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토킹처벌법 시행 후 상담 건수 61.4% 증가
남성 피해자 상담도 증가…전체 6.3% 차지
여가부, 초기 상담 및 구조·보호 체계 사회적 역할 강화
[세종=뉴스핌] 김보영 기자 = 지난해 여성긴급전화 1366 상담 건수가 약 29만 건에 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년도 수치와 비슷한 수준이다. 특히, 스토킹과 교제폭력 피해에 대한 상담이 크게 증가했으며, 남성 피해자에 대한 상담도 지속적으로 늘어나는 추세다.
여성가족부와 한국여성인권진흥원이 28일 발표한 '2024년 여성긴급전화 1366 운영실적'에 따르면, 지난해 여성긴급전화 1366은 총 29만 3407건의 상담을 처리했다. 일일 평균 약 804건에 해당하며, 2023년의 921건과 비교해 약간 감소한 수치다.
![]() |
[여성긴급전화1366 운영실적 인포그래픽=여가부 제공] kboyu@newspim.com |
스토킹과 교제 폭력 피해 상담은 1만4553건으로, 2023년 9017건에 비해 61.4% 상승했으며, 교제 폭력 피해 상담도 1만1338건으로 2023년 9187건에 비해 23.4% 증가했다. 이는 스토킹처벌법과 스토킹방지법 시행 이후 새로운 폭력 유형에 대한 사회적 인식 변화가 상담 증가로 이어졌다는 분석이 나온다.
가정폭력 상담 건수는 14만8884건으로 전체 상담에서 50.7%를 차지했지만, 전년 대비 1만2000여 건 줄어든 수치다. 성폭력 상담은 1만4117건(4.8%), 디지털 성범죄는 5103건(1.7%), 성매매 상담은 2657건(0.9%)으로 기록됐다.
남성 피해자 상담 이용률도 이날 기준으로 6.3%에 달하며 지속적인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다. 남성 상담률은 ▲2022년 5.2%(1만4996건)▲2023년 5.9%(1만7333건)▲2024년 6.3%(1만8362건)으로 나타났다.
주요 상담 유형은 가정폭력이 66.2%로 가장 높았고, 디지털성범죄와 스토킹이 각각 13.1%와 12.6%로 뒤를 이었다.
긴급전화센터 1366은 가정폭력, 성폭력, 성매매, 스토킹, 교제 폭력, 디지털 성범죄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피해자에게 남녀 구분 없이 연중무휴 24시간 초기 상담과 긴급 구조·보호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조용수 여가부 권익증진국장은 "여성긴급전화 1366은 폭력 피해자에 대한 초기 상담 및 구조·보호 기능뿐만 아니라 지역사회 통합 구조 기관으로서 역할이 확대되고 있다"며 "성별과 나이에 관계없이 누구나 1366을 통해 신속하게 도움을 받을 수 있도록 서비스 역량을 지속적으로 강화할 것"이라고 말했다.
kboyu@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