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운업 특수성 반영한 모형 구축
"리스크관리·재무건전성 강화"
[세종=뉴스핌] 최영수 선임기자 = 한국해양진흥공사가 공공기관 최초로 해운업 특수성을 반영한 신용위험 추정 모형으로 특허 결정을 받았다.
한국해양진흥공사(사장 안병길)는 '유가와 운임지수 변동에 따른 해운사 신용위험 변동 산출 방법 및 장치'에 대해 특허청으로부터 특허 결정문을 취득했다고 5일 밝혔다.
이번 특허 대상은 해운업 운임지수와 유가 등 거시경제요소 및 탄소세 변화에 따른 해운사의 부도율 및 신용등급을 추정하는 모형으로, 모형의 바탕이 되는 연구는 지난해 한국연구재단 등재 학술지인 '해양정책연구' 제39권 제1호에 게재됐다(아래 사진 참고).
해운업 익스포져(위험노출액) 보유 금융기관은 특허 모형을 활용해 해운 시황 악화 및 탄소세 부과에 따른 해운사별 신용위험 영향을 파악하고, 해운사의 신용위험 증가에 따른 대손충당금 추가 적립 규모 등 금융기관의 재무건전성 영향을 파악하여 해운업 위기상황에 대한 선제적 대응을 도모할 수 있다.
해진공은 이번 모형을 현재 구축중인 통합리스크관리시스템에 도입할 예정이며, 시황 악화 시 해진공이 해운기업들의 안정적 선박 도입과 유동성 확보 지원여력을 유지할 수 있을지 모니터링하는 리스크관리 장치로 사용할 방침이다.
안병길 해진공 사장은 "이번 신용위험 모형 특허를 통해 종합해양지원기관인 해진공의 리스크관리와 이에 따른 재무건전성이 강화될 것으로 기대된다"며 "해운사의 신용위험 예측 및 해운시장 및 거시경제의 불확실성에 대비해 해운사에 대한 끊임없는 금융・비금융 지원을 지속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 |
'해양연구재단' 학술지 게재 연구논문 표지 [자료=해양진흥공사] 2025.02.05 dream@newspim.com |
dream@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