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등 집중 발생 지역 중심으로 수색
올해 1~10월 ASF 682건…경북 554건
야생 멧돼지 적정 서식밀도 연구 착수
[세종=뉴스핌] 양가희 기자 = 환경부가 아프리카돼지열병(ASF) 확산 방지를 위한 수색 자원을 확대하고 전국 단위 바이러스 검사를 내년 3월까지 확대 시행한다.
환경부는 야생 멧돼지 포획에 유리한 겨울철을 앞두고 이 같은 내용의 ASF 확산 저지 대책을 추진한다고 3일 밝혔다.
포획·수색 규모는 열화상 드론 10대, 포획트랩 1500개, 인력 200명 등으로 확대한다. 수색 자원은 경북 등 집중 발생 지역 위주로 투입된다. 강원도 고성과 속초, 양양 등에서 ASF가 1년 이상 발생하지 않았고 최근 남부지방 확산세가 가파른 상황을 고려했다는 설명이다.
올해 1월부터 10월까지 전국에서 발생한 ASF는 682건으로, 이 중 554건이 경북에서 나타났다. 연도별 발생 건수는 2021년 964건, 2022년 878건, 2023년 735건으로 집계됐다.
연도별·지역별로 보면 ASF는 2019~2020년에는 경기와 강원에서만 발생했으나 2021년 충북에서 53건이 발생하면서 점차 한반도 남쪽으로 확산됐다. 2022년에는 경북에서 101건이 새로 발생했고, 2023년 부산에서 1건 발생한 이후 2024년 1~10월 부산과 대구 발생 건수는 각각 24건, 17건으로 늘었다.
환경부는 ASF가 수렵인이나 포획 도구 등 인위적 요소로 확산되지 않도록 전국 단위 바이러스 검사를 실시한다. 올해 10월 말 기준 과거 ASF가 발생한 시군 43곳 포함 경기·강원·경북·충북 시군 60곳은 ASF 검사 결과 음성으로 나타났다. 경남과 전남, 제주 등은 내년 1분기까지 검사를 완료한다.
야생멧돼지 아프리카돼지열병(ASF) 발생현황 [자료=환경부] 2024.11.02 sheep@newspim.com |
바이러스 유전자 분석 건수는 기존 연간 1500건에서 2000건 이상으로 늘린다. 유전자 분석을 통하면 국내외 전파경로 및 확산범위를 예측하고, 멧돼지 포획 포상금을 노린 부정행위에 대응할 수 있다.
국립야생동물질병관리원의 야생동물질병관리시스템에는 인공지능(AI) 기술을 도입, 바이러스 확산 위험도를 평가한다. 시스템 개편은 2026년까지 진행될 예정이다. 지역별·환경별 적정 멧돼지 서식밀도를 파악하기 위한 연구는 이달 착수한다.
ASF가 1년 이상 발생하지 않은 강원도 일부 지역은 내년 1월부터 엽견 사용이 시범 허용된다. 폭설 시 산양 등의 구조 효과를 높이고 야생동물의 이동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멧돼지 차단 울타리의 부분 개방 지점을 기존 21곳에서 44곳으로 확대한다.
김태오 환경부 자연보전국장은 "겨울철은 멧돼지의 행동반경도 늘어나지만 포획에도 유리한 측면이 있는 만큼 위험과 기회가 상존하는 시기"라며 "지자체 등 관계기관과 협력해 경북지역을 중심으로 대응을 강화하는 한편, 인위적 요소 관리와 과학적 기반 연구도 강화해 바이러스 확산 저지에 총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sheep@newspim.com