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 보너스 소멸 위기에 로봇이 흑기사로 자처
노동력 대체 효과에 인구 문제 해결 도우미 주목
[서울=뉴스핌] 이동현기자=중국의 출산율 감소에 따른 노동력 감소, 성비 불균형 등 인구 구조적 변화에 따른 문제에 로봇이 돌파구가 될 것이란 관측이 제기돼 주목을 받고 있다.
중국사회과학원(中國社會科學院)의 인구전문가 천추린(陳秋霖) 주임은 연구 보고서를 통해 “중국은 인구보너스(人口紅利) 시대에서 '스마트 보너스'(智能紅利) 시대로 나아가고 있다”며 “노동력 대체 효과를 창출하는 로봇 및 인공지능 산업을 집중 육성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중국은 이미 지난 2013년부터 세계 최대 로봇시장이 됐다. 2016년 중국의 산업용 로봇 설치 규모는 전년대비 27% 증가한 8만 7000대에 달했다. 이 같은 규모는 같은해 유럽과 미국의 로봇 설치 숫자를 합친 것과 맞먹는 수준으로, 전세계 로봇 설치 수의 30%에 달하는 비중인 것으로 집계됐다.
또 산업 현장뿐만 아니라 대표적인 접객 업소인 호텔, 식당에도 서비스 로봇이 등장, 중국의 산업 전반에 ‘무인 혁신’의 바람이 불고 있다.
알리바바 로봇을 활용한 스마트 호텔[사진=바이두] |
◆ 소멸돼가는 '인구 보너스' 해결사로 주목
최근 중국 유통 및 외식 업계에서는 최근 인력을 대체하는 무인(無人)화 열풍이 거세게 불고 있다. 로봇은 인건비 상승 및 노동력 감소에 따른 구인난에 대한 실질적인 해결책으로, 서비스 업계에서 응용이 확대되는 모양새다.
중국 간판 IT 업체인 알리바바는 로봇 기반의 ‘무인 식당’에 이어 안면 인식과 로봇을 이용한 스마트 호텔 운영에 들어가면서 로봇 활용에 가장 적극적인 모습이다.
알리바바 산하 신선식품 매장인 허마셴성(盒馬鮮生)은 지난해 2월 상하이에 로봇 식당을 개설했다. 캐리어 로봇이 주문한 요리를 고객에게 전달하는 한편, 음식 주문도 디스플레이를 통해 진행해 서비스 과정의 ‘무인화’를 실현하고 있다,
경쟁업체인 징둥(京東)은 오는 2020년까지 로봇이 서빙하는 식당 수를 2000여곳까지 확대한다는 계획을 발표하기도 했다.
시장조사기관 아이리서치(艾瑞咨詢)에 따르면, 중국 서비스 업계는 임대료 및 인건비 상승, 높은 식자재 원가, 낮은 마진율 등 요인으로 갈수록 비용은 커지는 반면 수익성은 떨어지는 이중고에 시달리고 있다. 이에 로봇의 응용은 수익성 악화에 시달리는 업계에 하나의 솔루션으로 떠오르고 있는 것.
이처럼 노동력 대체 효과를 창출하는 서비스 로봇 시장은 공공장소, 병원, 일반 가정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되면서 중국에서 고속 성장을 구가하고 있다.
중국 매체 제멘(界面)에 따르면, 지난 2017년 중국의 서비스 로봇 시장규모는 13억 2000만 달러로 전년비 28% 증가했다. 중국의 서비스 로봇시장은 글로벌 평균 성장세를 웃돌며 빠르게 발전하고 있는 모양새다.
중국의 대표적인 서비스로봇 업체로는 신송로봇(新松机器人), 에코백스 로보틱스(科沃斯) 샤오i로봇(小i机器人) 등 기업이 주목 받고 있다.
노인용 서비스 로봇[사진=바이두] |
중국이 직면한 고령화 문제도 서비스 로봇 산업 발전의 탄탄한 기반이 되고 있다.
통계에 따르면, 2016년 말 기준 60세 이상의 중국 노인인구는 2억 3000만명에 달한다. 또 부양 가족의 도움 없이 독자적으로 일상생활 영위가 불가능한 노인 인구도 3750만명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업계 전문가들은 “노인을 돌보는 인구가 부족한 상황에서 서비스 로봇은 인력 대체 효과는 물론 효율적인 ‘노인 돌보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입을 모았다.
성인용품 로봇[사진=바이두] |
◆심각한 성비 불균형에 로봇이 대안
심각한 성비 불균형으로 골머리를 앓고 있는 중국에 로봇이 대안이 될 수 있다는 주장이 제기돼 비상한 관심을 받고 있다.
중국의 저명 사회학자인 리인허(李銀河) 인민대학 인구발전연구중심 주임(人民大學人口與發展研究中心主任)은 최근 중국 온라인 매체 이탸오(一條)와 인터뷰에서 로봇과 성관계를 할 수 있는 일명 ‘섹스봇’의 구매 행위가 온라인 몰에서 일반 상품 구매처럼 보편화 될 것”이라며 “로봇은 에이즈와 같은 전염병이 확산되는 시대에 가장 안전한 성관계를 맺는 수단이 될 것으로 본다”고 밝혔다.
통계에 따르면, 지난 2018년 중국의 총인구가 13억9천538만명 중 남성은 7억1천351만명, 여성이 6억8천187만명으로 집계됐다. 또 남녀 성비(여성 100명당 남성수)는 104.64으로, 남성이 여성에 비해 3164만명이 많은 성비 불균형 상태에 놓여있다.
중국 매체 인민일보는 반려자를 찾지 못한 35∼59세 독신 남성수는 2020년의 1500만명에서 오는 2050년이면 3000만명까지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
리 주임은 “2050년경이면 중국의 결혼 적령기 남성은 여성보다 3000~4000만명이 많은 동시에 이들은 평생 반려자를 구하지 못 할 수도 있다”며 “이런 상황에서 로봇은 하나의 대안이 될 수 있다”고 진단했다.
리인허 주임은 그러면서 “오는 2050년이 되면 로봇과의 성관계가 전체 인류 성관계의 절반을 차지하게 될 것”이라며 “이는 매우 유의미한 전망”이라고 밝혔다.
한편 ‘섹스 봇’을 비롯한 중국 성인용품 업종은 빠르게 성장하면서 주목받는 시장이 되고 있다.
전자 상거래 업체 징둥에 따르면, 중국의 성인용품 시장 규모가 오는 2020년 이면 90억 달러(약 약 10조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했다.
dongxuan@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