타버스 사업 담당자는 "올해 2~3월 발주를 통해 메타버스 사업을 시작할 계획"이라며 "발주 전까지 메타버스 담당 인원을 정하고 각 분야 담당자들과 소통해 구체적인 사업 내용을 정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교육, 문화, 관광, 민원 등 전 분야 행정서비스에 메타버스 생태계를 조성하는 것이 목표이나, 메타버스 구축이 복잡한 만큼 단계적으로 적용하게 될 것"이라며 "서울 시민들의 편의를 높이는 방향으로 메타버스를 구축, 이르면 올해 연말 중으로 서비스할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아울러 가상현실 기술(VR·AR)을 활용한 실감콘텐츠를 박물관, 시 주요 랜드마크 등에 적용해 시민들이 대상지에 방문하지 않고도 현장감 있게 즐길 수 있도록 서비스할 예정이다.
또한 서울시는 677억원을 투입해 빅데이터·인공지능(AI)·사물인터넷(IoT)·블록체인 등 신기술을 융합·적용, 차원 높은 디지털 행정서비스도 제공하기로 했다. 대표적으로 ▲서울시 공공 빅데이터를 수집·분석·표출하는 '빅데이터 서비스 플랫폼' 구축 ▲기존에 운영 중인 'AI 상수도 민원상담' 서비스 고도화 사업이 있다.
사회 안전망 확충에도 투자를 이어간다. AI가 결합된 '지능형 CCTV' 확충 등에 전년 대비 62억원이 증가한 379억원을 투입한다.
서울시청 전경. [서울=뉴스핌] |
▲AI가 얼굴 정보를 학습한 후 CCTV 영상을 보며 치매 어르신의 위치를 파악하는 '치매 어르신 실종방지 시스템' 구축 ▲양화·동호·원효대교에 한강 투신을 감지하는 'CCTV 감시영상' 설치사업 ▲AI가 공사장 CCTV를 분석하고 위험상황 발생 시 현장 관리자에게 즉시 경보하는 '공사장 시각 지능시스템' 구축 사업 등이 있다.
디지털 포용사회 구현을 위한 노인·장애인 등 디지털 취약계층 역량 강화 교육에도 20억원을 투입한다.
사업 발주시기로 보면 ▲1·4분기 457건(43%) ▲2·4분기 120건(11%) ▲3·4분기 이후 32건(3%)이다. 이를 통해 3494개의 일자리를 창출하고 중소 규모 정보통신기술(ICT) 기업의 성장에 견인차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정보화 사업의 자세한 내용과 발주 일정 등은 사업 홈페이지에서 이날 오후 5시부터 확인할 수 있다.
박종수 스마트도시정책관은 "코로나 펜데믹과 ICT 기술 대변혁으로 인해 이전에 경험하지 못한 새로운 시대를 맞이하고 있다"면서 "디지털 기술을 통한 신개념 행정서비스를 확대해 시민 생활 전반에 걸쳐 편의와 효용성을 높여 나가겠다"고 말했다.
giveit90@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