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향 함북서 교사로 일하다 중국행
정착 후 'NK교사아카데미'서 연수
9년째 까다로운 교육 프로그램 맡아
[서울=뉴스핌] 이영종 통일전문기자 = 2008년 한국에 입국한 최연수 씨는 남북하나재단에서 운영하는 탈북학생 학교 적응지원사업을 담당하고 있다. 탈북가정 자녀의 학교 적응력 향상을 위해 북한 교사 출신을 정규학교에 배치·운영하는데, 이를 맡아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는 것이다.
[서울=뉴스핌] 경기도 일산의 한 초등학교에서 일하고 있는 통일전담 교육사 최연수 씨. 함경북도가 고향인 그는 북한에서 교사로 일했다. [사진=남북하나재단] 2024.12.08 |
경기도 일산의 한 초등학교에서 일하고 있는 통일전담 교육사 최 씨는 한눈에 봐도 에너지가 넘친다.
최 씨는 "하는 일이 참 많아요. 방과 후 학습지도는 기본이고, 학생과 학부모 상담을 수시로 진행하면서 정서적으로 어려운 아이들을 조기 발견해 전문 기관에 연계를 의뢰하는 일, 진로교육과 사회성 향상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 기획 등을 진행하죠"라며 활짝 웃어보였다.
그는 "전문성이 필요한 프로그램은 외부 전문가를 직접 섭외해야 하는데 이에 따르는 행정 업무도 굉장히 많다"며 "필요한 예산을 위해 교육청 공모에 사업별로 계획서를 꼼꼼히 작성해 제출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또 "부족한 예산은 유관기관을 발굴해 프로그램을 무료로 지원받도록 하는 등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인다"면서 "통일교육은 물론 다문화 감수성 교육도 구상해 실시한다"고 말했다.
최 씨는 "우리 아이들(학생)이 국내에서 태어났어도 부모가 중국, 러시아 등 다양한 문화권에서 온 이들이기 때문인데, 다름을 인정하고 함께 나아가는 사회 통합교육이 필요한 때"라고 강조했다.
◆중·러서 태어난 청소년 위해 다문화 감수성 교육
함경북도가 고향인 최 교육사는 북한에서 교직 생활을 했다. 2008년 입국한 이후 오직 돈을 벌어 가족을 돕겠다는 생각으로 주·야간 일할 수 있는 일용직 회사에서 취직했다.
차츰 한국 사회를 알게 되면서 스스로 자신을 계발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러던 중 지인을 통해 한국교육개발원에서 진행하는 'NK 교사아카데미'를 알게 되어 직장을 다니면서 주말마다 열심히 연수에 참여했다.
동시에 사회복지사 자격증 취득을 위해 사이버대학을 다녔다. 몸이 열 개라도 부족한 시간이었다. 하지만 다시 학업을 할 수 있다는 것에 너무 설레고 감사했다.
직장을 그만둔 후 그는 컴퓨터 실력은 기본적으로 필요하다는 생각에 학원을 다니며 실력을 키웠고, 컴퓨터로 일할 수 있는 사무직을 경험하기 위해 현대자동차에 취업했다.
그러다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입학 기회가 있어 석사과정을 마치고 학위를 취득했다.
'NK 교사아카데미'를 수료했다는 것은 북한에서의 교사 경력을 인정한다는 의미였다. 이 과정을 수료해야 남한의 학교에서 근무할 수 있는 자격이 주어진다.
[서울=뉴스핌] 탈북민 출신 통일전담교육사 최연수 씨가 교실에서 교육 프로그램을 설명하고 있다. [사진=남북하나재단] 2024.12.08 |
2015년부터 수원의 00초등학교에서 일을 시작한 그는 현재 이곳 일산의 00초등학교와 인근 00중학교를 동시에 맡고 있다.
하루 24시간이 부족할 만큼 많은 업무를 진행하며 힘들지는 않을까. 하지만 최연수 교육사는 오히려 매일매일 감사하고 기쁘다고 말한다.
"학교에서 일을 원만하게 수행하려면 학교 관리자의 인정을 받고 관련 교사, 학부모와 좋은 관계를 맺는 일이 정말 중요해요. 모든 일에는 주변의 협조가 필요하듯이 특히 이 일은 학교 관리자는 물론이고 담임교사, 학부모의 관심과 협조 없이는 어렵습니다. 그러자면 어떤 일도 빈틈없이 처리하는 나만의 능력을 보여줘 인정을 받아야겠죠."
최연수 교육사는 이외에도 탈북학생 지도 경험이 없는 교직원을 대상으로 탈북학생 이해 교육도 동시에 수행한다. 이를 통해 관계자 모두는 탈북민에 대한 이해와 지원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이 사업을 적극적으로 지지하고 모든 일에 자기 일처럼 협조한다.
◆"일처리 빈틈없는 나만의 능력 보여줘야"
학생, 학부모 역시 초기에는 신분 노출을 우려해 프로그램 참여를 주저하거나 거부하기도 했다.
하지만 최연수 교육사가 진행하는 모든 프로그램은 '다름'이 아닌 '모두'를 위한 프로그램이었기에 그 진심을 알고는 주변을 의식하지 않고 당당하게 참여한다.
"제가 학교에 근무하면서 탈북민 인식 개선을 위해 맨 처음 만든 프로그램이 '북한 문화이해 토크 콘서트'였어요. 굉장히 긍정적인 반응을 보여 현재까지 해마다 북한 출신 예술인, 방송인들은 물론 북한 방문 경험이 있는 남한 교사까지 섭외해 진행하죠. 수업식으로 진행하는 통일교육도 중요하지만, 토크 콘서트는 그 몇 배의 효과를 주는 것 같아요. 학생들의 소감문을 읽으면서 그 효과를 확인하고 주변 학교들에도 많이 홍보하죠."
참여 학생 각각의 눈높이에 맞춰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를 실행한다는 것은 말처럼 쉬운 일이 아니다.
거기에 동료 교직원, 탈북민 학부모, 남한 학부모 등 주위의 이해관계자들 모두의 동의와 지지를 얻는 일은 더욱 어렵다.
이 어려운 일을 9년 남짓 성공적으로 수행하고 있는 최연수 교육사의 얼굴엔 자신감과 열정이 묻어났다.
<뉴스핌-남북하나재단 공동기획>
yjlee@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