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뉴스핌] 김민정 특파원 = 재닛 옐런 전 미국 재무장관은 10일(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정책이 잘 돌아가던 미국 경제에 커다란 해를 미치고 있다고 비판했다.
옐런 전 장관은 이날 CNN과 인터뷰에서 트럼프 정부의 관세 정책이 미국 가계에 연평균 4000달러의 비용으로 이어질 수 있다면서 "이것은 잘 작동하는 경제에 정부가 시행한 최악의 자해"라고 평가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2일 국가별 상호 관세를 발표했지만 상호관세 부과가 시작된 직후인 전날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을 제외한 국가에 90일간 상호관세를 유예하기로 했다. 다만 중국에 적용하는 관세율은 125%로 올렸다.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산 재화의 부과한 높은 관세가 특히 경제에 나쁘다고 보는 옐런 전 장관은 "미국과 전 세계 경제에 엄청난 영향으로 이어질 것"이라면서 "누구도 이러한 정책이 어디로 향하는지 알지 못한다"고 경고했다.
이러한 관세 정책으로 미국의 침체 가능성이 높아졌다고 옐런 전 장관은 판단했다. 옐런 전 장관은 재무장관을 지내기 전 연방준비제도(Fed) 의장을 지낸 바 있다.
옐런 장관은 미 국채 가격 급락에 따른 금융 불안 위협이 트럼프 대통령이 관세 유예를 결정하는 데 영향을 미쳤다고 판단했다. 관세 금융 혼란으로 국채 수익률이 급등했고 이 때문에 투자자들이 미 국채의 안전자산으로서의 지위를 의심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옐런 장관은 "미 국채를 보유한 고액 차입 헤지펀드들이 보유분을 매도하기 시작했고 국채가 대량으로 매도되면 이것은 실제로 금융 불안을 촉발할 수 있는 문제"라며 "이것이 트럼프 대통령이 상호관세를 중단하도록 한 요인으로 보인다"고 했다.
![]() |
재닛 옐런 전 미 재무장관.[사진=로이터 뉴스핌] |
mj72284@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