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유가, 반전 가능성 '있다'
구리·아연 '상승' vs 알루미늄 '하락' 무게
[편집자] 이 기사는 7월 3일 오후 3시47분 프리미엄 뉴스서비스'ANDA'에 먼저 출고됐습니다. 몽골어로 의형제를 뜻하는 'ANDA'는 국내 기업의 글로벌 성장과 도약, 독자 여러분의 성공적인 자산관리 동반자가 되겠다는 뉴스핌의 약속입니다.
[뉴스핌=김성수 기자] 지난 상반기 글로벌 원자재 시장은 천연가스 가격이 급락하는 등 에너지 부문이 14% 하락했다. 반면 농산물과 금속은 상대적으로 양호한 모습을 보였다.
9개 주요 국제상품 가격을 종합한 CRB지수는 지난 상반기 동안 9.2% 하락했다. 24개 원자재 가격을 추종하는 S&P GSCI지수는 6.5% 내렸다.
부문별로는 에너지 부문이 14.1% 하락했다. 반면 산업용 금속은 8.8% 올랐고 농산물도 2.2% 상승했다. 개별 품목 중에서는 천연가스가 18.5%, 원당이 29.9% 떨어지면서 주요 원자재 중에 가장 크게 하락했다.
국제유가는 시장 전반의 약세 분위기가 월 후반 들어 완화되며 저가매수세가 유입될 것으로 기대된다. ▲미국 생산증가세 둔화 및 재고감소 확인 ▲수요회복 가시화 ▲석유수출국기구(OPEC)의 감산 확대 논의 등 상승 재료가 나타날 경우 유가가 반등할 가능성이 있다는 분석이다.
◆ 국제유가, 반전 가능성 '있다'
지난 상반기 국제유가는 공급과잉 우려가 부각되면서 일제히 하락했다. 미국과 리비아, 나이지리아가 원유 증산에 나서면서 유가가 전고점 대비 20% 이상 하락하기도 했고, 이에 따라 약세장에 진입했다는 평가도 나왔다.
서부텍사스산원유(WTI)·두바이유·브렌트유·휘발유가 모두 지난달 연중 최저치를 기록했다. WTI는 지난달 말 배럴당 46.04달러에 마감하며 상반기 동안 14.3% 하락했고, 두바이유는 13.7% 하락한 46.6달러에 마쳤다. 브렌트유도 같은 기간 15.7% 내린 47.92달러에 마감했다.
휘발유 선물도 드라이빙 시즌 초기 수요가 예상보다 부진해 상반기 동안 9% 하락했으며, 전고점 대비로는 13.8% 떨어졌다. 천연가스 선물도 18.5% 하락했다.
국제유가는 전체적으로 수급 균형이 다시 맞춰지면서 하반기에 저가매수세가 유입될 것으로 기대된다. 미국의 원유 생산은 4월말 이후 일일 930만배럴 내외에서 정체돼 있으며, 유가에 민감한 셰일오일의 특성상 상반기와 같은 증가세가 지속되기는 어려울 것이라는 이유에서다.
리비아 역시 7월 중 원유 생산량을 100만배럴까지 늘리겠다는 입장이나 생산 능력과 정정불안 재개 가능성 등에 비춰봤을 때 목표 달성이 쉽지 않을 것으로 평가된다.
다만 OPEC의 감산이행률이 저하되면서 공급과잉이 재개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는 분석도 나온다. 이라크의 감산 참여도가 지난 5월 기준 67%로 낮은 데다, 사우디 등 중동 4개국의 카타르 외교단절이 역내 수니파와 시아파간 갈등 확산으로 연결될 경우 OPEC의 결속력이 약화되면서 감산 합의가 실패할 것이라는 분석이다.
<자료=국제금융센터> |
◆ 구리·아연 '상승' vs 알루미늄 '하락' 무게
지난 상반기 기초금속 가격은 주석과 니켈을 제외하면 모두 상승했다.
LME 구리 선물가격은 중국 경기둔화 우려 완화, 주요 광산 파업에 따른 단기 공급차질 가능성 등으로 상반기 동안 7.3% 상승했다. 아연(6.1%), 납(8.1%)도 재고감소 및 저가매수세 유입 등으로 지난달 말에 반등했다.
알루미늄은 5월 중국 수출 증가 등으로 지난달에 약세(-0.5%)를 보였으나 상반기 기준으로는 13.3% 올랐다. 니켈과 주석은 상반기에 각각 6.3%, 5.4% 하락했다.
금 가격은 주요국 정정불안으로 인해 상반기에 7.7% 상승했다. 다만 지난 한 달 동안에는 안전자산 선호심리가 약화되면서 2.2% 하락했다.
전문가들은 올해 기초금속 시장이 모멘텀이 없는 가운데 품목별 차별화를 보일 것으로 예상했다. 중국의 경기 불확실성과 마리오 드라기 유럽중앙은행(ECB) 총재의 통화완화책 축소 시사 등이 전반적인 투자심리 회복을 제약할 것이라는 전망이다.
다만 단기적으로는 품목별 움직임에 차별화가 나타날 것으로 예상됐다. 구리의 경우 주요 광산노조의 파업 여파로 단기 수급이 타이트해지고 가격 상승 압력이 이어질 것으로 분석됐다. 아연도 공급부족 등으로 상대적 강세를 보일 가능성이 있는 반면 알루미늄은 주요 업체들의 증산 움직임이 하방압력으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됐다.
<자료=국제금융센터> |
[뉴스핌 Newspim] 김성수 기자 (sungsoo@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