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부터 100t 화물기 6대 전세내
일요일에도 공장 가동하고 통관 시간 단축도 요청
폭스콘 인도 공장의 미국行 출하량 급증
[방콕=뉴스핌] 홍우리 특파원 = 애플이 미국 정부의 '관세 폭탄'을 피하기 위해 전세기를 동원, 약 150만 대의 아이폰을 미국으로 실어나른 것으로 알려졌다.
10일(현지 시간) 로이터 통신은 익명의 소식통을 인용, 애플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에 대응하기 위해 인도 내 생산량을 늘린 뒤, 3월부터 화물기를 동원해 최대 150만 대의 아이폰을 수송했다고 보도했다.
애플이 동원한 전세기는 화물 100톤(t)을 수송할 수 있고 이 중 한 대가 이번 주 인도로 향했다며, 아이폰14와 충전 케이블 세트가 350g인 점을 고려할 때 600t을 실을 수 있는 전세기 6대에 약 150만 대의 아이폰이 실렸을 것이라고 로이터는 분석했다.
애플은 관세가 발효되기 전에 인도산 아이폰 생산량을 늘리고 미국으로의 조달 속도를 높이기 위해 노력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인도산 아이폰을 미국으로 조달하는 시간을 최소화하기 위해 인도 타밀나두주(州) 첸나이 공항의 통관 시간을 30시간에서 6시간으로 단축해 줄 것을 요청했고, 공장이 위치한 첸나이 폭스콘 공장은 휴일인 일요일에도 추가 인력까지 투입돼 가동됐다고 매체는 전했다.
업계는 애플이 향후 중국에서의 아이폰 생산을 줄이고 인도에서의 생산을 늘릴 것으로 보고 있다.
트럼프 행정부가 중국에 부과한 최고 125%의 관세에 비해 인도의 관세는 26%로 훨씬 낮고, 미국과 인도가 무역협정 협상을 진행 중인 가운데 인도에 대한 관세율이 더 낮아질 가능성도 있기 때문이다.
소식통들은 "첸나이 폭스콘 공장의 경우 지난해 최신 아이폰 15와 16 모델을 포함해 2000만 대의 아이폰을 생산했다"며 "애플은 인도 내 아이폰 생산 공장의 생산량을 20% 늘린다는 목표에 따라 항공 운송 횟수를 늘렸다"고 전했다.
카운터포인트 리서치에 따르면 매년 전 세계에서 약 2억 2000만 대의 아이폰을 판매하고 있다. 이 중 약 20%가 인도산이고, 나머지 80%가 중국산이다.
현재 인도에는 폭스콘과 타타일렉트로닉스가 운영 중인 3개의 아이폰 생산 공장이 있으며, 추가로 2개의 공장이 건설 중이다.
로이터는 세관 데이터를 인용, 인도에서 미국으로 수송된 폭스콘 출하량은 1월에 7억 7000만 달러(약 1조 1155억 7600만원), 2월 6억 4300만 달러에 달했다며, 이는 과거 4개월 동안의 1억 1000만~3억 3100만 달러 수준에서 급증한 것이라고 지적했다.
![]() |
애플 로고 [사진=블룸버그통신] |
hongwoori84@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