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핌=노경은 기자] 방송통신위원회가 이동전화 소량 이용자들의 요금 절감을 위해 기본료가 없는 선불요금제를 활성화하기로 밝힌 가운데, 방통위가 제시한 정책에 대한 평가가 양극으로 엇갈리고 있다.
계획적인 통신비 소비를 유도한다는 측면에서 선불요금제 활성화 정책이 적합하다는 시각도 있는 반면 다른 한편에서는 아직 국내에 정착하지도 못한 요금제의 대책치고는 거창하다고 지적하고 나선 것이다.
27일 MVNO (가상 이동통신망 사업자)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에넥스텔레콤 관계자는 국민들에게 선불요금제에 대한 인식부터 심어줄 필요가 있다는 입장을 드러냈다. 국내 이통시장은 후불요금제를 근간으로 시작됐기 때문에 선불요금제가 비주류로 간주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이다.
그는 "지금까지 선불요금제는 신용불량자나 외국인 노동자, 장기불법 체류자 등에 가입자 유치가 집중돼있던 만큼 후불요금제에 가입하기 어려운 사람들이 대체용으로 쓰는 저가이미지가 강했다"며 "의식개선이 선결돼야 한다"고 말했다.
방통위가 정보통신진흥협회와 전국 성인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만 봐도 응답자의 약 78%가 선불요금제를 잘 모르고 있다고 대답할 정도로 선불요금제에 대한 홍보는 부족했던게 사실이다. 올 9월 말 기준으로 선불요금제 사용자는 824만 명으로 전체 이동전화 가입자(5212만 명)의 1.6%에 불과하다.
이 관계자는 "선불요금제가 국내 소비자들에게 잘 알려지지 않아 가입자 유치에 어려움을 겪자, 이를 주로서비스하는 일부 MVNO 사업자들은 공항 근처에서 외국인 근로자들을 대상으로 가입자를 유치하는 등, 불공정한 과정으로의 가입이 공공연하게 이뤄져왔던 것으로 안다"고 귀띔했다.
이러한 인식때문에 이동전화를 소량 이용하는 국내 소비자들도 선불요금제 서비스 제공받기를 꺼려하며 고가의 기본료를 제공하며 후불요금제를 선택했다는 설명이다.
의식개선을 위한 홍보 지원 뿐 아니라 유통망을 확보할 수 있도록 재정적 지원도 절실하다는 주장도 있다. 판매망이 확보되야 판촉활등 증가 및 AS 서비스 개선으로 고객 확보를 용이하게 할 수 있기 때문이다.
MVNO 사업자 등록을 기다리고 있는 또다른 이통업계 관계자는 "최근 대기업들이 방통위의 선불요금제 활성화 정책과 맞물려 MVNO로 등록해 이통사업에 뛰어들 것을 계획하고 있지만 이들의 브랜드 인지도가 두려운 것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다만 유통망을 갖고 있는 홈플러스나 이마트 등 유통망을 보유한 기업의 파워는 불 보듯 뻔하다는 것.
이 관계자는 "유통망을 보유한 대기업이 들어온다면 이전부터 선불요금제를 서비스해왔더라도 중소 MVNO 업계는 살아남기 어렵다"며 "유통망을 확보할 수 있도록 방통위가 지원에 적극 나서야한다"고 말했다.
▶글로벌 투자시대의 프리미엄 마켓정보 “뉴스핌 골드 클럽”
[뉴스핌 Newspim] 노경은 기자 (now21c@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