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개성만월대 남북공동조사 중단
남북역사학자협의회 "조사 중단으로 문화재 훼손 상황 우려"
올해 고려건국 1100주년 맞아 개성서 만월대 유물 전시 희망
[서울=뉴스핌] 이현경 기자 = 올해는 고려(918~1392년) 개국 1100주년이다. 4.27 판문점 선언 이후 남북문화교류의 중요성이 대두되면서 2016년 중단된 개성 만월대 남북공동발굴조사 재개 여부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도종환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은 지난 4월 우리 예술단의 평양공연을 앞두고 진행된 기자간담회에서 북측에 겨레말큰사전 공동편찬, 개성만월대 공동발굴, 대고려전 유물전시를 제안하겠다고 밝혔다. 북미정상회담을 앞둔 상황에서 한반도 정세를 미리 예측하기는 어려우나, 한국과 몽골이 20년간 진행한 문화교류 사례로 남북 간 만월대 공동학술조사의 미래를 전망해본다.
지난 4월3일 평양 류경정주영체육관에서 열린 '북남 예술인들의 련환공연무대 우리는 하나'에서 김영철 노동당 부위원장(왼쪽에서 세번째부터), 도종환 문체부 장관, 현송월 삼지연관현악단 단장 등 참석자들이 '다시 만납시다'를 같이 부르고 있다.[사진=평양공연 사진공동취재단] |
한국은 1997년부터 몽골과 공동학술조사를 진행해 지난해 20주년을 맞았다. 이를 기념해 국립중앙박물관에서는 '칸의 제국' 특별전이 지난달 15일 개최됐다. 몽골의 국보급 문화재 16건을 포함해 536점의 유물이 전시돼 있다. 유라시아를 점령한 거대한 유목민족 몽골제국의 문화가 한 자리에 펼쳐진 것이다.
배기동 국립중앙박물관 관장은 “한국과 몽골이 학문적 교류 토대 위에서 신뢰와 문화의 가치를 인정하는 관계에 이뤄졌다고 생각한다”며 전시 개막을 축하했다.
이번 '칸의 제국' 전시가 특별한 이유는 몽골의 국보급 문화재가 대량으로 해외로 나온 첫 사례이기 때문이다. ‘칸의 제국’ 특별전을 위해 몽골에서는 법 규정을 새로 만들었다. 몽골의 문화재보호법에는 지정문화재를 해외에 내보내는 것과 관련한 규칙이 없었다.
국립중앙박물관 함순섭 고고역사부장은 “우리가 ‘한국 미술 5000년’ 전시를 내보내듯, 몽골 정부에서는 하나의 전시를 해외에서 치를 수 있게 된 거다. 몽골 정부는 지금까지 시끄러웠던 노마드 엠파이어(Nomad Empire, 유목 제국)를 해외로 내보내보자는 결심을 하게 된 것”이라며 ‘칸의 제국’ 전시를 통한 문화교류의 의미를 진단했다.
카간의 금관 [사진=국립중앙박물관] |
20년이란 오랜 시간 몽골의 학술 연구가 가능했던 이유는 한국의 학술적 도움이 필요했기 때문이다. 함순섭 고고역사부장에 따르면 몽골의 문화재 연구 수준은 한국의 1980년대와 비슷하다. 전시 디자인, 기획 역시 과거 한국이 1990년대 전시와 관련해 해외의 도움을 받았듯 이번엔 우리가 몽골에 도움을 줬다. 국립중앙박물관은 최근 해외에 전시디자인을 제공하는 사업도 운영하고 있다. 함 부장은 "과거 '아라비아의 길-사우디아라비아의 역사와 문화' 전시도 사우디아라비아에 그대로 전시됐다"고 전했다.
몽골과 공동학술연구를 시작한 건 한국 역사를 이해하기 위해서였다. 함순섭 국립중앙박물관 고고역사부장은 “한반도 내 문화를 이해하려면 주변 문화를 알아야한다. 북방으로 몽골, 남방으로 베트남과 조사를 해 남북의 문화를 알고 동서의 문화와 비교하는 것을 추진했는데 베트남과는 관계가 오래 가지 못했다”며 “베트남과 학술연구는 불교, 고려, 조선시대 도자 연구로 전환해 국립중앙박물관 아시아부가 맡았다”고 설명했다.
3D로 복원한 회경전 [사진=서울역사박물관] |
고려시대 궁궐 터인 만월대를 조사한다는 것 역시 한국 문화를 제대로 이해하는 측면에서 매우 중요하다. 고려 황궁 터 복원, 금속활자 발견, 고려의 생활풍습 등 남한에서 할 수 없는 고려 문화를 복원하고 연구하는 데 의의가 있다.
신준영 남북역사학자협의회 사무국장은 만월대 공동조사 재개는 문화재 보호 차원에서 서둘러 재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신 국장은 “그간 남북관계 문제로 3년째 조사가 중단됐다. 만월대 일대는 유네스코 세계유산 개성역사유적지구로도 등재(2013년)됐는데, 현재 중단돼 문화재를 방치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북한연구진에 비해 남측 역사자들은 궁궐 복원 능력이 더욱 뛰어나다. 만월대 남북공동조사도 남측이 이끌었다. 신 사무국장은 “북한은 고구려, 구석기, 고고학에 강하다. 우리는 고려와 조선 관련에 강하다. 특히 한국에는 궁궐이 많이 남아 있기 때문에 이번 만월대 궁궐터 복원 작업도 우리가 리드하는 측면이 있었다”고 언급했다. 현실은 UN규제조치와 북미 관계가 확립되지 않은 상황이라 당장은 조사 재개가 불가능하다고 신 국장은 보고 있다.
개성 만월대 남북공동조사는 2005년 남북 장관급 정상회담에서 개성역사유적지구에 있는 문화재에 대한 보존 합의로 체결됐다. 2006년 실무 합의가 이뤄진 후 2007년부터 개성만월대 유적 조사가 본격적으로 시작됐다. 그러다 2016년 1월 북한의 핵미사일 실험으로 전반적인 대북 사업이 중단되면서 조사도 멈췄다. 2007년부터 2015년까지 총 7차례 조사가 진행됐다.
[평창=뉴스핌] 이현경 기자= 개성 만월대 남북공동발굴 평창특별전. 3D프린팅으로 재현된 개성 만월대 유물 2018.02.23 89hklee@newspim.com |
신 사무국장은 고려 건국 1100주년을 맞아 올해 개성에서 만월대 특별전이 열렸으면 좋겠다고 기대했다. 그는 “2015년에 서울과 개성에서 열렸다. 당시 디지털 유물만 전시했다. 이번에는 디지털 유물과 북한실제 유물이 함께 전시되면 좋겠다”고 말했다.
2015년 남북공동발굴조사 시작 10주년과 광복 70주년을 맞아 학술행사와 전시회(서울, 개성)를 개최한 바 있다. 2018평창올림픽대회를 맞아 ‘개성 만월대 남북공동발굴 평창특별전’과 이후 서울역사박물관에서 ‘고려건국 1100년, 고려 황궁 개성 만월대 남북공동발굴 서울특별전’을 한 번 더 개최했다. 그러나 아쉽게도 두 번의 개성 만월대 전시는 VR(가상현실)과 3D복원과 같은 IT 기술로 재현하는 데 그쳤다.
89hklee@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