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최주은 기자 = 코스피 종목에 뒤쳐지지 않음에도 코스닥이 코스피 시장으로 이전 상장하는 것과 관련해 우량 기업군을 육성할 수 있는 별도 분야 신설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왔다.
남길남 자본시장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4일 여의도 콘래드호텔에서 자본시장연구원이 주최한 ‘기업 활력제고를 위한 자본시장의 역할’ 컨퍼런스에서 “코스닥이 코스피로 이전상장하는 것은 시장을 대표하는 우량주가 없기 때문”이라며 “이를 위한 별도 기구를 신설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남 선임연구위원은 “특허출원을 통한 코스닥 기업의 혁신성을 코스피 기업들과 비교해 보면 오히려 더 높은 경향을 보이지만 상장 효과는 저조하다”며 “재무적 성과도 코스피 기업에 비해 열등하지 않으며 일부 특성은 더 우월하다”고 진단했다.
<사진=최주은 기자> |
남 선임연구원은 시가총액, 주가순자산비율(PBR), 기관투자자 비중 등 각종 재무 및 투자지표도 코스닥이 코스피에 밀리지 않는다고 판단했다.
그는 “같은 산업군에 속한 코스닥기업이 코스피기업보다 기업가치가 주가에 더 많이 반영됐고, 기관투자자 참여도 2010년 이후로는 코스닥종목이 더 앞서고 있으며, 그 격차는 2012년 이후 더 벌어지고 있다”며 “코스닥 시장의 질적 향상을 위해 우량 기업군을 육성할 수 있는 프리미엄 분야를 신설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자본시장의 금융중개 방식이 바뀌어야 한다는 주장도 나왔다. 지적재산권과 브랜드, 인적 가치 등 무형자산이 기업의 핵심 경쟁력으로 부상했다는 이유에서다.
박용린 연구위원은 “무형자산의 대두로 전통적 방식을 통한 자금조달의 역할이 감소할 것”이라며 “금융투자 중개기능의 고도화, 무형자산 관련 회계와 상장·공시, 사적 자본시장 등 다양한 자본시장 인프라 체계 정비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박 연구위원은 그러면서 “지적재산권 금융 활성화 등의 방식으로 무형자산을 통한 자금조달을 지원해야 할 때”라며 “금융업계는 기업과 투자자 간 확대되는 정보 간극을 줄이고, 기존의 금융중개 방식을 보완하는 위험중개 능력을 길러야 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이날 컨퍼런스에서 최종구 금융위원회 위원장은 정지원 한국거래소 이사장과 중소·벤처 기업 활력제고를 위한 자본시장의 역할에 대한 논의를 진행했다.
최종구 위원장은 기조연설에서 “국내 기업은 선진국이나 중국 등과 달리 스몰 위너 탄생에만 그치고 있다. 이는 성장 단계별로 투자금 유입이 지속적이지 않고 금융 규제 또한 상당하기 때문으로 분석된다”며 자본시장 현 실태를 진단하고 개혁 과제를 제시했다.
그는 △직접 금융시장(자본시장)을 간접금융시장(대출시장)과 경쟁이 가능한 수준으로 육성하고 △ 사적 자본시장을 전통적 자본시장 수준으로 육성하기 위한 맞춤형 규제 체계를 설계하고 △ 혁신기업 자금공급에 증권회사가 보다 많은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또 △증권회사에 대한 사전규제 최소화 △기업상장(IPO) 시장의 자율성 제고와 코넥스 시장의 역할 재정립 △개인 전문투자자 문호 개방 및 투자은행 규제 개선 △전문투자자 육성 등 자본시장 역할 제고를 위한 네 가지 추진 전략을 발표했다.
june@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