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시장, 2021년 68억 달러까지 성장 전망
국내 시장은 듀켐바이오·퓨쳐켐 등이 선도 중
[서울=뉴스핌] 정승원 기자 = 정부가 고기능 방사성 의약품 등 방사선 기술 개발에 대한 투자 방침을 밝히면서, 국내외 방사성 의약품 시장 현황에도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국내에서 성과를 내고 있는 업체들에 대한 상용화 지원이 절실하다는 의견이 나온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지난 18일 개최된 제8차 원자력진흥위원회에서 이 같은 내용의 '미래 방사선 산업창출 전략'을 심의·확정했다.
이번 전략에 따라 정부는 고기능 방사성 의약품, 방사선 치료효율 향상용 정밀진단, 난치성 질병 완치 목적 표적 맞춤치료, 정밀 방사선 치료기기 등 8대 유망기술군 핵심기술을 개발하게 된다.
특히, 방사성 의약품 분야 육성으로 신개념 항암제, 신약 개발 및 치료 용량과 선량평가 등 시장을 선도해 향후 5년 내 시장에 진입한다는 계획이다.
<사진제공=퓨쳐켐> |
◆ 진단용 의약품이 대부분...바이엘·GE헬스케어가 주도
한국원자력의학원에 따르면, 방사성 의약품은 방사성 동위원소를 붙여 방사성을 가진 의약품으로 베타선, 감마선 양전자선 중 한 가지나 두 가지를 내는 것이 일반적이다.
방사성 의약품은 진단이나 치료, 의학적 연구의 목적으로 인체에 직접 투여하거나 인체로부터 채취한 혈액 등 시료에 사용되는 방사성 동위원소 및 표지화합물 등을 의미한다.
특히, 방사성 의약품은 표적치료가 가능하며 PET-CT 등을 통해 의약품의 작용에 대해 확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에 시장에서도 방사성 의약품의 시장의 성장 가능성에 주목하고 있다.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에 따르면, 글로벌 방사성 의약품 시장의 규모는 지난 2016년 44억7587만 달러에서 매년 9.02% 성장해 오는 2021년에는 68억9309만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방사성 의약품 시장은 용도에 따라 진단용과 치료용으로 구분되는데 진단용이 지난 2015년 기준 시장의 85.2% 점유율을 차지할 정도로 대부분이다.
글로벌 방사성 의약품 시장을 선도하고 있는 기업은 독일의 바이엘과 미국의 GE헬스케어다.
바이엘은 지난 2016년 성인 환자를 대상으로 전립선암과 골전이 치료에 사용하는 'Xofigo'를 일본에서 승인받았으며, GE헬스케어는 지난 2016년 치매진단 방사성 의약품인 '비자밀'을 개발해 유럽EMA와 미국FDA, 일본 등에서 승인을 받아 판매하고 있다.
[이미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 국내 시장 듀켐바이오·퓨쳐켐이 선도...지원 절실
글로벌 시장의 성장 전망처럼 국내 시장도 방사성 의약품에 관심을 보이며, 하나둘 성과를 내고 있다.
듀켐바이오는 과거 핵의학 관련 의료장비의 수입과 공동운영을 해오다 방사성 의약품 제조 및 공급까지 영역을 확대했다.
듀켐바이오는 자체 개발한 방사성 의약품 라인을 보유하고 있으며, 종양 진단 방사성 의약품 'FDG', 국내 최초 전립선암 진단용 방사성 의약품 'FACBC' 등을 갖추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지난해에는 172억원의 매출을 기록하며, 2014년의 173억원에 이어 두 번째로 높은 실적을 내기도 했다.
퓨쳐켐 역시 지난해 국내 최초이자 세계에서 4번째로 치매진단 방사성 의약품 알자뷰를 출시해 관심을 모았다.
여기에 역시 지난해 터키의 방사성 의약품 전문기업 몰텍과 기술수출 계약을 체결하는 등 지속적인 성과를 내고 있다. 하지만 지난 3분기 영업이익률이 적자를 기록하는 등 정체가 지속되고 있다.
이에 이번 정부의 방사성 의약품 육성 방침이 효과를 내기 위해서는, 상용화를 위한 지원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관계자는 "방사선 이용기술 분야는 매우 광범위해 산업육성을 통한 고부가 가치 창출이 가능한 의료·바이오 분야 등에 대한 집중 투자가 필요하다"며 "기술개발 이후 상용화에 투입되는 기간과 재원이 크지만 그동안 정부의 지원은 기술이전 단계까지만 이뤄졌다. 상용화를 위한 추가적 지원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origin@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